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동(冬)
  • 시월 초하루[十月一日]
메뉴닫기 메뉴열기

시월 초하루[十月一日]


十月一日 주001)
시월 일일(十月一日)
중국 촉(蜀) 지방의 풍속과 관련되는 날. 언해 협주에는 ‘증과(蒸裹) 초당(燋糖)’은 모두 촉 지방의 풍속에서 귀중하게 여기는 물건으로, 10월 1일에 소용이 있다는 풀이가 있다. 중국의 농력(農曆)에서 10월 1일은 예전에 소묘일(掃墓日)이라 하였다고 한다. 성묘일과 성격이 흡사하다. 10월 1일 분묘에 절을 하고 청소를 하고, 아침 3차례에 걸쳐 한식을 먹었다고 한다. 대력(大曆) 2년(767) 동둔(東屯)에서 지은 시라고 한다.

10월 1일
(시월 초하루)

有瘴非全歇 爲冬不亦難

더운 氣運이 오로 주002)
오로
온전히. ¶三 流通分 八品이니 神力品으로브터 니와샤 囑累品에 付囑야 심기시고 그 나 六品은 앏 法을 오로 體샤(삼은 유통분 팔품이니, 신력품으로부터 일으켜서 촉루품에 부촉하여 전하시고, 그 남은 육품은 앞 법을 온전히 구체화하시니)〈법화 6:96ㄱ〉.
歇티 주003)
헐(歇)티
헐(歇)-+-디(연결 어미). 마르지. 없어지지.
아니니 겨 외요 주004)
겨 외요
겨[冬]#외[化]-+-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겨울 되는 것은.
 어렵디 아니니아 주005)
아니니아
아니[不]-+-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의문형 어미). 아니한 것인가. ¶佛智 二乘見을 여희시고 如來ㅅ 智 菩薩見을 여희시고 自然智 여러 證取 여희샤  브터 아디 아니실 씨니(불지는 이승견을 벗어나시고 여래의 지는 보살견을 벗어나시고 자연지는 여러 증취를 벗어나시어 남을 의지하여 알지 아니하시는 것이니)〈법화 6:23ㄱ〉.

【한자음】 유장비전헐 위동부역난
【언해역】 더운 기운이 온전히 없어지지 아니하니, 겨울 되는 것은 또 어렵지 아니한 것인가?

夜郞溪日暖 白帝峽風寒【夜郞溪 在犍爲 주006)
건위(犍爲)
건위현(犍爲縣)은 중국의 사천성(四川省) 요산시(樂山市)에서 가장 큰 현의 이름이다. 건위(犍为)는 아열대 습윤성 기후 지역에 속한다. 네 계절이 분명하고, 기후는 사람에게 쾌적하여 겨울은 따듯하고, 여름은 시원하다고 한다.
니라】

夜郞앤 주007)
야랑(夜郞)앤
야랑(夜郞)+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야랑(夜郞)에는. 야랑(夜郞)은 건위(犍爲)에 있는 시내의 이름이다.
시내햇  주008)
시내햇 
시내ㅎ[川]+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시내의 해.
덥고 白帝 주009)
백제(白帝)
백제성(白帝城)을 말한다. 백제성(白帝城)은 기주성(夔州城) 동부에 있는 암산에 공손술(公孫述)이 지었다는 성으로, 중국 사천성(四川城) 중경(重慶)의 봉절현(奉節縣) 구당협(瞿塘峽) 입구 장강(長江) 북안에 있다.
예
주010)
백제(白帝)예
백제(白帝)+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보조사). 백제(白帝)에는.
山峽엣 미 주011)
산협(山峽)엣 미
산협(山峽)+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風]+이(주격 조사). 산 협곡의 바람이.
서늘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42ㄴ

 만도다
주012)
서늘 만도다
서늘[凉]-+-ㅭ(관형사형 어미)#만[當]-+-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서늘할 만하도다. ¶ 光이 려  우히 서늘며(햇빛이 가리어 땅 위가 서늘하며)〈법화 3:34ㄱ~ㄴ〉.

【한자음】 야랑계일난 백제협풍한야랑계(夜郞溪)건위(犍爲)에 있는 것이다.】
【언해역】 야랑(夜郞)에는 시내의 해가 덥고, 백제(白帝)에는 산협의 바람이 서늘할 만하도다.

