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5(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5(하권)
  • 아육왕의 즉위 과정
  • 아육왕의 즉위 과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아육왕의 즉위 과정 5


[아육왕의 즉위 과정 5]
王이  相師려 주001)
상사(相師)려:
관상가에게. 相師+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닐오 다시 보고라 주002)
보고라:
보라. 보-[見]+고라(청원의 명령법 종결어미).
相師ㅣ 주003)
상사(相師)ㅣ:
관상가가. 상사+이/ㅣ(주격조사).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서는 주격조사 ‘이’가 ‘ㅣ’로 교체됨.
닐오 이 中에 爲頭 그르세 주004)
그르세:
그릇에. 그릇[器]+에(처소의 부사격조사).
爲頭먹니 주005)
먹니:
먹는 사람이어야만. 먹-[食]+(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외리로소다 주006)
외리로소다:
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선어말어미 ‘-돗-’은 ‘-리-’ 뒤에서도 ‘-롯-’으로 교체됨. ‘-돗/롯-’이 ‘-(/으)다’와 연결되면 ‘-로다’가 되는데 ‘-로-’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다’로 나타남. ⟶ 〈64ㄱ〉 ‘우니있고’.
阿育닐오

월인석보 25:71ㄱ

내 爲頭 바 주007)
바:
밥을. 밥[食]+(목적격조사).
뒷노니 주008)
뒷노니:
두었으니. 두-[置]#잇-[有]+오(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내 王 외리로다 주009)
외리로다:
될 것이다. 외-[爲]+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선어말어미 ‘-도-’는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阿育 주010)
아육(阿育):
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의 어미 阿育이려 무로 婆羅門이 누를 주011)
누를:
누구를. 누[誰]+를(목적격조사).
니더뇨 주012)
니더뇨:
이르더냐? 니-[云]+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 없음)’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阿育닐오 주013)
닐오:
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나 王 외리라 더다 주014)
더다:
했습니다.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늘근 象 고 해 고 주015)
:
흰. -[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그르세 주016)
그르세:
그릇에. 그릇[器]+에(처소의 부사격조사).
밥 담고 粳米 주017)
갱미(粳米):
멥쌀. 메벼에서 나온 차지지 않은 쌀. ‘찹쌀’의 반대어.
酪飯 주018)
낙반(酪飯):
소나 양 등의 젖으로 만든 음식.
섯그니 주019)
섯그니:
섞으니. -[混]+(/으)니.
주020)
:
가장. 맨. [最](거성, 부사).
爲頭

월인석보 25:71ㄴ

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是堅勝坐我當作王 王復語師更為重觀 師又報言此中上器上食此當得王 阿育念言 我有勝食我必作王 坐散還宮 時阿育母問阿育 婆羅門定記誰耶 阿育啟言兒當作王 老象爲乘以地為坐 素器盛食粳米雜酪 是最勝也 (時婆羅門知阿育當王 數修敬 其母即便問言 誰當作王 師言汝生太子 阿育是其人也)

[아육왕의 즉위 과정 5]
왕이 또 관상가에게 이르되, “다시 보라.” 관상가가 이르기를 “이 중에 으뜸인 그릇에 으뜸인 밥(아주 좋은 음식)을 먹는 사람이어야 왕이 될 것입니다.” 아육이 이르기를, “내가 으뜸인 밥을 두었으니, 내가 왕이 될 것이로다.” 아육의 어머니가 아육이에게 묻기를, “바라문이 누구를 이르더냐?” 아육이 이르기를, “나를 왕이 될 것이다.” 했습니다. 늙은 코끼리를 타고 땅에 앉아 흰(소박한) 그릇에 밥을 담고 갱미에 낙반을 섞으니, 이것이 가장 으뜸이었습니다.”라고 했다.
Ⓒ 역자 | 김영배 / 200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상사(相師)려:관상가에게. 相師+려(부사격조사). ‘려(평거)’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평거)’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2)
보고라:보라. 보-[見]+고라(청원의 명령법 종결어미).
주003)
상사(相師)ㅣ:관상가가. 상사+이/ㅣ(주격조사).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서는 주격조사 ‘이’가 ‘ㅣ’로 교체됨.
주004)
그르세:그릇에. 그릇[器]+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5)
먹니:먹는 사람이어야만. 먹-[食]+(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연결어미)#이(의존명사)+Ø(영형태 주격조사)+(강세의 보조사).
주006)
외리로소다:될 것입니다. 외-[爲]+리+돗(감탄법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 선어말어미 ‘-돗-’은 ‘-리-’ 뒤에서도 ‘-롯-’으로 교체됨. ‘-돗/롯-’이 ‘-(/으)다’와 연결되면 ‘-로다’가 되는데 ‘-로-’의 ‘오’에 원순동화되어 ‘로소다’로 나타남. ⟶ 〈64ㄱ〉 ‘우니있고’.
주007)
바:밥을. 밥[食]+(목적격조사).
주008)
뒷노니:두었으니. 두-[置]#잇-[有]+오(의도법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주009)
외리로다:될 것이다. 외-[爲]+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도(감탄법 선어말어미)+다/라. 선어말어미 ‘-도-’는 ‘-리-’와 서술격조사 ‘-이’ 다음에서 ‘-로-’로 변동됨.
주010)
아육(阿育):Aśoka. 무우(無憂)로 번역. B.C. 2세기에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주011)
누를:누구를. 누[誰]+를(목적격조사).
주012)
니더뇨:이르더냐? 니-[云]+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오/뇨(의문법 종결어미). 중세국어의 의문법은 설명의문, 판정의문, 주어의 인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는데 주어의 인칭에 제약 없이 사용되는 의문법 종결어미 ‘-녀/니아(판정의문), 뇨/니오(설명의문)’와 주어가 2인칭일 때만 사용되는 ‘-ㄴ다(판정의문과 설명의문의 구분 없음)’ 내적 사유 구문에 사용되는 ‘-(/으)ㄴ가/ㄴ고’가 있음.
주013)
닐오:이르되. 니-[云]+오/우(양보의 연결어미).
주014)
더다:했습니다. -+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주015)
:흰. -[白]+ㄴ(관형사형 연결어미).
주016)
그르세:그릇에. 그릇[器]+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7)
갱미(粳米):멥쌀. 메벼에서 나온 차지지 않은 쌀. ‘찹쌀’의 반대어.
주018)
낙반(酪飯):소나 양 등의 젖으로 만든 음식.
주019)
섯그니:섞으니. -[混]+(/으)니.
주020)
:가장. 맨. [最](거성, 부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