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32.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메뉴닫기 메뉴열기

032. 이무소득고(以無所得故)


先牒前起後

선첩전기후

【經】 以無所得故로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得혼 주001)
득(得)혼:
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02)
곧:
것이. 곧[所].
업순 주003)
업순:
없는. 없-[無]+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젼로 주004)
젼로:
까닭으로. 젼[故]+로(원인부사격조사).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얻은 것이 없는 까닭으로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以者 由也ㅣ오 故者 因也ㅣ며 亦所以也ㅣ니 由前에 無所得으로 爲因이라 所以令後에 有所得也ㅣ니라 故로 大品에 云샤 無所得故로 而得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4ㄱ

以 주005)
이(以):
이(以)는.
브틀씨오 주006)
브틀씨오:
말미암는 것이고. 븥-[由]+을(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故 주007)
고(故):
고(故)는.
因이며 주008)
인(因)이며:
인(因)이며.
所以니 주009)
소이(所以)니:
소이(所以)이니. 까닭이니. 소이(所以)+∅(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알 주010)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得혼 주011)
득(得)혼:
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12)
곧:
것이. 곧[所].
업수므로 주013)
업수므로:
없음으로. 없-[無]+움(명사형어미)+으로(부사격조사).
사모 주014)
사모:
삼음을. 삼-[爲]+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브툰디라 주015)
브툰디라:
말미암은 것이라. 붙은 것이라. 븥-[由]+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後에 주016)
후(後)에:
후(後)에.
得혼 고디 주017)
고디:
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잇게 주018)
잇게:
있게. 잇-[有]+게(연결어미).
니라 이럴 주019)
이럴:
이러므로. 이럴[故].
大品 주020)
대품(大品):
당(唐)나라 현장(玄奘)이 번역(660~663 A.D.)한 6백 권의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을 이른다.
니샤 주021)
니샤:
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得혼 곧 업슨 주022)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젼로 주023)
젼로:
까닭으로. 젼[故]+로(원인부사격조사).
得니라 주024)
득(得)니라:
득(得)하는 것이다. 얻는 것이다. ‘-니라’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시니라 주025)
시니라:
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이(以)는 말미암는 것이고, 고(故)는 인(因)이며 또 소이(所以)이다. 앞에 얻은 것이 없으므로 인(因) 삼음을 말미암는 것이라서 후(後)에 얻는 바가 있게 한 것이다. 이러므로 대품경(大品經)에서 이르시되, “얻은 것 없는 까닭으로 얻는 것이니라.”라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後 正明所得이 二니 先明菩薩ㅅ 得涅槃㫁果ㅣ 二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後 주026)
후(後):
후(後)는. ‘-’은 보조사.
得혼 주027)
득(得)혼:
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28)
곧:
것이. 곧[所].
正히 주029)
정(正)히:
정(正)히.
기샤미 주030)
기샤미:
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둘히니 주031)
둘히니:
둘이니. 둘ㅎ[二]+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몬져 주032)
몬져:
먼저. 몬져[先](부사).
菩薩 주033)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을 이르는 말이다.
주034)
보살(菩薩)ㅅ:
보살(菩薩)의. ‘-ㅅ’은 존경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속격조사.
涅槃斷果 주035)
열반단과(涅槃斷果):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得샴 주036)
득(得)샴:
득(得)하심을. 얻으심을. ‘-샴’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로 분석된다.
기샤미 둘히니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후(後)는 얻은 것을 정(正)히 밝히심이 둘이니, 먼저 보살(菩薩)의 열반단과(涅槃斷果) 얻으심을 밝히신 것이 둘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득(得)혼: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02)
곧:것이. 곧[所].
주003)
업순:없는. 없-[無]+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4)
젼로:까닭으로. 젼[故]+로(원인부사격조사).
주005)
이(以):이(以)는.
주006)
브틀씨오:말미암는 것이고. 븥-[由]+을(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주007)
고(故):고(故)는.
주008)
인(因)이며:인(因)이며.
주009)
소이(所以)니:소이(所以)이니. 까닭이니. 소이(所以)+∅(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10)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11)
득(得)혼: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12)
곧:것이. 곧[所].
주013)
업수므로:없음으로. 없-[無]+움(명사형어미)+으로(부사격조사).
주014)
사모:삼음을. 삼-[爲]+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5)
브툰디라:말미암은 것이라. 붙은 것이라. 븥-[由]+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6)
후(後)에:후(後)에.
주017)
고디: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18)
잇게:있게. 잇-[有]+게(연결어미).
주019)
이럴:이러므로. 이럴[故].
주020)
대품(大品):당(唐)나라 현장(玄奘)이 번역(660~663 A.D.)한 6백 권의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을 이른다.
주021)
니샤: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22)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23)
젼로:까닭으로. 젼[故]+로(원인부사격조사).
주024)
득(得)니라:득(得)하는 것이다. 얻는 것이다. ‘-니라’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5)
시니라: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주026)
후(後):후(後)는. ‘-’은 보조사.
주027)
득(得)혼: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28)
곧:것이. 곧[所].
주029)
정(正)히:정(正)히.
주030)
기샤미: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31)
둘히니:둘이니. 둘ㅎ[二]+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32)
몬져:먼저. 몬져[先](부사).
주033)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을 이르는 말이다.
주034)
보살(菩薩)ㅅ:보살(菩薩)의. ‘-ㅅ’은 존경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속격조사.
주035)
열반단과(涅槃斷果):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를 이른다.
주036)
득(得)샴:득(得)하심을. 얻으심을. ‘-샴’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