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
  • 조망(眺望)
  • 성곽을 나서다[出郭]
메뉴닫기 메뉴열기

성곽을 나서다[出郭]


出郭 주001)
출곽(出郭)
성곽을 나서다. 이 시는 당나라 숙종(肅宗) 상원(上元) 원년(760) 성도(成都)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두보가 초당(草堂)에 있을 때 매번 일로 성도에 갔다고 하는데, 성도에 갔다가 돌아올 때를 그리고 있다.

출곽
(성곽을 나서다)

霜露晩凄凄 高天逐望低

서리와 이슬왜 주002)
서리와 이슬왜
서리[霜]+와(접속 조사)#이슬[露]+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서리와 이슬이. 중세어에서는 접속되는 성분 모두에 ‘와/과’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맨 끝 성분에 ‘와/과’가 쓰이지 않는 일도 있기는 하다. ¶使君의 과 氣運괘 하 凌犯리로소니 녜 歡娛 제 녜 블리던 이 노라(사군(使君)의 뜻과 기운이 하늘을 찌를 것 같았는데, 옛날 즐겨 놀던 때 늘 불려가던 일을 생각하노라.)〈두시(초) 10:1ㄱ〉.
나조 주003)
나조
나조ㅎ[夕, 晩]+(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저녁에. ¶震 東方이오 旦 아미니  東녀긔 이시면 아미오 西ㅅ녀긔 가면 나조힐 東녀글 아미라 니라(진은 동쪽이고, 단은 아침이니, 해가 동쪽에 있으면 아침이고, 서쪽에 가면 저녁이므로, 동쪽을 아침이라고 하는 것이다.)〈월석 2:49ㄴ~50ㄱ〉.
서니 주004)
서니
서늘[凉(량), 淒(처: 쓸쓸하다)+-(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서늘하니.
노 주005)
노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높은.
하히 주006)
하히
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라오 조차 주007)
라오 조차
라[望]-+-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좇[隨, 逐]-+-아(연결 어미). 바라보는 것을 좇아. 바라보는 것을 따라.
가와 주008)
가와
[低]-+-갑(형용사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낮가워. 낮아. 낮게. ¶그 히 平正야 노며 가오며 굳과 두들기 업고 琉璃로  오 寶樹ㅣ 벌오 黃金으로 노 라 긼 느리고(그 땅이 평정하여 높고 낮으며 구덩이와 두둑이 없고 유리로 땅을 만들고 보수가 벌여 있고, 황금으로 노끈를 만들어 길가에 늘이고)〈법화 3:59ㄱ〉.
뵈놋다 주009)
뵈놋다
보[見]-+-이(피동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보이는구나. 뵈는구나. ¶수프리 幽僻니 올 사미 젹고 뫼히 기니 가 새 져거 뵈놋다(수풀이 후미진 곳에 숨어 있으니 올 사람이 적고, 산이 기니 가는 새 적어 보이는구나.)〈두시(초) 10:36ㄴ〉.

【한자음】 상로만처처 고천축망저
【언해역】 서리와 이슬이 저녁에 서늘하니
(서늘하게 내리니)
높은 하늘이 바라보는 것을 따라 낮게 뵈는구나.

遠煙塩井上 斜景雪峯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29ㄱ

西

먼  주010)
먼 
멀[遠]-+-ㄴ(관형사형 어미)#(장소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ㅅ(관형격 조사). 먼 데의. 먼 곳의. ‘’는 ‘(의존 명사)+(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 주011)

