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디주001) 죽디:죽지. 죽-[死]+디(보조적 연결 어미).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 어미 ‘-지’는 기원이 전혀 다르다. 보조적 연결 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하고, 후행절을 부정하는 의미로 쓰였다.
아니케
라주002) 라:하라. ᄒᆞ-+라(명령 종결 어미). 현대국어에서는 간접명령의 하라체와 직접명령의 해라체가 구별되지만, 중세국어나 근대국어의 ‘말라’와 ‘마아라’도 그와 같이 구별되는지는 확인할 수 없다.
호미주003) 호미:함과. ᄒᆞ-+옴(명사형 어미)+이(비교 부사격 조사).
니주004) 니:같으니. ᄀᆞᇀ-[如]+ᄋᆞ니. ‘ᄀᆞᄐᆞ-’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일럴주005) 일럴:이러므로. ‘이럴ᄉᆡ’의 중철 또는 오각이다. 이 책에 예가 아주 많다.
디장보살주006) 디장보살:지장보살(地藏菩薩). ‘地’의 전통 한자음이 ‘지’였으므로, ‘디’는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역구개음화)이다.
이 큰
비주007) 비:자비(慈悲). ‘慈’의 전통 한자음은 ‘ᄌᆞ’였다. ‘ᄌᆡ’는 ‘ᄌᆞ’가 제2음절의 ‘비’에 동화된 것이다.
자(져)주008) ᄀᆞ자:갖추어. -[具]+아(연결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였다. 다음 예문에서는 ‘ᄀᆞ자’가 자동사로 쓰였다. ¶修行 微妙 法門이 오직 이 荷澤祖師의 치샨 말매 자 잇니라〈법집별행록 10ㄱ〉. 약사전판에는 ‘ᄀᆞ져’로 적혀 있다.
죄고 즁을
구완주009) 구완:구원(救援). 이 책에는 ‘구안’으로 적힌 곳도 있고 ‘구완’으로 적힌 곳도 있다.
야
혀내야주010) 텬인주011) 텬인:천인(天人). 천상(天上)과 인간 세계.
즁의주012) 즁의:중에. 『월인석보』(21하:119ㄴ)에는 ‘中에’로 적혀 있다. ‘의’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기능을 상실하고 광범위한 환경에 쓰인 것이다.
나주013) 묘락주014) 을
슈케주015) 코져주016) 거든주017) 이
죄즁히주018) 죄즁히:죄중(罪衆)들이. 죄 지은 중생들이. ᄃᆞᆶ(복수 접미사)+이(주격 조사). ㅎ말음체언의 ‘ㅎ’이 유지된 모습이다. ‘ᄃᆞᆶ’은 애초에 접미사가 아니라 명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업도고을주019) 업도고을:업도고(業道苦)를. 업도의 고통을. ‘업도’는 고락(苦樂)의 과보를 감수하게 하는 선악의 업이다. 신·구·의(身口意)의 3업을 말한다. 이것은 사람을 6취(趣)의 윤회 세계로 가게 하는 길이 되므로 ‘업도’라고 한다.
알아
버서주020) 버서:벗어나. 벗-[脫]+어. 중세국어에서는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인다. ¶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와 종결 어미 ‘-지’는 기원이 전혀 다르다. 보조적 연결 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가 발달한 것이다. ‘-디’는 선행 종속절을 강하게 긍정하고, 후행절을 부정하는 의미로 쓰였다.
여여주021) 나주022) 기리주023) 다시주024) 다시:다시는. 『월인석보』(21하:120ㄱ)에는 ‘ᄂᆞ외’로 적혀 있다. ‘ᄂᆞ외’가 이 시기에 생산성을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디나디주025) 디나디:지나지. 겪지. 디나-[歷]+디(보조적 연결 어미). 원문은 ‘歷’(벽송암판 중19ㄴ)이다.
아니니주026) 아니니:아니하나니. ‘아니ᄒᆞᄂᆞ니’의 중철이다.
미인이 험도애
그륻주027) 그륻:그릇. 잘못. 『월인석보』(21하:120ㄱ)에는 ‘그르’로 적혀 있다. ‘그르’는 형용사 ‘그르-’에서 접사 없이 영파생된 부사이다. ‘ㅅ’이 붙은 ‘그릇’은 근대국어에서 나타난다.