蒸裹如千室 燋糖幸一柈【蒸裹燋糖은 皆蜀之土風所尙之物이니 十月一日 所用이라】

蒸裹 주013)
증과(蒸裹)
곡물을 찌거나 싸서 만든 떡이나 과자.
즈믄 지비 주014)
즈믄 지비
천의 집이. ¶千載上 즈믄 우히라(천재상은 천 년의 위이다.)〈월석 1:2ㄱ〉.
니 주015)
니
[如]-+-니(연결 어미). 같으니. ¶이제 世雄이라 니샤 釋迦ㅣ 諸佛ㅅ 智德의 거여이 勇猛샤미 世間애 그츠샤 오시니 나닌 長行 니라(이제 세웅이라 이르심은 석가께서 모든 부처님의 지덕이 웅건히 용맹하신 것이 세간에 그치심(세간에 있는 것이 아님)을 사뢴 것이니, 남은 것은 장행(長行)과 같은 것이다.)〈법화 1:151ㄴ〉.
燋糖 주016)
초당(燋糖)
물엿이나 사탕을 졸여 만든 음식이나 과자.
幸혀 주017)
행(幸)혀
어쩌다가.
 盤이로다 주018)
 반(盤)이로다
한 쟁반이로다. 한 소반이로다.

【한자음】 증과여천실 초당행일반【증과(蒸裹) 초당(燋糖)은 모두 촉나라 지방의 풍속으로 귀중하게 여기는 바의 물건이니 10월 1일에 소용이 있다.】
【언해역】 증과(蒸裹)가 천의 집이 같으니, 초당(燋糖)은 행여 한 쟁반이로다.

