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보리수와 승중 공양
  • 보리수와 승중 공양 9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리수와 승중 공양 9


[보리수와 승중 공양 9]
그제 두 沙彌 王ㅅ 念을 알오 주001)
알오:
알고. 알-[知]+고/오. ‘-오’는 ‘ㄹ’ 아래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임.
서르 닐오 王 倍히 敬信시게 져 주002)
져:
하자. -+져(청원의 종결어미).
주003)
코:
하고. ‘-+고’의 축약임.
 沙彌 주004)
확(鑊):
가마솥.
자바 주005)
자바:
잡아. 잡-[執]+아/어.
王 심기고 주006)
심기고:
주고. 전하고. 심기-[授]+고.
 沙彌 믈드리 주007)
믈드리:
물드리는. 믈드리-[染]++ㄴ(관형사형 연결어미).
플 심겨늘 王이 무로 므슷 일 료 두 沙彌 닐오 王이 우리 因

월인석보 25:129ㄴ

주008)
한:
많은. 큰. 하-[多/大](거성, 형용사).
의게 깁과 劫貝 주009)
깁과 갑패(劫貝):
비단과 무명[木綿布].
 施호려 실 大王이 믈드리샤 주010)
믈드리샤:
물들이시어. 믈드리-[染]+시+아/어.
衆僧의게 施시게 코져 노다 주011)
노다:
합니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王이 念호 내 비록 매 念코도 이베 주012)
이베:
입에. 입[口]+에(처소의 부사격조사).
니디 아니얫거늘 주013)
아니얫거늘:
아니하였거늘. 아니하니. 아니-+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在]+거늘/어늘(연결어미).
이 두 達士 주014)
달사(達士):
널리 도리에 통달한 이.
他心智 주015)
타심지(他心智):
타심통(他心通), 6통의 하나로 다른 이의 생각을 아는 능력.
 得야 내  아놋다 주016)
아놋다:
아는구나. 알-[知]++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
고 王이 즉재

월인석보 25:130ㄱ

머리 조 주017)
조:
조아리어. 좃-[叩頭](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衆僧 주018)
중승(衆僧):
수행하는 많은 스님. ⟶ 〈124ㄴ〉 ‘중승’.
의게 恭敬야 禮數 주019)
예수(禮數):
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고 沙彌려 주020)
사미(沙彌)려:
사미에게. 沙彌+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닐오 내 너희 因야 僧衣 施고 僧衣 施 後에  三衣 주021)
삼의(三衣):
비구가 입는 의복 세 가지. 1) 승가리(僧伽梨) : 설법과 탁발을 위해 왕궁과 마을에 들어갈 때 반드시 이것을 걸침. 2) 울다라승(鬱多羅僧) : 예불·독경·청강·포살 등을 할 때 입음. 3) 안타회(安陁會) : 절에서 작업하거나 누울 때 입음.
와 四億 萬 兩 珎寶로 五部衆 주022)
오부중(五部衆):
이는 불멸후 100년에 우바국다의 제자 5인이 계율에 대한 견해를 달리하여 나뉜 5파(派)를 5부(部)라 하는데, 이 5부의 대중을 가리키는 것이나, 여기서는 앞의 〈125ㄱ〉 ‘오중(五衆)’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의게 施고  四十億 萬 兩 珎寶로

월인석보 25:130ㄴ

閻浮提 宮人 婇女 太子 羣臣 사 내노라 주023)
사 내노라:
사 내다. 사-[買]+아/어#내-[使出]++오/우+라.
니阿育王經 주024)
아육왕경(阿育王經):
부남국(扶南國) 사람 승가바라가 번역, 10권.
에 닐오 몸조쳐 주025)
조쳐:
-조차. -마저. 조쳐(평-거, 조사). 이는 『이조어사전』과 『교학 고어사전』에 조사로 등록됐고 『우리말큰사전』에는 표제어로 실리지 않았으나 앞의 사전을 따라 여기서는 조사로 처리함.
사 내다 니라】
阿育王지 주026)
지:
지은. 짓-[作](ㅅ불규칙)+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65ㄴ〉 ‘지시관’.
功德 그지업수미 이 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일부 미상) 時二沙彌知王心所念 二沙彌共相謂言 令王倍增敬信 一沙彌持鑊授與王 一沙彌授以染草 王問彼沙彌 用作何等 二沙彌白王言 王因我故施與衆僧絹及劫貝 我欲令大王染成其色施與衆僧 時王作是念 我雖心念口未發言 此二達士 得他心智而知我心 王即稽首敬禮衆僧 (而說偈言... 줄임) 時王語沙彌言 我因汝等施僧衣 施僧衣已 復以三衣并四億萬兩珍寶 嚫五部衆嚫願已 復以四十億萬兩珍寶 贖取閻浮提宮人綵女 及大子群臣 阿育王所作功德無量如是 >(이상, 장아함경 권23, 아육왕경 제604, 〈대정신수대장경〉 제2, 169쪽 하~ 170쪽 하)

