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0
  • 사시(四時)
  • 절구(絶句)
메뉴닫기 메뉴열기

절구(絶句)


絶句 주001)
절구(絶句)
이 시 ‘절구’는 ‘절구 2수’로 된 시 가운데 두 번째 시에 해당한다. 시의 형식이 5언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언절구가 된다. 3월 상사(上巳, 삼짇날을 가리킨다)에 곡강(曲江)에 많은 신하들이 모여 강두(江頭)에서 답청(踏靑)을 하였다고 한다. 다른 설에는 3월 삼짇날 교외에 나가 답청을 하였다고도 한다. 광덕(廣德) 2년(764)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절구

江邊踏靑罷 廻首見旌旗

 주002)

[江]+ㅅ(관형격 조사). 강의. ¶四海 년글 주리여 매  업거늘 얼우시고  노기시니(사해를 남을 줄 것인가? 강에 배 없거늘 얼게 하시고 또 녹이시니)〈용가 20〉. 부톄 百億 世界예 化身야 敎化샤미 리 즈믄 매 비취요미 니라(부처님이 백억 세계에 화신하여 교화하시는 것이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침과 같은 것이다.)〈월석 1:1ㄱ〉.
셔 주003)
셔
[邊]+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셔(보조사). 가에서. 가장자리에서. 재구조화를 적용하여 ‘애셔’를 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로 분석할 수도 있다. ¶邛池ㅅ 龍이 외야≪邛  일후미오 池 모시라 中國 西ㅅ녁  蜀이라  올히 잇니 蜀애셔 邛이 갓가니라≫(공지의 용이 되어≪공은 땅의 이름이고, 지는 못이다. 중국 서쪽 가에 촉이라고 하는 고을이 있었는데, 촉에서 공이 가깝다.≫)〈월석 2:50ㄴ〉.
프른 주004)
프른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프르-’가 현대어에서 ‘푸르-’가 된 것은 순자음 아래에서 ‘ㅡ’가 ‘ㅜ’로 되는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세 거시  호 實엔 다니 鑞은  오 鉛은 누르고 오 錫은 프르고 거므니라(셋은 같은 듯하되, 사실은 다르니, 납은 가장 희고, 연은 누르고 희며, 석은 푸르고 검은 것이다.)〈법화 1:219ㄱ〉.
주005)
풀[草].
오 주006)
오
[踏]-+-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밟음을. 밟는 것을. 명사형 어미를 ‘-옴/움’과 같이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大迦葉히 喩說을 아와 부텻 正道 得야 반기 부텻 位 오릴 오 果 주샤 니시니 일후미 授記品이라(대가섭들이 유설을 깨달아 부처의 정도를 얻어 마땅히 부처의 위를 밟을 것이므로, 오는(미래의) 과(果)를 주시어 이르시니, 이름이 수기품이다.)〈법화 3:55ㄱ〉.
고 주007)
고
[終]-+-고(연결 어미). 마치고. ‘-’이 ‘-’과 같이 된 것은 내파화에 의한 것이다. ¶잇 譬喩品 고 아래 信解品이니 信解 喩說 듣 因야 信로 드러 法要 알 씨라(여기까지 비유품을 마치고, 아래는 신해품이니, 신해는 유설 듣자옴(들음)을 인하여 믿음으로 들어서 법요를 아는 것이다.)〈월석 12:50ㄴ〉.
머릴 주008)
머릴
머리[頭]+ㄹ(대격 조사). 머리를.
횟돌아 주009)
횟돌아
횟(접두사)-+-돌[回, 廻]-+-아(연결 어미). 휘돌려. 현대어에서는 ‘휘돌다’는 자동사인데, 이 문맥에서는 분명히 목적어인 ‘머릴’이 있으므로, 타동사로 쓰였다고 보아야 한다. ¶灣은 믈 횟도 히오 環은 횟돌 씨라(만은 물이 휘도는 곳이고, 환은 휘도는 것이다.)〈능엄 10:7ㄴ〉. 旋은 횟돌 씨라(선은 빙글빙글 도는 것이다.)〈월석 18:68ㄱ〉.
旌旗 주010)
정기(旌旗)
정기(旌旗)+(대격 조사). 깃발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 정(旌)과 기(旗)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정(旌)은 중국의 천자가 사기를 고무시킬 때 쓰던 깃발이나, 신임의 표시로 사신에게 주던 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보라

【한자음】 강변답청파 회수견정기
【언해역】 강가에서 푸른 풀 밟는 것을 마치고, 머리를 휘돌려 정기(旌旗)를 보라.