[煙]+(보조사). 내는. 연기는. ¶煙 라(연은 내이다.)〈월석 10:47ㄴ〉. 比量 因由譬喩로 比度 씨니 머리  보고 블 잇  아로미 니 비록 브를 몯 보아도 거츠디 아니 씨라(비량은 인유비유로 비탁할 것이니, 멀리 내(연기)를 보고 불이 있는 줄을 아는 것과 같으니, 비록 불을 보지 못해도 망령되지 않은 것이다.)〈월석 9:7ㄱ~8ㄱ〉.
소곰 굽 주012)
소곰 굽
소곰[鹽]#굽[煮(자: 소금 굽다)]-+-(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소금 굽는.
우믌 우히오 주013)
우믌 우히오
우믈[井]+ㅅ(관형격 조사)#우ㅎ[上]#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우물 위이고.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어간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빗근 주014)
빗근
빗그[斜]-+-ㄴ(관형사형 어미). 비낀. 비스듬한. ¶北斗ㅣ 빗거 가거 사미 다시 라오니 리 라 가치 디 아니놋다(북두칠성이 비끼어 가거 사람이 다시 바라보니 달이 가늘어 까치 날지 않는구나.)〈두시(초) 11:46ㄱ〉.
 주015)

[日]+(보조사). 해는. 태양은.
雪峰ㅅ 주016)
설봉(雪峰)ㅅ
설봉(雪峰)+ㅅ(관형격 조사). 설봉의. 눈 덮인 봉우리의. 여기서 ‘설봉(雪峰)’은 서산(西山)을 말한다.
西ㅅ 녀기로다 주017)
서(西)ㅅ 녀기로다
서(西)+ㅅ(관형격 조사)#녁[方]#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서녘이로다.

【한자음】 원연염정상 사경설봉서
【언해역】 먼 곳의 연기는 소금 굽는 우물 위이고, 비낀 해는 설봉(雪峰)의 서녘이로다.

故國猶兵馬 他鄕亦鼓鼙

故國에 주018)
고국(故國)에
고국(故國)+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고향(故鄕)에.
오히려 주019)
오히려
오히려(부사). 원문에 있는 ‘유(猶)’의 언해. 그런데 한자 ‘유(猶)’에는 ‘지금도 역시’의 뜻이 있으니, 이 시에서는 ‘고향에는 지금도 역시 병마가 뛰고, 타향에도 또한 북소리가 들리는구나’로 해석함이 옳겠다.
兵馬ㅣ 주020)
병마(兵馬)ㅣ
병마(兵馬)+이(주격 조사). 전쟁이. ¶大角애 兵馬ㅅ 氣運이 얼겟고 鉤陳은 님 畿甸으로 나가놋다(황제의 자리에는 전쟁의 기운이 깃들어 있고, 천자의 지팡이는 임금의 도읍 근역(近域)으로 나가는구나.)〈두시(초) 10:11ㄱ〉.
잇고 他鄕애도 주021)
타향(他鄕)애도
타향(他鄕)+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도(보조사). 타향에도. 타향은 지금 두보가 살고 있는 성도(成都)이다.
鼓鼙ㅅ 주022)
고비(鼓鼙)ㅅ
고비(鼓鼙)+ㅅ(관형격 조사). 북의. ‘고(鼓)’는 조금 큰 북을 가리키고, ‘비(鼙)’는 작은 북을 가리킨다.
소리로다

【한자음】 고국유병마 타향역고비
【언해역】 고향에 오히려 전쟁이 있고, 타향에도 또 〈전쟁의〉 북소리로다.

江城今夜客 還與舊烏啼【此 感天下之亂야 與烏俱啼니 其憂國之心이 深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 城엣 주023)
 城엣
[江]+ㅅ(관형격 조사)#성(城)+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강 성(城)의. 강변 성에서의. ‘ 성(城)’은 성도(成都)를 가리킨다.
오  주024)
오 
오[今日]+ㅅ(관형격 조사)#밤[夜]+ㅅ(관형격 조사). 오늘 밤의.
나그내 도로 녯 가마괴와 주025)
가마괴와
가마괴[烏]+와(접속 조사). 까마귀와. ¶세 발 가진 가마괴 바리 어러 버흘가 전노니(세 발 가진 까마귀를 발이 얼어 끊어질까 걱정하노니)〈두시(초) 10:41ㄱ〉.
다 주026)
다
함께. ¶그듸의 노  믈 보니 萬人과 다 호 붓그리놋다(그대가 높은 뜻 쓰는 것을 보니 만인(萬人)과 같은 것을 부끄러워하도다.)〈두시(초) 21:26ㄱ〉. 가마오디와 믌가 쇽졀업시 오 깃디 말라 나도 네 물와 다야 다 누니 번호라(가마오지와 물닭아, 속절없이 혼자서 기뻐하지 말라. 나도 네 무리와 함께하여 다 눈이 훤하구나.)〈두시(초) 10:4ㄱ〉.
우노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강성금야객 환여구오제【이는 천하의 난을 느껴 까마귀와 더불어 함께 우니 그 나라를 걱정하는 마음이 깊은 것이다.】
【언해역】 강 성(城)에서의 오늘 밤 나그네가 도리어 옛 까마귀와 함께 우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3년 11월 30일

