듕발화 둘히:중발화(中發火) 둘에는. 대발화보다는 화약의 양이 적은 화약 공격을 이른다. ‘듕발화〉즁발화〉중발화’의 ‘듕〉즁〉중’은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거치면서 소리가 변동한 것이다. 입천장소리되기 현상은 입천장소리가 아닌 자음이 입천장소리로 되는 음운현상이다. 구개음은 입천장의 앞쪽 절반, 즉 딱딱한 경구개에 혓바닥을 대서 내는 소리로 입천장소리라고도 한다. 국어에서는 ㅈ·ㅉ·ㅊ이 대표적이다. ㅅ과 ㄴ도 모음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야·여·요·유 등) 앞에서는 구개음으로 발음된다. 단어 중간에서 ㄹㄹ도 모음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 오면 설측음[ㄹㄹ]의 구개음 로 발음된다(달력[달녁]). 모음 이가 경구개에 가까운 위치에서 발음되기 때문에 앞에 오는 자음을 구개음으로 동화시키는 것이다. 중세국어에서는 ㅈ이 구개음이 아니라 잇몸에서 나는 치조음(齒槽音)이었기 때문에 자·저·조·주와 쟈, 져, 죠, 쥬가 잘 구별되었다. 나중에 ㅈ의 음가가 구개음으로 바뀌자(ㅈ구개음화) 그 구별이 어렵게 되어 쟈, 져, 죠, 쥬가 각각 자, 저, 조, 주로 바뀌었다(쟝긔>장기, 쥰티>준치, 몬져>먼저, 쵸>초). ㅈ구개음화의 영향으로 구개음 ㅈ 뒤에서 -으가 경구개에 더 가까운 이로 바뀌는 변화도 일어났다(줏>짓·즘승>짐승·버즘>버짐·츩〉칡). ㅈ구개음화는 동화가 아니고 무조건적인 음운변화이다. 냐·녀·뇨·뉴·니에서의 ㄴ도 구개음이 아니라 치조음이었기 때문에 이들이 단어 첫머리에 나타날 수 있었다(니[齒]·닞다[잊다]·닢[잎]·녀름[여름]). 근대에 이들의 음가가 구개음으로 바뀌자(ㄴ구개음화) 단어 첫머리에서 냐·녀·뇨·뉴·니의 ㄴ이 탈락하여 각각 야·여·요·유·이가 되었다. ㄴ구개음화는 동화에 속한다(ㄷ·ㄱ·ㅎ구개음화도 마찬가지다). 국어에서 가장 대표적인 구개음화는 근대에 ㄷ이 모음이나 이로 시작되는 이중모음 앞에서 ㅈ으로 바뀐 변화다(딮>짚, 뎌것>저것, 디니다>지니다, 구디>구지[굳이]·바티>바치[밭이], 무티다>무치다[묻히다]). ㄷ구개음화 때문에 디와 같은 소리가 사라졌다가 나중에 듸가 디로 변해 새로 생기게 되었다(잔듸>잔디, 어듸>어디, 듸듸다>디디다, 견듸다>견디다, 틧글〉티끌, 느틔나무>느티나무). 이렇게 해서 새로 생긴 디는 다시 구개음화되지 않고 남았다. 전라·경상·함경 방언에서는 단어 첫머리에서 ㄱ도 ㅈ으로 구개음화되었다(ㄱ구개음화:길>질, 기름>지름, 길다>질다, 끼다>찌다). ㄱ구개음화 때문에 기와 같은 소리가 사라졌다가 나중에 긔가 기로 변해 새로 생기게 되었다(긔>기[게], 긔운>기운[氣運], 키우다〉키우다). 이렇게 해서 새로 생긴 기는 다시 구개음화되지 않고 남았다. 중부방언에서는 ㄱ구개음화를 지나치게 꺼려 ㅈ을 ㄱ으로 잘못 고친 경우도 있었다(짓〉깃, 질삼>길쌈, 맛디다>맛지다>맛기다[맡기다]). 전라·경상·함경 방언에서는 단어 첫머리의 ㅎ도 ㅅ 구개음화되었다(ㅎ구개음화:힘>심, 형>셩>성, 흉>슝>숭). 평안도 방언에서는 아무런 구개음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돟디 않다(좋지 않다), 데것(저것), 구디(굳이), 무티다(묻히다)·턴디(天地)와 같이 발음한다. 한편 원래 ㅈ이었던 것은 그대로 치조음 ㅈ으로 발음한다(자리· 저울· 주먹· 집· 돼지· 메주· 살찌다· 책· 정티[政治]· 퉁치[蟲齒]). 따라서 ㅈ뒤의 으도 이로 바뀌지 않았다(즛[짓]·즐다[질다]·즘성[짐승]). 또 ㄴ도 구개음화되지 않고 남았다(니[齒]·니블[이불]·닢[잎]·녀름[여름]). 현대국어의 표기법에서는 명사와 조사의 연결이나 어간과 접미사의 연결에서 ㄷ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전의 형태대로 적고 있다(밭이[바치]·해돋이[해도지]·같이[가치]·닫히다[다치다]). 구개음화는 다른 언어에서도 흔히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