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전생
  • 아육왕의 전생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전생 1


[아육왕의 전생 1]
아 주001)
아:
예전에. 일찍이. 옛날에. 아[昔](상-거, 부사).
世尊이 比丘 리시

월인석보 25:63ㄱ

주002)
리시고:
데리고. 거느리시고. 리-[率]+시+고.
王舍城드러 주003)
드러:
들어. 들-[入]+아/어.
乞食 주004)
걸식(乞食):
탁발. 스님이 마을에서 음식을 구걸하는 일.
시더니 두 童子ㅣ  일후믄 주005)
일후믄:
이름은. 일훔[名]+은(보조조사).
闍耶ㅣ오  일후믄 毗闍耶ㅣ러니 몰앳 주006)
몰앳:
모래의. 몰애[砂]+ㅅ(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의’가 씌었음.
가온 주007)
가온:
가운데. 가온[中](명사). 이 어형은 당시 중앙어로서 많이 쓰인 것으로 보이지만, 이의 직접 소급형(遡及形)인 ‘가··〈월석 14:80〉’가 2회나 나타나는 것을 보면, ‘ㅸ’ 유지형이 소실된 것이 오래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음.
이셔 노다가 주008)
노다가:
놀다가. 놀-[遊]+다가.
世尊 라고 주009)
라고:
바라보고. 라-[見]++고. ⟶ 〈63ㄱ〉 ‘받리라’.
闍耶童子너교 주010)
너교:
여기되. 너기-[念]+오(양보의 연결어미).
주011)
내:
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이며,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麥麨 주012)
맥초(麥麨):
보리 미숫가루.
부텨 주013)
부텨:
부처님께. 부텨[佛]+(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받리라 주014)
받리라:
바치리라.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객체높입 선어말어미 ‘//-’은 목적어인 명사나 부사가 가리키는 인물이 주어 명사보다 신분이 높을 때 쓰는 문법 형태임. 이는 여러 형태가 있는바, 어간 말음 ‘ㄱ, ㅂ, ㅅ, ㅎ’ 뒤에서는 ‘--’이 쓰이고, 어간말음이 모음이나 자음 ‘ㄴ, ㄹ, ㅁ’ 뒤에서는 ‘--’이 쓰이며, 어간말음 ‘ㄷ, ㅈ, ㅊ’ 뒤에서는 ‘--’이 쓰인다. 한편, 이 형태의 ‘ㅂ’종성은 ‘ㅂ’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서는 ‘ㅂ’이 유지되지만, 모음어미 앞에서는 ‘ㅸ’으로 나타남.
고 소내 주015)
소내:
손에. 손[手]+애(처소의 부사격조사).
 주016)
:
가는. -[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몰애 주017)
몰애:
모래를. 몰애[砂]+(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는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체언이 종성으로 끝나고, 체언의 모음이 양성이면 ‘-’, 음성이면 ‘- 을’이 쓰이고, 체언 말음이 모음이고 양성이면 ‘-’, 음성이면 ‘-를’이 씌었는데, 경우에 따라 ‘-ㄹ’이 쓰이기도 했음. 이는 본시 기본형 ‘ㄹ’이, 위와 같은 음운환경에 따라서 매개모음을 취한다든지, ‘ㄹ+/을’의 ㄹ 중가형(重加形)으로 발전했다고 봄.
바다 주018)
바다:
받아. 받-[受]+아/어.
世尊

월인석보 25:63ㄴ

바리예 주019)
바리예:
바리에. 바리+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노 주020)
노:
놓았는데, 놓았거늘. 놓-[置]+(객체높임 선어말어미)+거/아. ‘놓-+’에서 어간말 ‘ㅎ’이 ‘--’의 ‘ㅅ’에 역행 동화되어 ‘노-’이 된 것임. ⟶ 〈63ㄱ〉 ‘받리라’.
毗闍耶合掌 주021)
합장(合掌):
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법의 한 가지.
야 隨喜 주022)
수희(隨喜):
다른 이의 선행(善行)을 찬탄함.
더니 그제 주023)
그제:
그때. 그제(평-평, 명사). 이는 동음어로 ‘자리, 흠, 허물, 흔적’의 뜻으로도 쓰였음.
뎌 童子ㅣ 發願야 닐오 주024)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惠施 주025)
혜시(惠施):
은혜를 베풂.
善根 주026)
선근(善根):
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功德으로 一天下 一繖盖 주027)
산개(繖盖):
해를 가리는 우산. 인도에서는 국왕이나 귀인의 뒤에서 시자(侍子)가 서서 우산을 덮게 되어 있는데, 그 우산의 덮개를 가리킴.
王 得야 이 고대 주028)
고대:
곳에. 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9)
나:
나서. 나-[生]+아/어.
諸佛을 供養게 주030)
공양(供養)게:
공양하게. 供養-+(객체높임 선어말어미)+게(보조적 연결어미).
쇼셔 주031)
쇼셔:
하소서. 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爾時世尊 與諸比丘循邑而行 時有二童子 一名闍耶二名毘闍耶 共在沙中嬉戲 遙見世尊(三十二相莊嚴其體) 時闍耶童子心念言 我當以麥麨上 仍手捧細沙著世尊鉢中 時毘闍耶合掌隨喜 時彼童子而發願言 以惠施善根功德 令得一天下一繖蓋王 即於此處生得供養諸佛