주석
주001)
출곽(出郭) : 성곽을 나서다. 이 시는 당나라 숙종(肅宗) 상원(上元) 원년(760) 성도(成都)에서 지은 것이라 한다. 두보가 초당(草堂)에 있을 때 매번 일로 성도에 갔다고 하는데, 성도에 갔다가 돌아올 때를 그리고 있다.
주002)
서리와 이슬왜 : 서리[霜]+와(접속 조사)#이슬[露]+와(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서리와 이슬이. 중세어에서는 접속되는 성분 모두에 ‘와/과’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맨 끝 성분에 ‘와/과’가 쓰이지 않는 일도 있기는 하다. ¶使君의 과 氣運괘 하 凌犯리로소니 녜 歡娛 제 녜 블리던 이 노라(사군(使君)의 뜻과 기운이 하늘을 찌를 것 같았는데, 옛날 즐겨 놀던 때 늘 불려가던 일을 생각하노라.)〈두시(초) 10:1ㄱ〉.
주003)
나조 : 나조ㅎ[夕, 晩]+(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저녁에. ¶震 東方이오 旦 아미니  東녀긔 이시면 아미오 西ㅅ녀긔 가면 나조힐 東녀글 아미라 니라(진은 동쪽이고, 단은 아침이니, 해가 동쪽에 있으면 아침이고, 서쪽에 가면 저녁이므로, 동쪽을 아침이라고 하는 것이다.)〈월석 2:49ㄴ~50ㄱ〉.
주004)
서니 : 서늘[凉(량), 淒(처: 쓸쓸하다)+-(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서늘하니.
주005)
노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높은.
주006)
하히 : 하ㅎ[天]+이(주격 조사). 하늘이.
주007)
라오 조차 : 라[望]-+-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좇[隨, 逐]-+-아(연결 어미). 바라보는 것을 좇아. 바라보는 것을 따라.
주008)
가와 : [低]-+-갑(형용사 파생 접미사)-+-아(연결 어미). 낮가워. 낮아. 낮게. ¶그 히 平正야 노며 가오며 굳과 두들기 업고 琉璃로  오 寶樹ㅣ 벌오 黃金으로 노 라 긼 느리고(그 땅이 평정하여 높고 낮으며 구덩이와 두둑이 없고 유리로 땅을 만들고 보수가 벌여 있고, 황금으로 노끈를 만들어 길가에 늘이고)〈법화 3:59ㄱ〉.
주009)
뵈놋다 : 보[見]-+-이(피동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보이는구나. 뵈는구나. ¶수프리 幽僻니 올 사미 젹고 뫼히 기니 가 새 져거 뵈놋다(수풀이 후미진 곳에 숨어 있으니 올 사람이 적고, 산이 기니 가는 새 적어 보이는구나.)〈두시(초) 10:36ㄴ〉.
주010)
먼  : 멀[遠]-+-ㄴ(관형사형 어미)#(장소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ㅅ(관형격 조사). 먼 데의. 먼 곳의. ‘’는 ‘(의존 명사)+(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주011)
 : [煙]+(보조사). 내는. 연기는. ¶煙 라(연은 내이다.)〈월석 10:47ㄴ〉. 比量 因由譬喩로 比度 씨니 머리  보고 블 잇  아로미 니 비록 브를 몯 보아도 거츠디 아니 씨라(비량은 인유비유로 비탁할 것이니, 멀리 내(연기)를 보고 불이 있는 줄을 아는 것과 같으니, 비록 불을 보지 못해도 망령되지 않은 것이다.)〈월석 9:7ㄱ~8ㄱ〉.
주012)
