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화포식언해

  • 역주 화포식언해
  • 화포식언해 주해
  •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화포식언해 5ㄴ

別별黃황字銃츙筒통에 中듕藥약線션半반條됴이오 火화藥약 四兩냥이오 土토隔격 一일寸촌五오分분이오 鐵텰丸환四十십箇개라 或혹 放방皮피翎령木목箭젼則즉 檄격木목三삼寸촌이니 去거一일千쳔步보니라
Ⓒ 구결 | 이서 / 1635년(인조 13)

別별黃황字銃츙筒통주001)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
조선 후기에 썼던 청동제 유통식(有筒式) 화포. 황자총통보다 크기는 다소 크다. 주조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손잡이 거금(擧金)과 포이(砲耳)·포미(砲尾)의 자루인 병부(柄部) 처리가 황자총통과 달리 같은 방식으로 부어 만들었다. 육군사관학교 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애 中듕藥약線션이 半반 오리오 火화藥약이 넉 兩냥이오 土토隔격이  치 닷 分분이오 鐵텰丸환이 마은 낫이라

화포식언해 6ㄱ

或혹 皮피翎령 木목箭젼주002)
목젼:
목전(木箭). ‘목젼〉목전’으로 소리가 나는 것은 단모음화를 거쳐서 ‘젼〉전’으로 되었다. 단모음화의 보기로는 ‘ㅔ-ㅐ-ㅚ-ㅟ’가 있다. 단모음화는 국어사로 보아 국어발달의 시대 구분을 함에 있어 하나의 큰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보기가 중세어의 ‘ㅐ, ㅔ, ㅚ, ㅟ’가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었으나 근대국어로 오면서 단모음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가 음운체계의 변화를 가져 왔다. 국어사 시기의 구분에 대하여는 정치사적이면서도 언어사적인 구분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주장과는 다른 논의도 있다.
목전(木箭) : 나무 화살. 조선 시대 나무로 만든 화살. 무과의 초시(初試)와 복시(覆試) 때 시험용으로 만든 화살이다. 목전을 시험할 때에는 목표까지의 거리 240보(步)에서 3개를 쏘아 적중률을 평가하여 채점하였다.
을 노흘 적이어든 檄격木목이 세 치니 一일千쳔 步보주003)
일천보(一千步):
1000보를. ‘보’는 거리의 단위로서 우리말로는 ‘걸음’이라고도 하지만 주로 ‘보’로 쓴다. 1보는 한 걸음 정도의 거리인데, 주척(周尺)으로는 여섯 자 되는 거리였다. ¶다섯 보/삼 보 앞으로/이 보 전진을 위한 일 보 후퇴.
가니라
Ⓒ 언해 | 이서 / 1635년(인조 13)

별황자총통에는 중간치 심지 반 오리를 쓰고 화약은 넉 냥이요, 화약을 압축하는 흙은 한 치 다섯 푼이고 철환은 마흔 개라. 혹 가죽 깃이 달린 피령 나무 화살을 쏠 때는 세 치 짜리 뇌관을 써야 한다. 그러면 1천 보를 날아간다.
Ⓒ 역자 | 정호완 / 2013년 7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별황자총통(別黃字銃筒):조선 후기에 썼던 청동제 유통식(有筒式) 화포. 황자총통보다 크기는 다소 크다. 주조 방법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손잡이 거금(擧金)과 포이(砲耳)·포미(砲尾)의 자루인 병부(柄部) 처리가 황자총통과 달리 같은 방식으로 부어 만들었다. 육군사관학교 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주002)
목젼:목전(木箭). ‘목젼〉목전’으로 소리가 나는 것은 단모음화를 거쳐서 ‘젼〉전’으로 되었다. 단모음화의 보기로는 ‘ㅔ-ㅐ-ㅚ-ㅟ’가 있다. 단모음화는 국어사로 보아 국어발달의 시대 구분을 함에 있어 하나의 큰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보기가 중세어의 ‘ㅐ, ㅔ, ㅚ, ㅟ’가 이중 모음으로 발음되었으나 근대국어로 오면서 단모음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가 음운체계의 변화를 가져 왔다. 국어사 시기의 구분에 대하여는 정치사적이면서도 언어사적인 구분을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주장과는 다른 논의도 있다.
목전(木箭) : 나무 화살. 조선 시대 나무로 만든 화살. 무과의 초시(初試)와 복시(覆試) 때 시험용으로 만든 화살이다. 목전을 시험할 때에는 목표까지의 거리 240보(步)에서 3개를 쏘아 적중률을 평가하여 채점하였다.
주003)
일천보(一千步):1000보를. ‘보’는 거리의 단위로서 우리말로는 ‘걸음’이라고도 하지만 주로 ‘보’로 쓴다. 1보는 한 걸음 정도의 거리인데, 주척(周尺)으로는 여섯 자 되는 거리였다. ¶다섯 보/삼 보 앞으로/이 보 전진을 위한 일 보 후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