역주 지장경언해 중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중권
  • 제6 여래찬탄품(如來讚嘆品)
  • 제6 여래찬탄품 0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6 여래찬탄품 016


념호되주001)
념호되:
염(念)하되. 염불하되.
일만 번이 면주002)
면:
차면. ᄎᆞ-[滿]+면.
주003)
이:
이 아이는. 이(지시 대명사)+Ø(주격 조사).
아이어나주004)
아이어나:
아들이거나. 중세국어와 같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나 이 책에는 ‘ㄱ’이 복원된 모습도 많다.
이어나 아주005)
아:
전생의. 아ᄅᆡ[前生]+ㅅ(관형격 조사).
앙보을주006)
앙보을:
앙보(殃報)를.
문득주007)
문득:
곧바로. 단박에. 원문은 ‘便’이다. 믄득〉문득. ‘믄득(문득)’은 ‘곧바로. 단박에’의 뜻을 지닌다. ‘믄득’의 발달형인 현대국어 ‘문득’의 의미와는 다르다.
버서주008)
버서:
벗어나. 중세국어에서는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인다. ¶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안낙야주009)
안낙야:
안락(安樂)하여.
수이주010)
수이:
쉬이. 수ᄫᅵ〉수이.
양야주011)
양야:
양(養)하여. 길러.
목숨이 증댱리니주012)
증댱리니:
증장(增長)하리니. 길어지리니.
다가 복을 바다 난 살음이면주013)
살음이면:
사람이면.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사름’을 ‘살음’으로 적은 것은 분철화의 경향을 의식한 과잉교정의 예이다.
더옥주014)
더옥:
『월인석보』(21상:97ㄴ)에는 ‘더욱’으로 적혀 있다. 더욱〉더옥.
안낙며 목숨이 길니라주015)
길니라:
길리라.
 보광아 미셰 즁이 이 주016)
이 :
‘미셰 즁이 이  일일 팔일 …’의 원문은 ‘未來世衆生 於月 一日 八日…’(벽송암판 중10ㄴ)이다. 『월인석보』(21상:97ㄴ)에는 ‘未來世 衆生이 ᄃᆞᆳ 初ᄒᆞᄅᆞ 八日…’로 적혀 있다. 이 책의 ‘이 ᄃᆞᆯ’은 잘못이다. ‘ᄃᆞᆯ’은 ‘매월(每月)’을 뜻한다.
일일주017)
일일:
일일(一日). ‘일일 팔일 십일 십오일 십팔일 이십삼 이십 이십팔 이십구일 삼십일’의 원문은 ‘一日 八日 十四 十五 十八日 二十三 二十四 二十八日 二十九 三十日’(벽송암판 중10ㄴ)이다. ‘日’이 놓인 위치가 같지 않다. 『월인석보』(21상:97ㄴ-98ㄱ)에는 ‘初 八日 十四 十五 十八日 二十三 二十四 二十八日 二十九 三十日’로 되어 있다. 이 대목은 십재일(十齋日)에 대한 설명이다.
팔일 십일 십오일 십팔일 이십삼 이십 이십팔 이십구일 삼십일의주018)
삼십일의:
삼십일에. 『월인석보』(21상:98ㄱ)의 ‘에’가 이 책에서는 ‘의’로 바뀌었다.
니으면주019)
니으면:
‘이르면’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부분은 원문에도 없고 『월인석보』(21상:98ㄱ)에도 없는 내용이다. 이 책에서 첨가한 것이다.
이 날의주020)
이 날ᄃᆞᆯ의:
이 날들에. 원문은 ‘是諸日等’(벽송암판 중10ㄴ)이다. 이+날[日]+ᄃᆞᆯ(복수 접미사)+의(부사격 조사). 원문의 ‘是諸日等’을 『월인석보』(21상:98ㄱ)에서는 ‘이 날ᄃᆞᆯᄒᆞᆫ’으로 언해하였는데, 이 책에서는 ‘이 날ᄃᆞᆯ의’로 언해하였다. 보조사 ‘ᄋᆞᆫ’과 부사격 조사 ‘의’의 차이이다.
죄을 모도와주021)
모도와:
모아. 몯-[集]+오(사동 접미사)+아(어미). ‘모도아’로도 나타나고 ‘모도와’로도 나타난다. ‘모도와’는 반자음 [w] 개입 현상을 표기에 반영한 것이다.
경즁을주022)
경즁을:
죄의 경중(輕重)을.
일뎡니주023)
일뎡니:
결정하나니. 확정하나니. ‘一定ᄒᆞ다, 일뎡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고, 드물게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기도 했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남염부뎨주024)
남염부뎨:
남염부제(南閻浮提), 염부제(閻浮提). 이 책에서는 ‘남염브뎨’로도 나타난다.
즁의 며주025)
ᄒᆞ며:
행하며.
말며주026)
말며:
행하지 않으며.
념 동미주027)
념 동ᄒᆞ미:
염(念)을 동(動)함이. 생각을 움직임이. 『월인석보』(21상:98ㄱ)에는 ‘念 뮈우미’로 적혀 있다. ‘ᄒᆞ며 말며 념 동미’의 원문은 ‘擧止動念’이다. ‘擧止’는 현대국어에서 합성어의 구성 요소로서 쓰이고 있다. ‘행동거지(行動擧止)’가 그 예이다. 중14ㄴ에는 ‘발 들며 념 동ᄒᆞ미’로 나타난다. 이때의 원문은 ‘擧足動念’이다.
아니

