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법장(法藏)의 약소(略疏) 발문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장(法藏)의 약소(略疏) 발문


法蔵이 長安二年에 於亰<건물>淸禪寺애 翻經之暇애 属司禮部兼檢校雍州長史榮陽鄭公이 淸簡成性며 忠孝ㅣ自心며 金柯玉葉之芳花ㅣ며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6ㄴ

九刋三王之重寄로 羽儀朝序며 城塹法門야 始自靑衿야 迄於白首히 持此心經호 數千萬徧야 心游妙義며 口誦靈文더니 再三殷勤야 令出略疏니 輒以蠡管으로 詎測高深云爾리오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法藏 주001)
법장(法藏):
중국 당(唐)나라 승려. 현수대사(賢首大師, 643~712 A.D.) 화엄종(華嚴宗)의 제3조.
長安 二年【長安 唐則天年號ㅣ라】 셔욼 주002)
셔욼:
서울의. 여기서는 당(唐)나라 수도인 장안(長安).
淸禪寺애 經翻譯餘暇애 마초아 주003)
마초아:
마침. 마초아[屬].
司禮部兼檢校雍州長史榮陽鄭公이일후믄 주004)
일후믄:
이름은. 일훔[名]+은(보조사).
萬鈞이니 睿宗女代國公主 尙얫더니라 주005)
상(尙)얫더니라:
상(尙)하였던 것이다. ‘-+야(연결어미)#잇-[有]+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淸白며 簡略호미 性이 일며 주006)
일며:
되며. 일-[成]+며(연결어미).
忠孝ㅣ  브트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7ㄱ

주007)
 브트며:
마음으로부터 나오며. [心]+(목적격조사)#븥-[自]+으며(연결어미). ‘-#븥-’이 문법화하여 부사격조사 ‘-브터〉-으로부터’로 바뀌는 초기의 형태임.
金柯玉葉 됴 주008)
됴:
좋은. 둏-[芳]+(관형사형어미).
고지며 주009)
고지며:
꽃이며. 곶[花]+이(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金柯玉葉은 宗室을 니니라 주010)
니니라:
이르니라. 니-[云]+니라(평서형 종결어미).
九刊三王ㅅ 重 所任으로【三王 王尊王章王駿이니 漢時예 京兆尹니 趙廣漢과 張敞과 王尊 王章 王駿이 다 어딘 주011)
어딘:
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일후미 주012)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이실 주013)
이실:
있으므로. 이시-[有]+시(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京師ㅣ 닐오 주014)
닐오:
이르되. 니-[說]+오(설명형 연결어미).
前에 趙張이 잇고 後에 三王이 잇다 주015)
잇다:
있다. 잇-[有]+다(종결어미).
니라 주016)
니라:
하니라. 한 것이다. -+니라(평서형 종결어미).
朝廷엣 羽儀며【羽儀  주017)
:
나는. -[飛]+(관형사형어미).
이 주018)
이:
짐승의. 한자 ‘(衆生)’에서 온 말인데, ‘즘〉즘〉짐승’의 과정을 거치면서 의미의 축소를 가져 왔음. ‘-이’는 관형격조사.
지츠로 주019)
지츠로:
깃으로. 짗[羽]+으로(부사격조사).
威儀 사씨라 주020)
사씨라:
삼는 것이다. 삼-[爲]+씨라(종결어미).
法門엣 城塹이 외야 주021)
외야:
되어. 외-[爲]+야(연결어미).
靑衿을 주022)
청금(靑衿)을:
청금(靑衿)을. ‘청금(靑衿)’은 유생(儒生)을 가리킨다.
비르서 주023)
비르서:
비롯하여. 비릇-[自]+어(연결어미). 비릇-[方]+어(연결어미). 동사어기에 접사화한 부동사어미 ‘-아/어’가 결합하여 부사로 파생된 것임.
白首에 니르리 주024)
니르리:
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이 心經을 디뇨 주025)
디뇨:
지니되. 디니-[持]+오(연결어미).
數千萬 버늘 주026)
버늘:
번을. 번(番)+을(목적격조사).
야 미 妙義예 니며 주027)
니며:
다니며. 니-[游]+며(연결어미). ‘니-’는 ‘-[走]#니[行]-’에서 온 말로 합성동사임.
이베 주028)
이베:
입에. 입[口]+에(부사격조사).
靈文을 외오더니 주029)
외오더니:
외우더니. 외오-[誦]+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靈文은 됴 글워리니 주030)
글워리니:
글월이라. 글월[文]+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이 經을 니니라】
두 번 브즈러니 주031)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러니[勤].
야 略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7ㄴ

