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세종 때 새로 개발된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화약병기의 하나. 이는 달리 사전장총통(四箭長銃筒)이라 부른다. 『세종실록』 1448년(세종 30) 12월 초6일에 처음 이름이 보이는 총통으로서 『국조오례의』의 병기도설에도 그림과 설명이 있다. 병기도설에는 사전장총통을 약통(藥筒)·격목통(檄木筒)·취(嘴)·모병(冒柄)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약통은 화약을 넣는 부분으로 길이 2촌6분(79.7밀리), 속길이 2촌2분6리(69.3밀리), 겉둘레 3촌8분4리(117.7밀리), 내경 7분4리(22.7밀리), 두께 2분3리(7.1밀리)이며, 약통 끝의 막힌 부분의 두께는 3분4리(10.4밀리), 약선을 끼우는 구멍의 직경은 6리(1.8밀리) 정도다. 폭발력을 키워주는 격목을 박는 격목통의 길이는 7분4리(22.7밀리)이며, 속 길이도 또한 같다. 겉둘레는 3촌4분3리(105.1밀리)이며, 총통 입구 쪽의 안지름은 7분7리(23.6밀리), 약통쪽 내경은 7분4리(22.7밀리)로 약통쪽으로 갈수록 좁게 되어 있다. 취는 격목통의 앞에 있는 것으로 발사물인 화살[箭]이나 금속 등으로 만든 탄환을 넣는 곳이다. 크기는 길이 8촌1분9리(251밀리)이며, 겉둘레 3촌4분3리(105.1밀리), 내경은 7분7리(23.6밀리)이다. 모병은 약통 뒷부분에 있으며, 손잡이용 나무를 끼우는 곳으로 길이는 2촌2분5리(69밀리), 약통쪽 겉둘레가 2촌9분6리(90.7밀리), 끝부분의 겉둘레가 3촌7분7리(115.6밀리)이다. 전체의 길이는 1척3촌7분 8리(422.4밀리)이며, 무게는 2근 10냥이다. 사전장총통은 길이 8촌3분(254.3밀리)의 세장전(細長箭) 4개나 길이는 같고, 좀 가는 차세장전(次細長箭) 6개, 혹은 길이 8촌(245. 2밀리)의 차소전(次小箭) 1개를 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사전장총통은 1493년(성종 24) 이후부터 일자총통(日字銃筒)으로 기록되어 있다. 외형적인 특징은 약통과 총구(銃口) 사이에 아홉개의 마디[帶]가 있으며, 약통으로부터 첫째와 둘째마디 사이에 격목통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당 기념관을 비롯하여 경희대박물관에 사전장 총통이 전해오고 있다. 경희대박물관의 사전장 총통은 총통의 모병부분에 “戊□鎭上 姜鍊官 四箭長銃筒”이라 기록되어 있다.
애 小쇼藥약線션이 半반半반 오리오 火화藥약 서 돈이오 皮피翎령
화포식언해 29ㄴ
小쇼隱은藏장箭젼이 나이니 一일千쳔一일百 步보 가니라 或혹 鐵텰丸환 적이어든 火화藥약 서 돈 다 分분이오 鐵텰丸환이 세 낫이라
Ⓒ 언해 | 이서 / 1635년(인조 13)
일자총통(日字銃筒)에는 작은 심지 반의 반 오리를 쓰고 화약은 서 돈이요, 가죽 깃이 달린 은장전 화살이 하나이니 1천 1백보를 날아간다. 혹시 쇠 탄알을 쓰면 화약은 다섯 푼이요, 쇠 탄알은 세 개라.
일자총통(日字銃筒):조선 세종 때 새로 개발된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화약병기의 하나. 이는 달리 사전장총통(四箭長銃筒)이라 부른다. 『세종실록』 1448년(세종 30) 12월 초6일에 처음 이름이 보이는 총통으로서 『국조오례의』의 병기도설에도 그림과 설명이 있다. 병기도설에는 사전장총통을 약통(藥筒)·격목통(檄木筒)·취(嘴)·모병(冒柄)의 네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약통은 화약을 넣는 부분으로 길이 2촌6분(79.7밀리), 속길이 2촌2분6리(69.3밀리), 겉둘레 3촌8분4리(117.7밀리), 내경 7분4리(22.7밀리), 두께 2분3리(7.1밀리)이며, 약통 끝의 막힌 부분의 두께는 3분4리(10.4밀리), 약선을 끼우는 구멍의 직경은 6리(1.8밀리) 정도다. 폭발력을 키워주는 격목을 박는 격목통의 길이는 7분4리(22.7밀리)이며, 속 길이도 또한 같다. 겉둘레는 3촌4분3리(105.1밀리)이며, 총통 입구 쪽의 안지름은 7분7리(23.6밀리), 약통쪽 내경은 7분4리(22.7밀리)로 약통쪽으로 갈수록 좁게 되어 있다. 취는 격목통의 앞에 있는 것으로 발사물인 화살[箭]이나 금속 등으로 만든 탄환을 넣는 곳이다. 크기는 길이 8촌1분9리(251밀리)이며, 겉둘레 3촌4분3리(105.1밀리), 내경은 7분7리(23.6밀리)이다. 모병은 약통 뒷부분에 있으며, 손잡이용 나무를 끼우는 곳으로 길이는 2촌2분5리(69밀리), 약통쪽 겉둘레가 2촌9분6리(90.7밀리), 끝부분의 겉둘레가 3촌7분7리(115.6밀리)이다. 전체의 길이는 1척3촌7분 8리(422.4밀리)이며, 무게는 2근 10냥이다. 사전장총통은 길이 8촌3분(254.3밀리)의 세장전(細長箭) 4개나 길이는 같고, 좀 가는 차세장전(次細長箭) 6개, 혹은 길이 8촌(245. 2밀리)의 차소전(次小箭) 1개를 쏜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사전장총통은 1493년(성종 24) 이후부터 일자총통(日字銃筒)으로 기록되어 있다. 외형적인 특징은 약통과 총구(銃口) 사이에 아홉개의 마디[帶]가 있으며, 약통으로부터 첫째와 둘째마디 사이에 격목통이 위치하고 있다. 현재 당 기념관을 비롯하여 경희대박물관에 사전장 총통이 전해오고 있다. 경희대박물관의 사전장 총통은 총통의 모병부분에 “戊□鎭上 姜鍊官 四箭長銃筒”이라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