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사시(四時)
  • 봄에 흐르는 물[春水]
메뉴닫기 메뉴열기

봄에 흐르는 물[春水]


春水 주001)
춘수(春水)
봄의 물. 봄에 흐르는 물. 상원(上元) 2년(761) 완화(浣花)에서 지은 시라 한다.

춘수
(봄에 흐르는 물)

三月桃花浪 江流復舊痕【桃花開時옛 雨水 謂之桃花水ㅣ라】

三月에 桃花ㅅ 주002)
도화(桃花)ㅅ
복숭아꽃의. 복사꽃의.
믌겨리 주003)
믌겨리
믈[水]+ㅅ(관형격 조사)+결+이(주격 조사). 물결이.
 주004)

강(江). ‘’이란 어형은 17세기 말까지 나타난다. 이후에는 ‘강(江)’으로 바뀌었다.
흘루미 주005)
흘루미
흘르[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흐름이. 흐르는 것이. 명사형 어미를 ‘-옴/움’과 같이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반영한 것이다. 15세기에 ‘흘루-’가 아니라 ‘흐루-’와 같은 형식도 나타난다.
주006)
녜[古]+ㅅ(관형격 조사). 옛.
그제예 주007)
그제예
그제[痕]+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흔적에. 자취에.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 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범이 거꾸러진 듯하며 용이 엎어진 듯하여 가시나무 사이에 버려 있는데, 눈물 흔적과 핏방울을 가슴에 드리우노라.)〈두시(초) 6:41ㄴ〉.
도로 도다 주008)
도다
[滿]-+-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들어 있도다. ‘-도다’를 감탄형 어미로 분석할 수도 있다. 이는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한자음】 삼월도화랑 강류부구흔【복사꽃이 피는 시절의, 비가 내려 흐르는 물을 도화수라 이른다.】
【언해역】 3월 복사꽃 물결이, 강물 따라 흐름이 옛 자취에 도로 가득하도다.

朝來沒沙尾 碧色動柴門

아미 주009)
아미
아[朝]+이(주격 조사). 아침이.
오매 주010)
오매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매(연결 어미). 오므로. 오니까. ‘오매’의 ‘오-’에는 방점 둘 즉 상성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오-’의 어간과 확실성의 선어말 어미 ‘-오/우-’가 결합된 결과이다.
몰앳 그티 주011)
몰앳 그티
몰애[沙]+ㅅ(관형격 조사)#긑[端]+이(주격 조사). 모래의 끝이. 모래톱의 끝자락이.
기니 주012)
기니
기[沈, 沉]-+-니(연결 어미). 잠기니.
 비치 주013)
 비치
[碧, 靑]-+-ㄴ(관형사형 어미)#빛+이(주격 조사). 파란 빛이.
柴門 주014)
시문(柴門)
사립문.
뮈놋다 주015)
뮈놋다
뮈[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움직이도다. 어린거리도다. ‘-옷다’를 감탄형 어미로 취급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한자음】 조래몰사미 벽색동시문
【언해역】 아침이 오니 모래톱의 끝자락이 다 잠기니, 파란 빛이 사립문에 어린거리도다.