[보리수와 승중 공양 9]
그때 두 사미가 왕의 생각을 알고 서로 이르기를, “왕을 갑절로 공경하고 믿으시게 하자.” 하고, 한 사미는 가마솥을 잡아 왕께 전하고, 한 사미는 물들이는(염색하는) 풀을 드리니, 왕이 묻기를, “무슨 일을 하는 것인가?” 두 사미가 이르기를, “왕이 우리를 말미암으시어(우리로 인하여) 많은 중에게 비단과 겁패를 보시하려 하시므로, 대왕이 〈비단과 무명을〉 물들이시어 중승에게 보시하시게 하고자 합니다.” 왕이 생각하기를, “내가 비록 마음에 생각하고도 입으로 말하지 아니하였거늘 이 두 달사가 타심지를 얻어 내 마음을 아는구나.” 하고, 왕이 즉시 머리 조아려 중승에게 공경하여 예수하고, 사미에게 이르기를, “내가 너희를 인하여 승복을 보시하고 승복을 보시한 후에 또 삼의와 4억 만 량의 진보로 오부중(모든 스님들)에게 보시하고 또 40억 만 량의 진보로 염부제의 궁인·채녀·태자·군신을 사 냈다 하니『아육왕경』에 이르기를, “‘몸마저 사 냈다.’고 하였다.”】, 아육왕의 지은 공덕 그지없음이 이와 같았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알오:알고. 알-[知]+고/오. ‘-오’는 ‘ㄹ’ 아래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임.
주002)
져:하자. -+져(청원의 종결어미).
주003)
코:하고. ‘-+고’의 축약임.
주004)
확(鑊):가마솥.
주005)
자바:잡아. 잡-[執]+아/어.
주006)
심기고:주고. 전하고. 심기-[授]+고.
주007)
믈드리:물드리는. 믈드리-[染]++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08)
한:많은. 큰. 하-[多/大](거성, 형용사).
주009)
깁과 갑패(劫貝):비단과 무명[木綿布].
주010)
믈드리샤:물들이시어. 믈드리-[染]+시+아/어.
주011)
노다:합니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12)
이베:입에. 입[口]+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3)
아니얫거늘:아니하였거늘. 아니하니. 아니-+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잇/이시-[有,在]+거늘/어늘(연결어미).
주014)
달사(達士):널리 도리에 통달한 이.
주015)
타심지(他心智):타심통(他心通), 6통의 하나로 다른 이의 생각을 아는 능력.
주016)
아놋다:아는구나. 알-[知]++옷(감탄법 선어말어미)+다.
주017)
조:조아리어. 좃-[叩頭](ㅅ불규칙)+아/어. → 〈65ㄴ〉 ‘지시관’.
주018)
중승(衆僧):수행하는 많은 스님. ⟶ 〈124ㄴ〉 ‘중승’.
주019)
예수(禮數):상대방의 지위에 알맞은 격식으로 예를 드림.
주020)
사미(沙彌)려:사미에게. 沙彌+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부사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21)
삼의(三衣):비구가 입는 의복 세 가지. 1) 승가리(僧伽梨) : 설법과 탁발을 위해 왕궁과 마을에 들어갈 때 반드시 이것을 걸침. 2) 울다라승(鬱多羅僧) : 예불·독경·청강·포살 등을 할 때 입음. 3) 안타회(安陁會) : 절에서 작업하거나 누울 때 입음.
주022)
오부중(五部衆):이는 불멸후 100년에 우바국다의 제자 5인이 계율에 대한 견해를 달리하여 나뉜 5파(派)를 5부(部)라 하는데, 이 5부의 대중을 가리키는 것이나, 여기서는 앞의 〈125ㄱ〉 ‘오중(五衆)’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주023)
사 내노라:사 내다. 사-[買]+아/어#내-[使出]++오/우+라.
주024)
아육왕경(阿育王經):부남국(扶南國) 사람 승가바라가 번역, 10권.
주025)
조쳐:-조차. -마저. 조쳐(평-거, 조사). 이는 『이조어사전』과 『교학 고어사전』에 조사로 등록됐고 『우리말큰사전』에는 표제어로 실리지 않았으나 앞의 사전을 따라 여기서는 조사로 처리함.
주026)
지:지은. 짓-[作](ㅅ불규칙)+오/우+ㄴ(관형사형 연결어미). → 〈65ㄴ〉 ‘지시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