드러가주028) 드러가:들어갔다가. 들-[入]+엇+다가. 『월인석보』(21하:120ㄱ)에는 ‘드러 잇다가’로 적혀 있다. ‘-앗/엇-’은 형태적 관점에서 보면 현대국어 ‘아+있-’에 해당하는 ‘-아+잇-’의 발달형이다.
션디식주029) 션디식:선지식(善知識). 올바른 도리와 이치를 가르쳐 주는 이. 출가한 승려에게만 한정되지 않고 널리 쓰인다. 원어인 칼리야나미트라라는 말은 최초에는 불보살만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었으나, 선종의 전개와 함께 화두(話頭)를 타파한 도인을 가리키게 되었고, 점차 바른 도리를 가르치는 이는 누구나 선지식이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다.
을
만나주030) 만나:만나. 『월인석보』(21하:120ㄱ)에는 ‘맛나’로 적혀 있다.
인졉야주031) 인졉야:인접(引接)하여. 인도(引導)하여. ‘인졉ᄒᆞ여’의 주체는 ‘션디식’인데, 언해문에서 그것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원문 ‘遇善知識 引接令出 永不復入’(벽송암판 중19ㄴ)과 『월인석보』(21하:120ㄱ)의 ‘善知識 맛나 引接야 나게 야 외 드디 아니케 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나게 야
다시주032) 다시:다시는. 이 면(面) 앞의 ‘다시’와 같이, 이 경우도 『월인석보』(21하:120ㄱ)에는 ‘ᄂᆞ외’로 적혀 있다.
드디주033) 드디:들지. 들-[入]+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케 며 다 사 만나 권야 드디 아니케
야주034) 연히주035) 연히:자연(自然)히. ‘自’의 전통 한자음은 ‘ᄌᆞ’였다. 동국정운음은 ‘·ᄍᆞᆼ’였다.〈동국정운 5:2ㄱ〉.‘ᄌᆡ’는 ‘ᄌᆞ’가 제2음절 ‘연’에 동화된 것이다.
이을주036) 이을:이를. 현대국어 ‘이로 인하여’에서 부사격 조사 ‘로’가 쓰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월인석보』(21하:120ㄱ)에도 ‘이ᄅᆞᆯ 因ᄒᆞ야’로 적혀 있다.
인야 미혹믈
버서주037) 버서:벗어나. 벗-[脫]+어. 중세국어에서는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인다. ¶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여히여주038) 여히여:여의어. 벗어나. 이 책의 다른 곳에서는 ‘여희-, 여ᄒᆡ-’로 나타난다. 이 ‘여히-’는 잘못일 가능성이 크다.
다시
드지장경언해 중:23ㄴ
디주039) 드디:들어가지. 들-[入]+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주040) 아니:아니하듯. 아니+ᄒᆞ-+ᄃᆞᆺ+ᄒᆞ+니+라.
니라
다가주041) 다가:만약 이 어휘는 ‘만약’의 뜻 외에 ‘혹, 어떤, 이를테면’의 뜻도 지니고 있다. 후자인 경우에는 조건절(‘···면’)을 이끌지 않는다.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죽지 아니하게 하라 함과 같으니, 이러하므로 지장보살이 큰 자비를 갖추어서 죄고(罪苦) 중생을 구하여, 빼어내어 천상(天上)과 인간(人間) 중에 태어나 묘락(妙樂)을 수(受)하게 하고자 하니, 이 죄중(罪衆)들이 업도고(業道苦)를 알아서 벗어나 여의어 나와 길이 다시는 겪지 아니하나니, 〈이는 마치〉 미인(迷人)이 험도(險道)에 잘못 들었다가, 선지식을 만나 〈그 선지식이 미인을〉 인접(引接)하여 나오게 하여 다시는 들어가지 않게 하며 다른 사람 만나 또 권하여 들어가지 않게 하니, 자연히 이를 인(因)하여 미혹(迷惑)함을 벗어 여의어 다시 들어가지 아니하듯 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