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
  • 누각(樓閣)
  • 교(郊)자 운을 얻어, 신진현의 북교루에 제함[題新津北橋樓得郊字]
메뉴닫기 메뉴열기

교(郊)자 운을 얻어, 신진현의 북교루에 제함[題新津北橋樓得郊字]


新津 주001)
신진(新津)
신진현(新津縣)을 말한다. 사천(四川) 분지의 서부, 성도(成都)의 남부에 위치한다. 성도까지의 거리는 28마일이 된다. 예전에는 ‘남방의 실처럼 얽힌 옛길의 제일가는 요지’이란 명예를 지고 있었으나 지금은 ‘성도의 남대문’이란 칭호를 가지고 있다. 경내는 평원 위주로 되어 있으며, 간혹 낮은 구릉이 있는 정도이다.
北橋樓 주002)
북교루(北橋樓)
신진현에 있는 누각의 하나.
得郊字
주003)
제신진북교루득교자(題新津北橋樓得郊字)
교(郊)자 운을 얻어, 신진현의 북교루에 제함. 이 시는 당나라 숙종(肅宗) 상원(上元) 2년(761)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신진의 현령이 주연을 베푸는 자리에 두보도 있었는데, 이 시는 그때 즉흥적으로 지어진 것이다. 집어 든 것이 교(郊)자 운이었다.

제신진북교루득교자
(교(郊)자 운을 얻어, 신진현의 북교루에 제함)

望極春城上 開筵近鳥巢【近鳥巢 樓高할라】

 城 주004)
 성(城)
봄[春]+ㅅ(관형격 조사)#성(城). 봄의 성.
우희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4:19ㄱ

주005)
우희셔
우ㅎ[上]+의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위에서. 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의셔’는 ‘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셔(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樓 우희 올아 처 賦 지미 잇고 돗 나가 매 榮華로이 시니라(누각 위에 올라가 처음 부(賦) 지은 일이 있고, 자리에 나아가 마침내 영화롭게 된 것이다.)〈두시(초) 10:15ㄱ〉. 羅睺羅 더브러 노 樓 우희 오시고【樓는 다라기라】(나후라를 더불고 높은 누 위에 오르시고【누는 다락이다.】)〈석보 6:2ㄴ〉.
라오 주006)
라오
라[望]-+-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바라봄을. ¶ 구루미 나조 南녀그로 가니 可히 라고 可히 더위잡디 몯리로다(뜬 구름이 저녁에 남쪽으로 가니 바라보지도 붙잡지도 못하리로다.)〈두시(초) 5:28ㄴ〉.
 주007)

끝까지.
고 돗 펴 주008)
돗 펴
[席, 筵(연: 대자리)]+(대격 조사)#펴[開]-+-어(연결 어미). 자리를 펴. 자리를 펴서.
새기세 주009)
새기세
새[鳥]#깃[巢]+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새보금자리에. 새집에.
갓가이 주010)
갓가이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갓갑[近]-’의 받침 ‘ㅂ’이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 탈락한 것이다. ‘갓갑[近]-’의 받침 ‘ㅂ’이 모음 앞에서 ‘ㅸ[β]’이 되고 다시 ‘w’가 되었다면, ‘갓가위’와 같이 나타나야 할 것이나, 그렇게 되지 않고 있다. 활용 어미와 달리 파생 접미사 앞에서는 ‘ㅂ’이 탈락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내 그 마 놀라니 天河의 다  업 야  너머 人情에 갓갑디 아니터라(내가 그 말엘 놀라니, 천하(天河)가 다다른 데 없듯 해서 너무 지나쳐 인정에 가깝지 아니하더라.)〈법화 2:27ㄴ〉.
호라 주011)
호라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한다. 하노라.

【한자음】 망극춘성상 개연근조소【새집에 가까이 한다는 것은 누각이 높기 때문이다.】
【언해역】 봄의 성(城) 위에서 바라보는 것을 끝까지 하고 자리를 펴 새집에 가까이 하노라.