지장경언해 중:13ㄱ

주028)
아니니:
아닌 것이. 아니-[不]+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업스며 죄 아니니 업스니 믈며주029)
믈며:
하물며. ᄒᆞᄆᆞᆯ며〉ᄒᆞ믈며.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염(念)하되 일만 번이 차면 이 〈아이는〉 아들이거나 딸이거나, 전생의 앙보(殃報)를 곧 벗어나 안락하여, 쉬이 길러 목숨이 더 길어지리니, 만약 복을 받아 태어난 사람이면 더욱 안락하며 목숨이 길어지리라. 또 보광아, 미래세의 중생이 이 달
(매월)
일일 팔일 십사일 십오일 십팔일 이십삼일 이십사일 이십팔일 이십구일 삼십일에 이르면, 이 날들에 죄를 모아 경중(輕重)을 결정하나니, 남염부제 중생의 행함이나 행하지 않음이나 생각을 운영함이 업(業) 아닌 것이 없으며 죄 아닌 것이 없으니, 하물며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념호되:염(念)하되. 염불하되.
주002)
면:차면. ᄎᆞ-[滿]+면.
주003)
이:이 아이는. 이(지시 대명사)+Ø(주격 조사).
주004)
아이어나:아들이거나. 중세국어와 같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러나 이 책에는 ‘ㄱ’이 복원된 모습도 많다.
주005)
아:전생의. 아ᄅᆡ[前生]+ㅅ(관형격 조사).
주006)
앙보을:앙보(殃報)를.
주007)
문득:곧바로. 단박에. 원문은 ‘便’이다. 믄득〉문득. ‘믄득(문득)’은 ‘곧바로. 단박에’의 뜻을 지닌다. ‘믄득’의 발달형인 현대국어 ‘문득’의 의미와는 다르다.
주008)
버서:벗어나. 중세국어에서는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인다. ¶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주009)
안낙야:안락(安樂)하여.
주010)
수이:쉬이. 수ᄫᅵ〉수이.
주011)
양야:양(養)하여. 길러.
주012)
증댱리니:증장(增長)하리니. 길어지리니.
주013)
살음이면:사람이면.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사름’을 ‘살음’으로 적은 것은 분철화의 경향을 의식한 과잉교정의 예이다.
주014)
더옥:『월인석보』(21상:97ㄴ)에는 ‘더욱’으로 적혀 있다. 더욱〉더옥.
주015)
길니라:길리라.
주016)
이 :‘미셰 즁이 이  일일 팔일 …’의 원문은 ‘未來世衆生 於月 一日 八日…’(벽송암판 중10ㄴ)이다. 『월인석보』(21상:97ㄴ)에는 ‘未來世 衆生이 ᄃᆞᆳ 初ᄒᆞᄅᆞ 八日…’로 적혀 있다. 이 책의 ‘이 ᄃᆞᆯ’은 잘못이다. ‘ᄃᆞᆯ’은 ‘매월(每月)’을 뜻한다.
주017)
일일:일일(一日). ‘일일 팔일 십일 십오일 십팔일 이십삼 이십 이십팔 이십구일 삼십일’의 원문은 ‘一日 八日 十四 十五 十八日 二十三 二十四 二十八日 二十九 三十日’(벽송암판 중10ㄴ)이다. ‘日’이 놓인 위치가 같지 않다. 『월인석보』(21상:97ㄴ-98ㄱ)에는 ‘初 八日 十四 十五 十八日 二十三 二十四 二十八日 二十九 三十日’로 되어 있다. 이 대목은 십재일(十齋日)에 대한 설명이다.
주018)
삼십일의:삼십일에. 『월인석보』(21상:98ㄱ)의 ‘에’가 이 책에서는 ‘의’로 바뀌었다.
주019)
니으면:‘이르면’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부분은 원문에도 없고 『월인석보』(21상:98ㄱ)에도 없는 내용이다. 이 책에서 첨가한 것이다.
주020)
이 날ᄃᆞᆯ의:이 날들에. 원문은 ‘是諸日等’(벽송암판 중10ㄴ)이다. 이+날[日]+ᄃᆞᆯ(복수 접미사)+의(부사격 조사). 원문의 ‘是諸日等’을 『월인석보』(21상:98ㄱ)에서는 ‘이 날ᄃᆞᆯᄒᆞᆫ’으로 언해하였는데, 이 책에서는 ‘이 날ᄃᆞᆯ의’로 언해하였다. 보조사 ‘ᄋᆞᆫ’과 부사격 조사 ‘의’의 차이이다.
주021)
모도와:모아. 몯-[集]+오(사동 접미사)+아(어미). ‘모도아’로도 나타나고 ‘모도와’로도 나타난다. ‘모도와’는 반자음 [w] 개입 현상을 표기에 반영한 것이다.
주022)
경즁을:죄의 경중(輕重)을.
주023)
일뎡니:결정하나니. 확정하나니. ‘一定ᄒᆞ다, 일뎡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고, 드물게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기도 했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주024)
남염부뎨:남염부제(南閻浮提), 염부제(閻浮提). 이 책에서는 ‘남염브뎨’로도 나타난다.
주025)
ᄒᆞ며:행하며.
주026)
말며:행하지 않으며.
주027)
념 동ᄒᆞ미:염(念)을 동(動)함이. 생각을 움직임이. 『월인석보』(21상:98ㄱ)에는 ‘念 뮈우미’로 적혀 있다. ‘ᄒᆞ며 말며 념 동미’의 원문은 ‘擧止動念’이다. ‘擧止’는 현대국어에서 합성어의 구성 요소로서 쓰이고 있다. ‘행동거지(行動擧止)’가 그 예이다. 중14ㄴ에는 ‘발 들며 념 동ᄒᆞ미’로 나타난다. 이때의 원문은 ‘擧足動念’이다.
주028)
아니니:아닌 것이. 아니-[不]+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주029)
믈며:하물며. ᄒᆞᄆᆞᆯ며〉ᄒᆞ믈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