接縷垂芳餌 連筒灌小園【上句 言釣魚고 下句 言引水灌園다】

시 주016)
시
실[縷, 絲]+(대격 조사). 실을.
니 주017)
니
[連, 接]-+-어(연결 어미). 이어. 자음 어미 앞에서는 ‘-’이 되나, 모음이나 활음(이중 모음) 앞에서도 ‘-’이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우, 여, 님워’와 같은 결합도 나타났었다. ¶누른 하래  낫과 련 닷 돈과 므레 달혀 워 머고미 됴니라(누런 하눌타리 한 개와 황련 닷 돈을 물에 달여 연이어 먹는 것이 좋으니라.)〈구간 3:56ㄴ〉
곳다온 주018)
곳다온
곶[花]-+-답[如](형용사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구루믄 처 시울 오  리오고 곳다온 내 져고맛 남 고 傳놋다(구름은 처음 시울(둥근 가장자리) 오르는 달을 가리우고, 꽃다운 냄새는 조그만 나무의 꽃에 전하는구나.)〈두시(초) 3:26ㄱ〉.  이 解 지 萬古애 곳다오미 흐르니라(또 이 해를 지어 만고에 꽃다움이 흐르는 것이다.)〈금삼 서:10ㄱ〉.
낛바 주019)
낛바
낛[釣]+밥[食, 이(餌, 먹이)]+(대격 조사). 낚시밥을. 낚시미끼를.
드리우고 주020)
드리우고
드리우[垂]-+-고(연결 어미). 드리우고. 내려뜨리고. ¶華幡은 한 善으로 敎化 리오샤 가빌 드리우다 니니라(화번은 많은 선으로 교화 내리게 하심을 비유하므로 드리웠다고 말한 것이다.)〈법화 2:195ㄴ~197ㄱ〉.
대 주021)
대
대롱[筒]+(대격 조사). 대옹을. ¶管見은 대로 하 볼 씨니 져근 니니라(관견은 대롱으로 하늘을 보는 것이니, 적은 것을 이르는 것이다.)〈능엄 1:18ㄱ〉
니 져근 주022)
져근
젹[小]-+-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작은. 중세어에서 ‘젹다’는 부피가 대해서뿐만 아니라 크기에 대해서도 쓰이었다. 중세어에는 ‘작다’를 뜻하는 ‘횩다’라는 말도 있었고, ‘쟉다’란 말도 있었다. ¶舶主 佛祖ㅣ라 機 뮈요 쟈고미오 吉 몬져 나토미니 衆生이 어루 날 善이 이실 聖人이 應시면 善이 나고 應티 아니시면 나디 몯 닐오 機긩 져고미라(박주는 불조이다. 기(機)는 움직임에 작은 것이고 길(吉)에 먼저 나타남이니 중생이 가히 날 선이 있기 때문에 성인이 응하시면 선이 나고 응하지 않으시면 나자 못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기(機)는 적은 것이다.)〈남명 상:33ㄱ~ㄴ〉.
園圃 주023)
원포(園圃)
과일나무나 채소 따위를 심어 가꾸는 울 안에 있는 작은 밭.
 믈 흘려 저쥬라 주024)
저쥬라
젖[濕]-+-이(사동 파생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젖게 하다. ¶三世 說法야 부텻 목수믈 니 젼로 부텻 목수미 그지 업스며 法 住호미 甚히 오라리니 滅度 後에 塔 셰여 그 나라해 호  나 德으로 두루 저쥬미라(삼세(三世)를 설법하여 부처님의 목숨을 이은 까닭으로 부처님의 목숨이 끝이 없으며 법(法) 머무는 것이 아주 오랠 것이니, 멸도 후에 탑 세워 그 나라에 가득함은 또 남은 덕으로 두루 젖게 하는 것이다.)〈월석 15:18ㄱ〉.

【한자음】 접루수방이 련통관소원【위의 구는 낚시질하는 것을 말하고, 아래의 구는 물을 끌어 밭에 물을 주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실을 이어 꽃다운 낚시밥을 드리우고, 대롱을 이어 작은 밭에 물 흘려 젖게 하다.

已添無數鳥 爭浴故相喧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마 數업슨 주025)
수(數)업슨
수없[無數]-+-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수없는. 중세어에서는 ‘없-’이 현재 관형사형에 ‘--’를 요구하지 않았다.
더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6ㄴ