白花簷外朶 靑柳檻前梢

 고 주012)
 고
[白]-+-ㄴ(관형사형 어미)#곶[花]+(보조사). 흰 꽃은.
집기슭 주013)
집기슭
처맛기슭. ¶中夜 어드운 래 雲霧ㅣ어드우면  어둡고 입과 窓과 메  초 보고 담과 집 기슭 예  마고 보고(한밤중 어두운 달에 구름과 안개가 어두우면 또 어둡고 입구와 창(窓)과 틈에 또 통하는 것을 보고 담과 집 기슭 사이에 또 막음을 보고)〈능엄 2:28ㄴ~29ㄱ〉.
밧긧 주014)
밧긧
[外]+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밖의. ¶ 밧긔 지비 댓수흘 브텟고 욼  므른 城으로 向야 흐르다(들 바깥의(야외에 있는) 집이 대나무 숲에 붙어 있고, 울타리 가장자리의 물은 성을 향하여 흐른다.)〈두시(초) 10:23ㄴ〉.
기오 주015)
기오
기[朶(타: 꽃송이나 가지를 세는 말)]#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떨기이고.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어간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뎌 개 오직 기픈 나모 기예 깃고져 願놋다(짧은 날개는 오직 깊은 나무 떨기(무더기)에 깃들고자 원하는구나.)〈두시(초) 10:2ㄱ〉.
프른 버드른 주016)
프른 버드른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버들[柳]+은(보조사). 푸른 버들은.
軒檻 주017)
헌함(軒檻)
헌함. 누각 따위의 둘레에 만들어진, 난간이 있는 좁은 마루를 말한다. ¶仲夏ㅣ  바미 뎌르니 軒檻을 여러 간 서호 드리노라(중하가 가장 밤이 짧으니 헌함(軒檻, 난간이 있는 좁은 마루)을 열어 잠깐 서늘함을 들게 하노라.)〈두시(초) 10:20ㄱ〉.
알 주018)
알
앒[前]+(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앞의.
가지로다 주019)
가지로다
가지[枝, 梢(초: 나뭇가지의 끝)]#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가지로다.

【한자음】 백화첨외타 청류함전초
【언해역】 흰 꽃은 집기슭 밖의 떨기요 푸른 버들은 헌함(軒檻) 앞의 가지로다.

池水觀爲政 廚烟覺遠庖【上句 言其澄淸야 不可撓야ㅣ라 下句 言見廚烟야 知遠廚也ㅣ니라】

못 므레 주020)
못므레
못[池]#믈[水]+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연못물에. 못물에.
政治요 주021)
정치(政治)요
정치(政治)+-(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정치함을. 정치하는 것을.
보리로소니 주022)
보리로소니
보[見]-+-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소(주어짐의 양태 선어말 어미 즉 확인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볼 것이로소니. 볼 것이니.
브섭 주023)
브섭
부엌. 15~16세기에 ‘브’은 3개의 예가 나타나는 반면, ‘브섭‘은 여기 1예가 나타날 뿐이다. ¶塔앳 層과 지븻 담괘 壯麗호미 오니 곳다온 브과 소나못 길흔 서늘호미 가지로다(탑의 층과 집의 담이 장려한 것이 비슷하니 꽃다운 부엌과 소나무의 길은 서늘함이 한 가지로다.)〈두시(초) 9:30ㄱ〉.
예 주024)
예
[煙, 烟(연)]+예(부사격 조사, 원인격 조사). 연기에. 연기로.
庖廚의 주025)
포주(庖廚)의
포주(庖廚)+의(관형격 조사). 푸줏간의.
머로 주026)
머로
멀[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멂을. 먼 것을. ¶너븐 記 멀며(넓은 기(記)는 멀며)〈법화 4:70ㄴ〉.
알리로라 주027)
알리로라
알[知]-+-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알 것이로다. 알 듯하다. ‘알리로다’가 아니므로, ‘-로-’를 감탄 선어말 어미로 분석할 수 없다.