玆辰南國重 舊俗自相歡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주019)
[時]+을(대격 조사). 때를.
南國 주020)
남국(南國)
남쪽 지방. 남방.
重히 너겨 주021)
중(重)히 너겨
중(重)-+-이(부사 파생 접미사)#너기[看]-+-어(연결 어미). 중히 여겨. 귀중히 여겨.
녯 風俗이 주022)
녯 풍속(風俗)이
녜[舊]+ㅅ(관형격 조사)#풍속(風俗)+이(주격 조사). 옛 풍속이. ‘즐겨하놋다’의 주어로 쓰여, 선택 제약을 어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이다. 여기서는 의인법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옛 풍속’이 다소 현실과 유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저희 주023)
저희
저희가. ‘희’에 상성이 있어, 주격 조사를 가진 형식으로 해석한다. ¶저희 무레 幻術 잘 사 골와 夷摩旦羅ㅣ라  귓거싀  외니(저희 무리에서 환술 잘하는 사람을 골라 이마단라라 하는 귀신의 모양이 되니)〈석보 24:21ㄱ~ㄴ〉.
서르 주024)
서르
서로. ¶엇뎨 邪魔 外道의 서르 傳受호로 스 사며(어찌 사마외도의 서로 전수함으로 스승과 제자 삼으며)〈몽법 68ㄴ~69ㄱ〉.
즐겨놋다 주025)
즐겨놋다
즐기[樂]-+-어(연결 어미)+[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즐겨하는구나. ‘-놋다’나 ‘-옷다’를 감탄형 어미로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자신남국중 구속자상환
【언해역】 이 때를 남쪽 지방이 중히 여겨, 옛 풍속이 저희 서로 즐겨하는구나.
Ⓒ 역자 | 임홍빈 / 2011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월 일일(十月一日) : 중국 촉(蜀) 지방의 풍속과 관련되는 날. 언해 협주에는 ‘증과(蒸裹) 초당(燋糖)’은 모두 촉 지방의 풍속에서 귀중하게 여기는 물건으로, 10월 1일에 소용이 있다는 풀이가 있다. 중국의 농력(農曆)에서 10월 1일은 예전에 소묘일(掃墓日)이라 하였다고 한다. 성묘일과 성격이 흡사하다. 10월 1일 분묘에 절을 하고 청소를 하고, 아침 3차례에 걸쳐 한식을 먹었다고 한다. 대력(大曆) 2년(767) 동둔(東屯)에서 지은 시라고 한다.
주002)
오로 : 온전히. ¶三 流通分 八品이니 神力品으로브터 니와샤 囑累品에 付囑야 심기시고 그 나 六品은 앏 法을 오로 體샤(삼은 유통분 팔품이니, 신력품으로부터 일으켜서 촉루품에 부촉하여 전하시고, 그 남은 육품은 앞 법을 온전히 구체화하시니)〈법화 6:96ㄱ〉.
주003)
헐(歇)티 : 헐(歇)-+-디(연결 어미). 마르지. 없어지지.
주004)
겨 외요 : 겨[冬]#외[化]-+-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보조사). 겨울 되는 것은.
주005)
아니니아 : 아니[不]-+-ㄴ(동명사 어미)#이(지정 형용사)-+-가(의문형 어미). 아니한 것인가. ¶佛智 二乘見을 여희시고 如來ㅅ 智 菩薩見을 여희시고 自然智 여러 證取 여희샤  브터 아디 아니실 씨니(불지는 이승견을 벗어나시고 여래의 지는 보살견을 벗어나시고 자연지는 여러 증취를 벗어나시어 남을 의지하여 알지 아니하시는 것이니)〈법화 6:23ㄱ〉.
주006)
건위(犍爲) : 건위현(犍爲縣)은 중국의 사천성(四川省) 요산시(樂山市)에서 가장 큰 현의 이름이다. 건위(犍为)는 아열대 습윤성 기후 지역에 속한다. 네 계절이 분명하고, 기후는 사람에게 쾌적하여 겨울은 따듯하고, 여름은 시원하다고 한다.
주007)
야랑(夜郞)앤 : 야랑(夜郞)+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야랑(夜郞)에는. 야랑(夜郞)은 건위(犍爲)에 있는 시내의 이름이다.
주008)
시내햇  : 시내ㅎ[川]+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시내의 해.
주009)
백제(白帝) : 백제성(白帝城)을 말한다. 백제성(白帝城)은 기주성(夔州城) 동부에 있는 암산에 공손술(公孫述)이 지었다는 성으로, 중국 사천성(四川城) 중경(重慶)의 봉절현(奉節縣) 구당협(瞿塘峽) 입구 장강(長江) 북안에 있다.
주010)
백제(白帝)예 : 백제(白帝)+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보조사). 백제(白帝)에는.
주011)
산협(山峽)엣 미 : 산협(山峽)+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風]+이(주격 조사). 산 협곡의 바람이.
주012)
서늘 만도다 : 서늘[凉]-+-ㅭ(관형사형 어미)#만[當]-+-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서늘할 만하도다. ¶ 光이 려  우히 서늘며(햇빛이 가리어 땅 위가 서늘하며)〈법화 3:34ㄱ~ㄴ〉.
주013)
증과(蒸裹) : 곡물을 찌거나 싸서 만든 떡이나 과자.
주014)
즈믄 지비 : 천의 집이. ¶千載上 즈믄 우히라(천재상은 천 년의 위이다.)〈월석 1:2ㄱ〉.
주015)
니 : [如]-+-니(연결 어미). 같으니. ¶이제 世雄이라 니샤 釋迦ㅣ 諸佛ㅅ 智德의 거여이 勇猛샤미 世間애 그츠샤 오시니 나닌 長行 니라(이제 세웅이라 이르심은 석가께서 모든 부처님의 지덕이 웅건히 용맹하신 것이 세간에 그치심(세간에 있는 것이 아님)을 사뢴 것이니, 남은 것은 장행(長行)과 같은 것이다.)〈법화 1:151ㄴ〉.
주016)
초당(燋糖) : 물엿이나 사탕을 졸여 만든 음식이나 과자.
주017)
행(幸)혀 : 어쩌다가.
주018)
 반(盤)이로다 : 한 쟁반이로다. 한 소반이로다.
주019)
 : [時]+을(대격 조사). 때를.
주020)
남국(南國) : 남쪽 지방. 남방.
주021)
중(重)히 너겨 : 중(重)-+-이(부사 파생 접미사)#너기[看]-+-어(연결 어미). 중히 여겨. 귀중히 여겨.
주022)
녯 풍속(風俗)이 : 녜[舊]+ㅅ(관형격 조사)#풍속(風俗)+이(주격 조사). 옛 풍속이. ‘즐겨하놋다’의 주어로 쓰여, 선택 제약을 어기는 것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이다. 여기서는 의인법이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옛 풍속’이 다소 현실과 유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23)
저희 : 저희가. ‘희’에 상성이 있어, 주격 조사를 가진 형식으로 해석한다. ¶저희 무레 幻術 잘 사 골와 夷摩旦羅ㅣ라  귓거싀  외니(저희 무리에서 환술 잘하는 사람을 골라 이마단라라 하는 귀신의 모양이 되니)〈석보 24:21ㄱ~ㄴ〉.
주024)
서르 : 서로. ¶엇뎨 邪魔 外道의 서르 傳受호로 스 사며(어찌 사마외도의 서로 전수함으로 스승과 제자 삼으며)〈몽법 68ㄴ~69ㄱ〉.
주025)
즐겨놋다 : 즐기[樂]-+-어(연결 어미)+[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즐겨하는구나. ‘-놋다’나 ‘-옷다’를 감탄형 어미로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