주026)
더으니
더으[加]-+-니(연결 어미). 더하니. 여기서는 새들이 모여드는 것을 묘사한 것이다.
토아 주027)
토아
토[爭]-+-아(연결 어미). 다투어.
沐浴야 주028)
목욕(沐浴)야
목욕(沐浴)-+-y(조음소)-+-아(연결 어미). 목욕하여. 새들이 물에서 노는 것을 가리킨다.
짐즛 주029)
짐즛
짐짓. ‘짐짓’은 본래 ‘마음에는 그렇지 않으나 일부러’의 뜻이나 여기서는 그렇게 보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서르 숫어리다 주030)
숫어리다
숫[喧]-+-어리(그러함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떠든다. 여기서는 다소 의역을 하여 ‘떠들며 지저귄다’와 같이 번역하였다. ‘숫다’도 유사한 뜻을 가진다. ‘숫어리다’의 용례는 여기서가 유일한 예인 것으로 여겨진다. ¶巍巍不動 尊 일후미 法中王이니라 녯 지비 괴외호 녜 光明 펴니 여슷 窓이 뷔여 괴외야 숫어 어즈러오미 긋도다(위엄을 갖추어 움직이지 않는 존(尊)을 이름하는 것이 범중왕(法中王)인 것이다. 옛 집이 고요하되, 늘 광명을 펴나니 여섯 창이 비어 고요하여 떠들어 어지러움이 그치는구나.)〈금삼 5:11ㄱ〉.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이첨무수조 쟁욕고상훤
【언해역】 이미 수없는 새 모여드니, 다투어 목욕하여 짐짓 서로 떠들며 지저귄다.
Ⓒ 역자 | 임홍빈 / 2011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춘수(春水) : 봄의 물. 봄에 흐르는 물. 상원(上元) 2년(761) 완화(浣花)에서 지은 시라 한다.
주002)
도화(桃花)ㅅ : 복숭아꽃의. 복사꽃의.
주003)
믌겨리 : 믈[水]+ㅅ(관형격 조사)+결+이(주격 조사). 물결이.
주004)
 : 강(江). ‘’이란 어형은 17세기 말까지 나타난다. 이후에는 ‘강(江)’으로 바뀌었다.
주005)
흘루미 : 흘르[流]-+-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흐름이. 흐르는 것이. 명사형 어미를 ‘-옴/움’과 같이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반영한 것이다. 15세기에 ‘흘루-’가 아니라 ‘흐루-’와 같은 형식도 나타난다.
주006)
녯 : 녜[古]+ㅅ(관형격 조사). 옛.
주007)
그제예 : 그제[痕]+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흔적에. 자취에. ¶버미 갓고로딘 며 龍이 업더딘 야 가 나모 서리예 롓니 믌 그제와 핏 點을 가매 드리우노라(범이 거꾸러진 듯하며 용이 엎어진 듯하여 가시나무 사이에 버려 있는데, 눈물 흔적과 핏방울을 가슴에 드리우노라.)〈두시(초) 6:41ㄴ〉.
주008)
도다 : [滿]-+-도(감탄의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들어 있도다. ‘-도다’를 감탄형 어미로 분석할 수도 있다. 이는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주009)
아미 : 아[朝]+이(주격 조사). 아침이.
주010)
오매 : 오[來]-+-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매(연결 어미). 오므로. 오니까. ‘오매’의 ‘오-’에는 방점 둘 즉 상성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는 ‘오-’의 어간과 확실성의 선어말 어미 ‘-오/우-’가 결합된 결과이다.
주011)
몰앳 그티 : 몰애[沙]+ㅅ(관형격 조사)#긑[端]+이(주격 조사). 모래의 끝이. 모래톱의 끝자락이.
주012)
기니 : 기[沈, 沉]-+-니(연결 어미). 잠기니.
주013)
 비치 : [碧, 靑]-+-ㄴ(관형사형 어미)#빛+이(주격 조사). 파란 빛이.
주014)
시문(柴門) : 사립문.
주015)
뮈놋다 : 뮈[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사이시옷)+-다(종결 어미). 움직이도다. 어린거리도다. ‘-옷다’를 감탄형 어미로 취급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주016)
시 : 실[縷, 絲]+(대격 조사). 실을.
주017)