【한자음】 지수관위정 주연각원포【윗구는 그것이 청징하여 가히 바르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고, 아랫구는 주방의 연기를 보고 푸줏간이 먼 것을 아는 것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청징(淸澄)한〉 연못물에(로) 정치하는 것을 볼 것이니, 부엌 연기에 푸줏간이 먼 것을 알 듯하다.

西川供客眼 唯有此江郊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西川에셔 주028)
서천(西川)에셔
서천(西川)+에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서천에서. 서천(西川)은 행정구획명으로, 처음 시작은 당나라 때 기원 757년에 이르러, 원래 검남절도사(剑南節度使)를 검남동천절도사(剑南東川節度使)와 검남서천절도사(剑南西川節度使)로 나누어 된 것이다. 검남동천(剑南東川)을 간략히 ‘동천(東川)’이라 하고, 검남서천(剑南西川)을 간략히 ‘서천(西川)’이라 한다. 송나라 때에 이르러 ‘서천로(西川路)’가 만들어지자 ‘서천(西川)’이란 말만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중의 ‘서천(西川)’은 대부분 ‘동천(東川)’과 대가 되는 ‘익주(益州)’를 가리킨다. 동천은 익주의 서부 지역을 가리킨다. ‘서천’은 대체로 현재의 사천(四川) 지방 중서부의 일부에 해당한다.
나그내 누네 주029)
나그내 누네
나그내[客]#눈[眼]+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나그네 눈에.
올일 주030)
올일
오르[上]-+-이(사동 파생 접미사)+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올릴. ¶도마애 올이니 누른 柑子ㅣ 므겁고 平牀을 괴오니 어르누근 돌히 두렵도다(도마에 올리니 누런 감귤이 무겁고, 평상을 괴니 무늬진 돌히 둥글도다.)〈두시(초) 10:38ㄱ〉.
거슨 주031)
거슨
것(의존 명사)+은(보조사). 것은.
주032)
서천(西川)에셔 나그내 누네 올일 거슨
서천에서 나그네 눈에 올릴 것은. 서천에서 나그네가 볼 만한 것은.
오직 이  郊野ㅣ 주033)
 교야(郊野)ㅣ
[江]+ㅅ(관형격 조사)#교야(郊野)+이(주격 조사). 강의 교외의 들이. 강가의 들이. 강변의 들이. 강의 들이. 강변의 들판이.
잇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서천공객안 유유차강교
【언해역】 서천(西川)에서 나그네 눈에 올릴 것은 오직 이 강의 들판이 있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3년 11월 30일