風起春城暮 高樓鼓角悲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미 주011)
미
[風]+이(주격 조사). 바람이.
니렛 주012)
니렛
닐[起]-+-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일어 있는. 일고 있는. 이 문맥에서는 ‘일고 있는’이 더 적합하다. 중세어의 연결 어미 ‘-어’의 쓰임이 현대어에서보다 더 광범하였음을 말해 준다. ¶彌勒 위야 修行本起經을 니르시며≪本 根源이오 起 닐 씨니 修行本起經은 修行ㅅ 根源 니르와샨  첫 根源을 닐은 經이라(미륵을 위하여 수행본기경을 설법하시며≪본은 근원이요, 기는 일어난다는 것이니, 수행본기경은 수행의 근원을 일으키신 맨 첫 근원을 말씀한 경이다.)〈석보 6:42ㄴ〉.
 城 주013)
 성(城)
봄의 성.
나조 주014)
나조
나조ㅎ[夕]+(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저녁에. ¶頹  듐 니 나조 니라니라(퇴는 해가 지는 것과 같으니 저녁을 이르는 것이다.)〈능엄 2:5ㄴ~6ㄱ〉
노 주015)
노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높은.
주016)
누(樓)
누각.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이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을 말한다.
붑과 주017)
붑과
붑[鼓]+과(접속 조사). 북과. ‘붑’이 ‘북’이 된 것은 이화 현상으로 취급된다. ¶樂 놀애 춤트렛 조 니고 樂音은 붑 티 며 시우대 니고〉(악은 노래 춤들에 대한 재주를 말하고, 악음은 북 치는 마디와 현관(絃管)을 말하고)〈법화 1:49ㄴ〉.  브려 류호 붑 티며 角貝 블며 簫와 뎌콰 琴과 箜篌와 琵琶와 鐃와 銅鈸와≪다 륫가시라≫ 이  한 微妙 소리 다 가져 供養커나(남을 부려 풍악을 올리되, 북 치며 각패(角貝, 소라고둥)를 불며 소(簫)와 적(笛)과 금(琴)과 공후(箜篌)와 비파(琵琶)와 징〈鐃〉과 제금〈銅鈸〉과≪다 풍류의 사물(악기)이다.≫ 이와 같은 많은 미묘한 소리를 다 가지고 공양하거나)〈법화 1:220ㄴ~221ㄴ〉
吹角ㅅ소리 주018)
취각(吹角)ㅅ 소리
취각(吹角)+ㅅ(관형격 조사)+소리[音]. 취각의 소리. 취각(吹角)은 각(角)을 분다는 말로, 각은 나각, 대각, 중각, 소각 따위의 악기를 말한다.
슬프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풍기춘성모 고루고각비
【언해역】 바람이 일고 있는 봄 성의 저녁에, 높은 누각에 북과 취각 소리 슬프도다.
Ⓒ 역자 | 임홍빈 / 2011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절구(絶句) : 이 시 ‘절구’는 ‘절구 2수’로 된 시 가운데 두 번째 시에 해당한다. 시의 형식이 5언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언절구가 된다. 3월 상사(上巳, 삼짇날을 가리킨다)에 곡강(曲江)에 많은 신하들이 모여 강두(江頭)에서 답청(踏靑)을 하였다고 한다. 다른 설에는 3월 삼짇날 교외에 나가 답청을 하였다고도 한다. 광덕(廣德) 2년(764) 봄에 지은 것이라 한다.
주002)
 : [江]+ㅅ(관형격 조사). 강의. ¶四海 년글 주리여 매  업거늘 얼우시고  노기시니(사해를 남을 줄 것인가? 강에 배 없거늘 얼게 하시고 또 녹이시니)〈용가 20〉. 부톄 百億 世界예 化身야 敎化샤미 리 즈믄 매 비취요미 니라(부처님이 백억 세계에 화신하여 교화하시는 것이 달이 천 개의 강에 비침과 같은 것이다.)〈월석 1:1ㄱ〉.
주003)
셔 : [邊]+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셔(보조사). 가에서. 가장자리에서. 재구조화를 적용하여 ‘애셔’를 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로 분석할 수도 있다. ¶邛池ㅅ 龍이 외야≪邛  일후미오 池 모시라 中國 西ㅅ녁  蜀이라  올히 잇니 蜀애셔 邛이 갓가니라≫(공지의 용이 되어≪공은 땅의 이름이고, 지는 못이다. 중국 서쪽 가에 촉이라고 하는 고을이 있었는데, 촉에서 공이 가깝다.≫)〈월석 2:50ㄴ〉.
주004)