疏 내라 주032)
내라:
내라. 내어라. 내-[出]+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니 믄득 주033)
믄득:
문득. 믄득[忽](부사).
蠡管으로 엇뎨 노며 기프닐 주034)
기프닐:
깊은 것을. 깊-[深]+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혜아리리오 주035)
혜아리리오:
헤아릴 것인가. 혜아리-[測]+리(추측법 선어말어미)+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蠡 죡바기오 주036)
죡바기오:
쪽박이고. 죡박[蠡]+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管 대로니 주037)
대로니:
대로이니. 대[管]+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漢書에 닐오 蠡로 바 주038)
바:
바다를. 바[海]+(목적격조사).
되며 주039)
되며:
되며. 되[測]+며(연결어미).
管으로 하 보다 니 보미 주040)
보미:
봄이. 보는 것이. 보-[見]+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보(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 :봄(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져고 주041)
져고:
적음을. 젹-[少]+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니니라 주042)
니니라:
이른다. 이르니라. 니-[說]+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법장(法藏)장안(長安) 2년【장안(長安)은 당(唐)나라 측천(則天)의 연호(年號)이다.】 서울의 청선사(淸禪寺)에서 경(經) 번역(翻譯)의 여가(餘暇)에, 마침 사례부 겸 검교 옹주장사 영양정공(榮陽鄭公)【이름은 만균(萬鈞)이니, 예종여대국공주(睿宗女代國公主)를 상(尙)하였던 것이다.】 청백(淸白)하고 간략(簡略)함이 성(性)이 되며, 충효(忠孝)가 마음으로부터 나오며, 금가옥엽(金柯玉葉)의 좋은 꽃이며,【금가옥엽은 종실(宗室)을 이른다.】 구간(九刊) 삼왕(三王)의 중(重)한 소임(所任)으로,【삼왕은 왕존(王尊)왕장(王章)왕준(王駿)이니, 한(漢)나라 때 경조
(京兆:首都)
의 판윤(判尹)을 했다. 조광한(趙廣漢)장창(張敞)왕존(王尊), 왕장(王章), 왕준(王駿)이 다 어진 이름이 있으므로 경사
(京師:首都)
의 사람들이 이르되, ‘전(前)에 조·장(趙張)이 있고, 후(後)에 삼왕(三王)이 있다.’ 한 것이다.】
조정(朝廷)의 우의(羽儀)며【우의는 나는 짐승의 깃으로 위의(威儀)를 삼는 것이다.】 법문(法門)의 성참(城塹)이 되어 청금(靑衿)을 비롯하여 백수(白首)에 이르도록 이 심경(心經)을 지니되, 수천만 번을 하여
(=읽어서)
마음이 묘의(妙義)에 다니며 입에 영문(靈文)을 외우더니라.【영문은 좋은 글월이니, 이 경을 이른다.】 “두어 번 부지런히 하여 약소(略疏)를 내라.” 하니, 문득 여관(蠡管)으로 어찌 높으며 깊은 것을 헤아릴 것인가?【여(蠡)는 쪽박이고, 관(管)은 대롱이니 한서(漢書)에 이르되, ‘여(蠡)로 바다를 되며, 관(管)으로 하늘을 보다.’ 하니, 보는 것이 적음을 이른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법장(法藏):중국 당(唐)나라 승려. 현수대사(賢首大師, 643~712 A.D.) 화엄종(華嚴宗)의 제3조.
주002)
셔욼:서울의. 여기서는 당(唐)나라 수도인 장안(長安).
주003)
마초아:마침. 마초아[屬].
주004)
일후믄:이름은. 일훔[名]+은(보조사).
주005)
상(尙)얫더니라:상(尙)하였던 것이다. ‘-+야(연결어미)#잇-[有]+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6)
일며:되며. 일-[成]+며(연결어미).
주007)
 브트며:마음으로부터 나오며. [心]+(목적격조사)#븥-[自]+으며(연결어미). ‘-#븥-’이 문법화하여 부사격조사 ‘-브터〉-으로부터’로 바뀌는 초기의 형태임.
주008)
됴:좋은. 둏-[芳]+(관형사형어미).
주009)
고지며:꽃이며. 곶[花]+이(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10)
니니라:이르니라. 니-[云]+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1)
어딘: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어미).
주012)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13)
이실:있으므로. 이시-[有]+시(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주014)
닐오:이르되. 니-[說]+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15)
잇다:있다. 잇-[有]+다(종결어미).
주016)
니라:하니라. 한 것이다. -+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나는. -[飛]+(관형사형어미).
주018)
이:짐승의. 한자 ‘(衆生)’에서 온 말인데, ‘즘〉즘〉짐승’의 과정을 거치면서 의미의 축소를 가져 왔음. ‘-이’는 관형격조사.
주019)
지츠로:깃으로. 짗[羽]+으로(부사격조사).
주020)
사씨라:삼는 것이다. 삼-[爲]+씨라(종결어미).
주021)
외야:되어. 외-[爲]+야(연결어미).
주022)
청금(靑衿)을:청금(靑衿)을. ‘청금(靑衿)’은 유생(儒生)을 가리킨다.
주023)
비르서:비롯하여. 비릇-[自]+어(연결어미). 비릇-[方]+어(연결어미). 동사어기에 접사화한 부동사어미 ‘-아/어’가 결합하여 부사로 파생된 것임.
주024)
니르리:이르기까지.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5)
디뇨:지니되. 디니-[持]+오(연결어미).
주026)
버늘:번을. 번(番)+을(목적격조사).
주027)
니며:다니며. 니-[游]+며(연결어미). ‘니-’는 ‘-[走]#니[行]-’에서 온 말로 합성동사임.
주028)
이베:입에. 입[口]+에(부사격조사).
주029)
외오더니:외우더니. 외오-[誦]+더(회상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0)
글워리니:글월이라. 글월[文]+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31)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러니[勤].
주032)
내라:내라. 내어라. 내-[出]+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33)
믄득:문득. 믄득[忽](부사).
주034)
기프닐:깊은 것을. 깊-[深]+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35)
혜아리리오:헤아릴 것인가. 혜아리-[測]+리(추측법 선어말어미)+오(‘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주036)
죡바기오:쪽박이고. 죡박[蠡]+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주037)
대로니:대로이니. 대[管]+이(서술격조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38)
바:바다를. 바[海]+(목적격조사).
주039)
되며:되며. 되[測]+며(연결어미).
주040)
보미:봄이. 보는 것이. 보-[見]+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보(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 :봄(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주041)
져고:적음을. 젹-[少]+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42)
니니라:이른다. 이르니라. 니-[說]+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