주석
주001)
신진(新津) : 신진현(新津縣)을 말한다. 사천(四川) 분지의 서부, 성도(成都)의 남부에 위치한다. 성도까지의 거리는 28마일이 된다. 예전에는 ‘남방의 실처럼 얽힌 옛길의 제일가는 요지’이란 명예를 지고 있었으나 지금은 ‘성도의 남대문’이란 칭호를 가지고 있다. 경내는 평원 위주로 되어 있으며, 간혹 낮은 구릉이 있는 정도이다.
주002)
북교루(北橋樓) : 신진현에 있는 누각의 하나.
주003)
제신진북교루득교자(題新津北橋樓得郊字) : 교(郊)자 운을 얻어, 신진현의 북교루에 제함. 이 시는 당나라 숙종(肅宗) 상원(上元) 2년(761)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신진의 현령이 주연을 베푸는 자리에 두보도 있었는데, 이 시는 그때 즉흥적으로 지어진 것이다. 집어 든 것이 교(郊)자 운이었다.
주004)
 성(城) : 봄[春]+ㅅ(관형격 조사)#성(城). 봄의 성.
주005)
우희셔 : 우ㅎ[上]+의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위에서. 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의셔’는 ‘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셔(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樓 우희 올아 처 賦 지미 잇고 돗 나가 매 榮華로이 시니라(누각 위에 올라가 처음 부(賦) 지은 일이 있고, 자리에 나아가 마침내 영화롭게 된 것이다.)〈두시(초) 10:15ㄱ〉. 羅睺羅 더브러 노 樓 우희 오시고<원주>【樓는 다라기라】(나후라를 더불고 높은 누 위에 오르시고<원주>【누는 다락이다.】)〈석보 6:2ㄴ〉.
주006)
라오 : 라[望]-+-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바라봄을. ¶ 구루미 나조 南녀그로 가니 可히 라고 可히 더위잡디 몯리로다(뜬 구름이 저녁에 남쪽으로 가니 바라보지도 붙잡지도 못하리로다.)〈두시(초) 5:28ㄴ〉.
주007)
 : 끝까지.
주008)
돗 펴 : [席, 筵(연: 대자리)]+(대격 조사)#펴[開]-+-어(연결 어미). 자리를 펴. 자리를 펴서.
주009)
새기세 : 새[鳥]#깃[巢]+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새보금자리에. 새집에.
주010)
갓가이 : 갓갑[近]-+-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까이. ‘갓갑[近]-’의 받침 ‘ㅂ’이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 탈락한 것이다. ‘갓갑[近]-’의 받침 ‘ㅂ’이 모음 앞에서 ‘ㅸ[β]’이 되고 다시 ‘w’가 되었다면, ‘갓가위’와 같이 나타나야 할 것이나, 그렇게 되지 않고 있다. 활용 어미와 달리 파생 접미사 앞에서는 ‘ㅂ’이 탈락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내 그 마 놀라니 天河의 다  업 야  너머 人情에 갓갑디 아니터라(내가 그 말엘 놀라니, 천하(天河)가 다다른 데 없듯 해서 너무 지나쳐 인정에 가깝지 아니하더라.)〈법화 2:27ㄴ〉.
주011)
호라 :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한다. 하노라.
주012)
 고 : [白]-+-ㄴ(관형사형 어미)#곶[花]+(보조사). 흰 꽃은.
주013)
집기슭 : 처맛기슭. ¶中夜 어드운 래 雲霧ㅣ어드우면  어둡고 입과 窓과 메  초 보고 담과 집 기슭 예  마고 보고(한밤중 어두운 달에 구름과 안개가 어두우면 또 어둡고 입구와 창(窓)과 틈에 또 통하는 것을 보고 담과 집 기슭 사이에 또 막음을 보고)〈능엄 2:28ㄴ~29ㄱ〉.
주014)
밧긧 : [外]+의(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밖의. ¶ 밧긔 지비 댓수흘 브텟고 욼  므른 城으로 向야 흐르다(들 바깥의(야외에 있는) 집이 대나무 숲에 붙어 있고, 울타리 가장자리의 물은 성을 향하여 흐른다.)〈두시(초) 10:23ㄴ〉.
주015)
기오 : 기[朶(타: 꽃송이나 가지를 세는 말)]#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떨기이고.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지정 형용사 어간 ‘이-’ 뒤에서 탈락한 것이다. ¶뎌 개 오직 기픈 나모 기예 깃고져 願놋다(짧은 날개는 오직 깊은 나무 떨기(무더기)에 깃들고자 원하는구나.)〈두시(초) 10:2ㄱ〉.