프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프르-’가 현대어에서 ‘푸르-’가 된 것은 순자음 아래에서 ‘ㅡ’가 ‘ㅜ’로 되는 순음화에 의한 것이다. ¶세 거시  호 實엔 다니 鑞은  오 鉛은 누르고 오 錫은 프르고 거므니라(셋은 같은 듯하되, 사실은 다르니, 납은 가장 희고, 연은 누르고 희며, 석은 푸르고 검은 것이다.)〈법화 1:219ㄱ〉.
주005)
플 : 풀[草].
주006)
오 : [踏]-+-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밟음을. 밟는 것을. 명사형 어미를 ‘-옴/움’과 같이 상정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한 것이다. ¶大迦葉히 喩說을 아와 부텻 正道 得야 반기 부텻 位 오릴 오 果 주샤 니시니 일후미 授記品이라(대가섭들이 유설을 깨달아 부처의 정도를 얻어 마땅히 부처의 위를 밟을 것이므로, 오는(미래의) 과(果)를 주시어 이르시니, 이름이 수기품이다.)〈법화 3:55ㄱ〉.
주007)
고 : [終]-+-고(연결 어미). 마치고. ‘-’이 ‘-’과 같이 된 것은 내파화에 의한 것이다. ¶잇 譬喩品 고 아래 信解品이니 信解 喩說 듣 因야 信로 드러 法要 알 씨라(여기까지 비유품을 마치고, 아래는 신해품이니, 신해는 유설 듣자옴(들음)을 인하여 믿음으로 들어서 법요를 아는 것이다.)〈월석 12:50ㄴ〉.
주008)
머릴 : 머리[頭]+ㄹ(대격 조사). 머리를.
주009)
횟돌아 : 횟(접두사)-+-돌[回, 廻]-+-아(연결 어미). 휘돌려. 현대어에서는 ‘휘돌다’는 자동사인데, 이 문맥에서는 분명히 목적어인 ‘머릴’이 있으므로, 타동사로 쓰였다고 보아야 한다. ¶灣은 믈 횟도 히오 環은 횟돌 씨라(만은 물이 휘도는 곳이고, 환은 휘도는 것이다.)〈능엄 10:7ㄴ〉. 旋은 횟돌 씨라(선은 빙글빙글 도는 것이다.)〈월석 18:68ㄱ〉.
주010)
정기(旌旗) : 정기(旌旗)+(대격 조사). 깃발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이기도 하고, 정(旌)과 기(旗)를 합하여 부르는 이름이기도 하다. 정(旌)은 중국의 천자가 사기를 고무시킬 때 쓰던 깃발이나, 신임의 표시로 사신에게 주던 기를 가리키기도 한다.
주011)
미 : [風]+이(주격 조사). 바람이.
주012)
니렛 : 닐[起]-+-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일어 있는. 일고 있는. 이 문맥에서는 ‘일고 있는’이 더 적합하다. 중세어의 연결 어미 ‘-어’의 쓰임이 현대어에서보다 더 광범하였음을 말해 준다. ¶彌勒 위야 修行本起經을 니르시며≪本 根源이오 起 닐 씨니 修行本起經은 修行ㅅ 根源 니르와샨  첫 根源을 닐은 經이라(미륵을 위하여 수행본기경을 설법하시며≪본은 근원이요, 기는 일어난다는 것이니, 수행본기경은 수행의 근원을 일으키신 맨 첫 근원을 말씀한 경이다.)〈석보 6:42ㄴ〉.
주013)
 성(城) : 봄의 성.
주014)
나조 : 나조ㅎ[夕]+(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저녁에. ¶頹  듐 니 나조 니라니라(퇴는 해가 지는 것과 같으니 저녁을 이르는 것이다.)〈능엄 2:5ㄴ~6ㄱ〉
주015)
노 : 높[高]-+-(조음소)-+-ㄴ(관형사형 어미). 높은.
주016)
누(樓) : 누각.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이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을 말한다.
주017)
붑과 : 붑[鼓]+과(접속 조사). 북과. ‘붑’이 ‘북’이 된 것은 이화 현상으로 취급된다. ¶樂 놀애 춤트렛 조 니고 樂音은 붑 티 며 시우대 니고〉(악은 노래 춤들에 대한 재주를 말하고, 악음은 북 치는 마디와 현관(絃管)을 말하고)〈법화 1:49ㄴ〉.  브려 류호 붑 티며 角貝 블며 簫와 뎌콰 琴과 箜篌와 琵琶와 鐃와 銅鈸와≪다 륫가시라≫ 이  한 微妙 소리 다 가져 供養커나(남을 부려 풍악을 올리되, 북 치며 각패(角貝, 소라고둥)를 불며 소(簫)와 적(笛)과 금(琴)과 공후(箜篌)와 비파(琵琶)와 징〈鐃〉과 제금〈銅鈸〉과≪다 풍류의 사물(악기)이다.≫ 이와 같은 많은 미묘한 소리를 다 가지고 공양하거나)〈법화 1:220ㄴ~221ㄴ〉
주018)
취각(吹角)ㅅ 소리 : 취각(吹角)+ㅅ(관형격 조사)+소리[音]. 취각의 소리. 취각(吹角)은 각(角)을 분다는 말로, 각은 나각, 대각, 중각, 소각 따위의 악기를 말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