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익주001) 니익:이로운. ‘ᄒᆞ다’의 사용 영역이 현대국어의 ‘하다’보다 아주 넓었다. 여기서는 형용사로 쓰였다.
일이
읻니주002) 읻니:있나니. ‘잇ᄂᆞ니’를 ‘읻ᄂᆞᆫ니’로 표기한 것이다.
념부주003) 즁이 이
대의주004) 대의:대사(大士)에게. ‘대사(大士)’는 부처, 보살, 전륜성왕 등과 같은 위인이다. 특히 보살을 일컫는 말로 많이 쓰인다. ‘마하살(摩訶薩)’과 같은 말이다.
큰 인년이
인니주005) 이 즁이 보살 일홈 듯거나 보살 샹을 보거나 이 경 삼 오 혹
일게주006) 일게:일게(一偈). ‘게(偈)’는 ‘게송(偈頌)’이다. 경(經)이나 논(論) 및 석(釋) 등에서 시(詩)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킨다. ‘송(頌), 송문(頌文), 게송(偈頌), 게(偈), 게타(偈他)’ 등으로 불린다.
일구 드르매 니르러도
현의주007) 장주008) 장:아주. 매우. 현대국어 ‘가장’의 의미와는 다르다. ‘’은 명사로도 쓰이고 부사로도 쓰이며, 보조사로도 쓰인다. 의미도 아주 다양하다. 부사 ‘’은 ‘매우, 극도로’란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고, 간혹 현대국어의 ‘가장’(최상급)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도 하며, ‘분명하게’를 뜻하기도 한다. 명사 ‘’은 ‘끝, 극한의 정도’ 등을 뜻한다. ‘극한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뜻하는 ‘다’도 쓰인다.
안낙며 미셰 쳔만
의주009) 샹녜 단졍야 존귀
지뷔주010) 지뷔:집에. ‘지븨(집+의)’가 원순모음화한 것이다.
나리라
급주011) 급ᄭᅴ:중세국어의 ‘그ᄢᅴ’의 ‘ㅂ’을 앞 음절 받침으로 표기한 것이다.
보광보살이
불여주012) 불여:불여래(佛如來)께서. 부처님께서. 불여ᄅᆡ+Ø(주격 조사).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주격 조사가 외현되지 않았다.
디장보살을
찬탄거신을주013) 찬탄거신을:찬탄하시거늘. ‘ᄒᆞ거신을’은 ‘ᄒᆞ거시늘’의 분철이다. 연결 어미 구조체 ‘-거시늘’ 뒤에 바로 타동사 ‘듯ᄌᆞᆸ고’가 이어진다. ‘-거신’이 기원적으로는 명사형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듯고
러주014) 러:꿇어. ᄭᅮᆯ-[跪]+어. 현대국어 ‘꿇다’의 중세국어 어형은 ‘ᄭᅮᆯ다’였다. 20세기 문헌에 와서야 받침에 ‘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王이 太子 려 나샤 이려 커시 阿私陁ㅣ 두립사리 말이고〈석보상절 3:1ㄴ〉. ᄭᅮᆯ코〈신학월보, 1902년, 2:530〉.
합쟝야 다시
부텯주015) 부텯:부처께. 부텨+ᄭᅴ. ‘ᄭᅴ’의 기원적 구조는 ‘ㅅ(관형격 조사)+그ᇰ+의(부사격 조사)’로 보인다. ‘그ᇰ’은 [장소] 관련 의존 명사일 가능성이 있다.
로샤주016) 로샤:아뢰시되. ᄉᆞ로-[白]+시+아ᄃᆡ. 중세국어 시기에는 ‘ᄉᆞᆲ-[白]+ᄋᆞ시+아ᄃᆡ’로 구성된 ‘ᄉᆞᆯᄫᆞ샤ᄃᆡ’로 나타난다. ‘ㅸ’이 소멸한 뒤 ‘ㆍ’까지 소멸하면서 ‘ᄉᆞᆯᄫᆞ-’가 ‘ᄉᆞ로-’로 발달하게 된 것이다. ‘ᄉᆞ로샤ᄃᆡ’의 구성 요소인 ‘ㅗ’는 본래 어미부에 속해 있던 매개모음이 변한 것이다.
셰존하 내 오래 이 대의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이로운 일이 있나니, 염부제 중생이 이 대사(大士)에게 큰 인연이 있나니, 이 중생이 보살의 이름을 듣거나 보살의 상(像)을 보거나, 이 경전의 삼자(三字) 오자(五字) 혹은 일게(一偈) 일구(一句)를 들음에 이르러도, 현재에 아주 안락하며 미래세의 백천만 생(生)에 늘 단정하여 존귀한 집에 태어나리라.” 그때에 보광보살이 불여래(佛如來)께서 지장보살을 찬탄하심을 듣자옵고, 꿇어 합장하여 다시 부처께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제가 오래 이 대사(大士)의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