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3] 그 여읜 바를 밝히심
메뉴닫기 메뉴열기

[3] 그 여읜 바를 밝히심


[略疏] 三은 明其所離니 眞空所離ㅣ 歷法多門나 綂略有四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세 주001)
세:
셋은. 세ㅎ[三]+(보조사).
주002)
그:
그. 그[其](지시관형사).
여흰 주003)
여흰:
여읜. 벗어난. 이별한. 여희-[離]+ㄴ(관형사형어미).
고 주004)
고:
곳을. 것을. 바를. 곧[所]+(목적격조사).
기샤미니 주005)
기샤미니:
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眞空 주006)
진공(眞空):
일체(一切)의 색상(色相)을 초월한 편진단공(偏眞單空)의 상태를 이르는 말.
의 여흰 고디 주007)
고디:
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08)
법(法):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버리건댄 주009)
버리건댄:
벌리면. 벌릴진댄. 벌리건대는. 펼진댄. 버리-[歷]+거(확인법 선어말어미)+ㄴ댄(연결어미).
門이 주010)
문(門)이:
문(門)이. ‘문(門)’은 여기서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의 뜻을 나타냄.
하나 주011)
하나:
많으나. 하-[多]+나(연결어미).
뫼화 주012)
뫼화:
모아. 뫼호-[統]+아(연결어미).
略게 주013)
약(略)게:
간략(簡略)하게.
면 네히 주014)
네히:
넷이. 네ㅎ[四]+이(주격조사).
잇니 주015)
잇니:
있으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셋은 그 여읜 바를 밝히심이니, 진공(眞空)의 여읜 것이 법(法)을 펼진댄 문(門)이 많으나 모아서 간략히 하면 넷이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세:셋은. 세ㅎ[三]+(보조사).
주002)
그:그. 그[其](지시관형사).
주003)
여흰:여읜. 벗어난. 이별한. 여희-[離]+ㄴ(관형사형어미).
주004)
고:곳을. 것을. 바를. 곧[所]+(목적격조사).
주005)
기샤미니:밝히심이니. 밝히신 것이니. -[明]+이(사동접미사)+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6)
진공(眞空):일체(一切)의 색상(色相)을 초월한 편진단공(偏眞單空)의 상태를 이르는 말.
주007)
고디: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08)
법(法):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주009)
버리건댄:벌리면. 벌릴진댄. 벌리건대는. 펼진댄. 버리-[歷]+거(확인법 선어말어미)+ㄴ댄(연결어미).
주010)
문(門)이:문(門)이. ‘문(門)’은 여기서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의 뜻을 나타냄.
주011)
하나:많으나. 하-[多]+나(연결어미).
주012)
뫼화:모아. 뫼호-[統]+아(연결어미).
주013)
약(略)게:간략(簡略)하게.
주014)
네히:넷이. 네ㅎ[四]+이(주격조사).
주015)
잇니:있으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