[아육왕의 전생 1]
예전에 세존이 비구들을 데리시고 왕사성에 들어가 걸식하셨는데, 두 동자가 한 〈명의〉 이름은 사야이고 한 〈명의〉 이름은 비사야이었는데, 모래 가운데서 놀다가 세존을 바라보고 사야동자가 여기기를 ‘내가 보리 미숫가루로 부처님께 바치리라.’ 하고, 손에 가는 모래를 받아 세존의 바리에 놓았는데 비사야가 합장하여 수희하더니, 그때 그 동자가 발원하여 이르기를 “혜시와 선근 공덕으로 한 천하의 일산개왕을 얻어(한 산개를 받치는 왕이 되어) 이곳에 나서 모든 부처님을 공양하게 하십시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예전에. 일찍이. 옛날에. 아[昔](상-거, 부사).
주002)
리시고:데리고. 거느리시고. 리-[率]+시+고.
주003)
드러:들어. 들-[入]+아/어.
주004)
걸식(乞食):탁발. 스님이 마을에서 음식을 구걸하는 일.
주005)
일후믄:이름은. 일훔[名]+은(보조조사).
주006)
몰앳:모래의. 몰애[砂]+ㅅ(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모음조화에 따라 ‘-/의’가 씌었음.
주007)
가온:가운데. 가온[中](명사). 이 어형은 당시 중앙어로서 많이 쓰인 것으로 보이지만, 이의 직접 소급형(遡及形)인 ‘가··〈월석 14:80〉’가 2회나 나타나는 것을 보면, ‘ㅸ’ 유지형이 소실된 것이 오래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음.
주008)
노다가:놀다가. 놀-[遊]+다가.
주009)
라고:바라보고. 라-[見]++고. ⟶ 〈63ㄱ〉 ‘받리라’.
주010)
너교:여기되. 너기-[念]+오(양보의 연결어미).
주011)
내:내가. 나[我]+이/ㅣ(주격조사). ‘-이’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는 ‘ㅣ’ 이외의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쓰이며, 이중모음의 부음 ‘-ㅣ’로 끝나면 Ø(영형태)로 드러나지 않음.
주012)
맥초(麥麨):보리 미숫가루.
주013)
부텨:부처님께. 부텨[佛]+(부사격조사). ‘’는 ‘ㅅ’과 ‘긔’로 분석될 수 있는데 ‘ㅅ’는 유정 존칭 체언에 사용되는 존칭 관형격 ‘ㅅ’이고 ‘긔’는 낙차점 처소의 부사격조사 ‘’는 존칭으로 쓰임.
주014)
받리라:바치리라.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의도법 선어말어미)+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객체높입 선어말어미 ‘//-’은 목적어인 명사나 부사가 가리키는 인물이 주어 명사보다 신분이 높을 때 쓰는 문법 형태임. 이는 여러 형태가 있는바, 어간 말음 ‘ㄱ, ㅂ, ㅅ, ㅎ’ 뒤에서는 ‘--’이 쓰이고, 어간말음이 모음이나 자음 ‘ㄴ, ㄹ, ㅁ’ 뒤에서는 ‘--’이 쓰이며, 어간말음 ‘ㄷ, ㅈ, ㅊ’ 뒤에서는 ‘--’이 쓰인다. 한편, 이 형태의 ‘ㅂ’종성은 ‘ㅂ’불규칙용언의 경우와 같이 자음어미 앞에서는 ‘ㅂ’이 유지되지만, 모음어미 앞에서는 ‘ㅸ’으로 나타남.
주015)
소내:손에. 손[手]+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6)
:가는. -[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7)
몰애:모래를. 몰애[砂]+(목적격조사). 목적격조사는 체언의 음운조건에 따라, 체언이 종성으로 끝나고, 체언의 모음이 양성이면 ‘-’, 음성이면 ‘- 을’이 쓰이고, 체언 말음이 모음이고 양성이면 ‘-’, 음성이면 ‘-를’이 씌었는데, 경우에 따라 ‘-ㄹ’이 쓰이기도 했음. 이는 본시 기본형 ‘ㄹ’이, 위와 같은 음운환경에 따라서 매개모음을 취한다든지, ‘ㄹ+/을’의 ㄹ 중가형(重加形)으로 발전했다고 봄.
주018)
바다:받아. 받-[受]+아/어.
주019)
바리예:바리에. 바리+에/애/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애’는 체언의 끝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주020)
노:놓았는데, 놓았거늘. 놓-[置]+(객체높임 선어말어미)+거/아. ‘놓-+’에서 어간말 ‘ㅎ’이 ‘--’의 ‘ㅅ’에 역행 동화되어 ‘노-’이 된 것임. ⟶ 〈63ㄱ〉 ‘받리라’.
주021)
합장(合掌):두 손바닥을 합쳐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인도 경례법의 한 가지.
주022)
수희(隨喜):다른 이의 선행(善行)을 찬탄함.
주023)
그제:그때. 그제(평-평, 명사). 이는 동음어로 ‘자리, 흠, 허물, 흔적’의 뜻으로도 쓰였음.
주024)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25)
혜시(惠施):은혜를 베풂.
주026)
선근(善根):좋은 과보(果報)를 낳게 하는 착한 일.
주027)
산개(繖盖):해를 가리는 우산. 인도에서는 국왕이나 귀인의 뒤에서 시자(侍子)가 서서 우산을 덮게 되어 있는데, 그 우산의 덮개를 가리킴.
주028)
고대:곳에. 곧[處]+애/에/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9)
나:나서. 나-[生]+아/어.
주030)
공양(供養)게:공양하게. 供養-+(객체높임 선어말어미)+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쇼셔:하소서. 하십시오. -+쇼셔(쇼셔체 명령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종결어미체계는 ‘라’체, ‘야쎠’체, ‘쇼셔’체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른 명령형어미는 ‘-라, -어쎠, -쇼셔’로 나타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