니 : [連, 接]-+-어(연결 어미). 이어. 자음 어미 앞에서는 ‘-’이 되나, 모음이나 활음(이중 모음) 앞에서도 ‘-’이 나타나는 일이 있었다. ‘우, 여, 님워’와 같은 결합도 나타났었다. ¶누른 하래  낫과 련 닷 돈과 므레 달혀 워 머고미 됴니라(누런 하눌타리 한 개와 황련 닷 돈을 물에 달여 연이어 먹는 것이 좋으니라.)〈구간 3:56ㄴ〉
주018)
곳다온 : 곶[花]-+-답[如](형용사파생 접미사)]-+-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구루믄 처 시울 오  리오고 곳다온 내 져고맛 남 고 傳놋다(구름은 처음 시울(둥근 가장자리) 오르는 달을 가리우고, 꽃다운 냄새는 조그만 나무의 꽃에 전하는구나.)〈두시(초) 3:26ㄱ〉.  이 解 지 萬古애 곳다오미 흐르니라(또 이 해를 지어 만고에 꽃다움이 흐르는 것이다.)〈금삼 서:10ㄱ〉.
주019)
낛바 : 낛[釣]+밥[食, 이(餌, 먹이)]+(대격 조사). 낚시밥을. 낚시미끼를.
주020)
드리우고 : 드리우[垂]-+-고(연결 어미). 드리우고. 내려뜨리고. ¶華幡은 한 善으로 敎化 리오샤 가빌 드리우다 니니라(화번은 많은 선으로 교화 내리게 하심을 비유하므로 드리웠다고 말한 것이다.)〈법화 2:195ㄴ~197ㄱ〉.
주021)
대 : 대롱[筒]+(대격 조사). 대옹을. ¶管見은 대로 하 볼 씨니 져근 니니라(관견은 대롱으로 하늘을 보는 것이니, 적은 것을 이르는 것이다.)〈능엄 1:18ㄱ〉
주022)
져근 : 젹[小]-+-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작은. 중세어에서 ‘젹다’는 부피가 대해서뿐만 아니라 크기에 대해서도 쓰이었다. 중세어에는 ‘작다’를 뜻하는 ‘횩다’라는 말도 있었고, ‘쟉다’란 말도 있었다. ¶舶主 佛祖ㅣ라 機 뮈요 쟈고미오 吉 몬져 나토미니 衆生이 어루 날 善이 이실 聖人이 應시면 善이 나고 應티 아니시면 나디 몯 닐오 機긩 져고미라(박주는 불조이다. 기(機)는 움직임에 작은 것이고 길(吉)에 먼저 나타남이니 중생이 가히 날 선이 있기 때문에 성인이 응하시면 선이 나고 응하지 않으시면 나자 못하기 때문에 이르기를 기(機)는 적은 것이다.)〈남명 상:33ㄱ~ㄴ〉.
주023)
원포(園圃) : 과일나무나 채소 따위를 심어 가꾸는 울 안에 있는 작은 밭.
주024)
저쥬라 : 젖[濕]-+-이(사동 파생 접미사)-+-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젖게 하다. ¶三世 說法야 부텻 목수믈 니 젼로 부텻 목수미 그지 업스며 法 住호미 甚히 오라리니 滅度 後에 塔 셰여 그 나라해 호  나 德으로 두루 저쥬미라(삼세(三世)를 설법하여 부처님의 목숨을 이은 까닭으로 부처님의 목숨이 끝이 없으며 법(法) 머무는 것이 아주 오랠 것이니, 멸도 후에 탑 세워 그 나라에 가득함은 또 남은 덕으로 두루 젖게 하는 것이다.)〈월석 15:18ㄱ〉.
주025)
수(數)업슨 : 수없[無數]-+-으(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수없는. 중세어에서는 ‘없-’이 현재 관형사형에 ‘--’를 요구하지 않았다.
주026)
더으니 : 더으[加]-+-니(연결 어미). 더하니. 여기서는 새들이 모여드는 것을 묘사한 것이다.
주027)
토아 : 토[爭]-+-아(연결 어미). 다투어.
주028)
목욕(沐浴)야 : 목욕(沐浴)-+-y(조음소)-+-아(연결 어미). 목욕하여. 새들이 물에서 노는 것을 가리킨다.
주029)
짐즛 : 짐짓. ‘짐짓’은 본래 ‘마음에는 그렇지 않으나 일부러’의 뜻이나 여기서는 그렇게 보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주030)
숫어리다 : 숫[喧]-+-어리(그러함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종결 어미). 떠든다. 여기서는 다소 의역을 하여 ‘떠들며 지저귄다’와 같이 번역하였다. ‘숫다’도 유사한 뜻을 가진다. ‘숫어리다’의 용례는 여기서가 유일한 예인 것으로 여겨진다. ¶巍巍不動 尊 일후미 法中王이니라 녯 지비 괴외호 녜 光明 펴니 여슷 窓이 뷔여 괴외야 숫어 어즈러오미 긋도다(위엄을 갖추어 움직이지 않는 존(尊)을 이름하는 것이 범중왕(法中王)인 것이다. 옛 집이 고요하되, 늘 광명을 펴나니 여섯 창이 비어 고요하여 떠들어 어지러움이 그치는구나.)〈금삼 5:11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