소곰 굽 : 소곰[鹽]#굽[煮(자: 소금 굽다)]-+-(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소금 굽는.
주013)
우믌 우히오 : 우믈[井]+ㅅ(관형격 조사)#우ㅎ[上]#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우물 위이고.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어간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주014)
빗근 : 빗그[斜]-+-ㄴ(관형사형 어미). 비낀. 비스듬한. ¶北斗ㅣ 빗거 가거 사미 다시 라오니 리 라 가치 디 아니놋다(북두칠성이 비끼어 가거 사람이 다시 바라보니 달이 가늘어 까치 날지 않는구나.)〈두시(초) 11:46ㄱ〉.
주015)
 : [日]+(보조사). 해는. 태양은.
주016)
설봉(雪峰)ㅅ : 설봉(雪峰)+ㅅ(관형격 조사). 설봉의. 눈 덮인 봉우리의. 여기서 ‘설봉(雪峰)’은 서산(西山)을 말한다.
주017)
서(西)ㅅ 녀기로다 : 서(西)+ㅅ(관형격 조사)#녁[方]#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서녘이로다.
주018)
고국(故國)에 : 고국(故國)+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고향(故鄕)에.
주019)
오히려 : 오히려(부사). 원문에 있는 ‘유(猶)’의 언해. 그런데 한자 ‘유(猶)’에는 ‘지금도 역시’의 뜻이 있으니, 이 시에서는 ‘고향에는 지금도 역시 병마가 뛰고, 타향에도 또한 북소리가 들리는구나’로 해석함이 옳겠다.
주020)
병마(兵馬)ㅣ : 병마(兵馬)+이(주격 조사). 전쟁이. ¶大角애 兵馬ㅅ 氣運이 얼겟고 鉤陳은 님 畿甸으로 나가놋다(황제의 자리에는 전쟁의 기운이 깃들어 있고, 천자의 지팡이는 임금의 도읍 근역(近域)으로 나가는구나.)〈두시(초) 10:11ㄱ〉.
주021)
타향(他鄕)애도 : 타향(他鄕)+애(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도(보조사). 타향에도. 타향은 지금 두보가 살고 있는 성도(成都)이다.
주022)
고비(鼓鼙)ㅅ : 고비(鼓鼙)+ㅅ(관형격 조사). 북의. ‘고(鼓)’는 조금 큰 북을 가리키고, ‘비(鼙)’는 작은 북을 가리킨다.
주023)
 城엣 : [江]+ㅅ(관형격 조사)#성(城)+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강 성(城)의. 강변 성에서의. ‘ 성(城)’은 성도(成都)를 가리킨다.
주024)
오  : 오[今日]+ㅅ(관형격 조사)#밤[夜]+ㅅ(관형격 조사). 오늘 밤의.
주025)
가마괴와 : 가마괴[烏]+와(접속 조사). 까마귀와. ¶세 발 가진 가마괴 바리 어러 버흘가 전노니(세 발 가진 까마귀를 발이 얼어 끊어질까 걱정하노니)〈두시(초) 10:41ㄱ〉.
주026)
다 : 함께. ¶그듸의 노  믈 보니 萬人과 다 호 붓그리놋다(그대가 높은 뜻 쓰는 것을 보니 만인(萬人)과 같은 것을 부끄러워하도다.)〈두시(초) 21:26ㄱ〉. 가마오디와 믌가 쇽졀업시 오 깃디 말라 나도 네 물와 다야 다 누니 번호라(가마오지와 물닭아, 속절없이 혼자서 기뻐하지 말라. 나도 네 무리와 함께하여 다 눈이 훤하구나.)〈두시(초) 10:4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