주016)
프른 버드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버들[柳]+은(보조사). 푸른 버들은.
주017)
헌함(軒檻) : 헌함. 누각 따위의 둘레에 만들어진, 난간이 있는 좁은 마루를 말한다. ¶仲夏ㅣ  바미 뎌르니 軒檻을 여러 간 서호 드리노라(중하가 가장 밤이 짧으니 헌함(軒檻, 난간이 있는 좁은 마루)을 열어 잠깐 서늘함을 들게 하노라.)〈두시(초) 10:20ㄱ〉.
주018)
알 : 앒[前]+(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앞의.
주019)
가지로다 : 가지[枝, 梢(초: 나뭇가지의 끝)]#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가지로다.
주020)
못므레 : 못[池]#믈[水]+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연못물에. 못물에.
주021)
정치(政治)요 : 정치(政治)+-(동사 파생 접미사)-+-y(조음소)-+-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정치함을. 정치하는 것을.
주022)
보리로소니 : 보[見]-+-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소(주어짐의 양태 선어말 어미 즉 확인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볼 것이로소니. 볼 것이니.
주023)
브섭 : 부엌. 15~16세기에 ‘브’은 3개의 예가 나타나는 반면, ‘브섭‘은 여기 1예가 나타날 뿐이다. ¶塔앳 層과 지븻 담괘 壯麗호미 오니 곳다온 브과 소나못 길흔 서늘호미 가지로다(탑의 층과 집의 담이 장려한 것이 비슷하니 꽃다운 부엌과 소나무의 길은 서늘함이 한 가지로다.)〈두시(초) 9:30ㄱ〉.
주024)
예 : [煙, 烟(연)]+예(부사격 조사, 원인격 조사). 연기에. 연기로.
주025)
포주(庖廚)의 : 포주(庖廚)+의(관형격 조사). 푸줏간의.
주026)
머로 : 멀[遠]-+-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멂을. 먼 것을. ¶너븐 記 멀며(넓은 기(記)는 멀며)〈법화 4:70ㄴ〉.
주027)
알리로라 : 알[知]-+-ㅭ(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로(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알 것이로다. 알 듯하다. ‘알리로다’가 아니므로, ‘-로-’를 감탄 선어말 어미로 분석할 수 없다.
주028)
서천(西川)에셔 : 서천(西川)+에셔(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서천에서. 서천(西川)은 행정구획명으로, 처음 시작은 당나라 때 기원 757년에 이르러, 원래 검남절도사(剑南節度使)를 검남동천절도사(剑南東川節度使)와 검남서천절도사(剑南西川節度使)로 나누어 된 것이다. 검남동천(剑南東川)을 간략히 ‘동천(東川)’이라 하고, 검남서천(剑南西川)을 간략히 ‘서천(西川)’이라 한다. 송나라 때에 이르러 ‘서천로(西川路)’가 만들어지자 ‘서천(西川)’이란 말만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중의 ‘서천(西川)’은 대부분 ‘동천(東川)’과 대가 되는 ‘익주(益州)’를 가리킨다. 동천은 익주의 서부 지역을 가리킨다. ‘서천’은 대체로 현재의 사천(四川) 지방 중서부의 일부에 해당한다.
주029)
나그내 누네 : 나그내[客]#눈[眼]+에(부사격 조사, 처격 조사). 나그네 눈에.
주030)
올일 : 오르[上]-+-이(사동 파생 접미사)+ㅭ(미래 관형사형 어미). 올릴. ¶도마애 올이니 누른 柑子ㅣ 므겁고 平牀을 괴오니 어르누근 돌히 두렵도다(도마에 올리니 누런 감귤이 무겁고, 평상을 괴니 무늬진 돌히 둥글도다.)〈두시(초) 10:38ㄱ〉.
주031)
거슨 : 것(의존 명사)+은(보조사). 것은.
주032)
서천(西川)에셔 나그내 누네 올일 거슨 : 서천에서 나그네 눈에 올릴 것은. 서천에서 나그네가 볼 만한 것은.
주033)
 교야(郊野)ㅣ : [江]+ㅅ(관형격 조사)#교야(郊野)+이(주격 조사). 강의 교외의 들이. 강가의 들이. 강변의 들이. 강의 들이. 강변의 들판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