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略疏]세 가지 새김 2
메뉴닫기 메뉴열기

[略疏]세 가지 새김 2


[略疏] 二 就法야 釋이니 謂此眞空이 雖即色等이나 然이나 色從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1ㄴ

縁起커니와 眞空은 不生며 色從縁謝커니와 眞空은 不滅이니라 又随流호 不染며 出障호 非淨이니라 又障盡야도 非減이며 德滿야도 不增니라 此生滅等은 是有爲法相이니 翻此야 以顯眞空之相시니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2ㄱ

故로 前에 云空相也ㅣ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둘흔 주001)
둘흔:
둘은. 둘ㅎ[二]+은(보조사).
주002)
법(法):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나가 주003)
나가:
나아가. 나가-[就]+아(연결어미).
사교미니 주004)
사교미니:
새김이니. 사기-[釋]+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닐오 주005)
닐오:
이르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眞空 주006)
진공(眞空):
원만히 이루어진 진여(眞如)는 유(有)에 대한 상대적인 공(空)이 아니라, 일체(一切)의 미혹(迷惑)한 집착으로 보는 상(相)을 여읜 곳에 나타나는 묘한 이치이므로, 공(空) 아닌 공(空)을 진공(眞空)이라 이른다.
이 비록 곧 주007)
색(色):
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히나 주008)
색(色)히나:
색(色)들이나. ‘-히나’는 ‘-ㅎ(복수접미사)+이(서술격조사)+나(연결어미).’
그러나 色 주009)
연(縁):
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이른다. 가까운 원인을 ‘인(因)’이라고 하는데 비해, 멀리서 도와주는 것을 ‘연(緣)’이라고 한다.
브터 주010)
브터:
따라. 좇아. 븥-[從]+어(연결어미).
닐어니와 주011)
닐어니와:
일어나거니와. 닐-[起]+거니와/어니와(연결어미). ‘-어니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眞空 나디 주012)
나디:
나지. 생겨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13)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色 縁을 브터 업거니와 주014)
업거니와:
없거니와. 없-[無]+거니와(연결어미).
眞空 주015)
멸(滅):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주016)
멸(滅)티:
멸(滅)하지. 멸(滅)치. ‘-티’는 ‘-+디(보조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아니니라 주017)
아니니라:
아니하느니라. 아니하는 것이다.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流 주018)
유(流):
유(流)를. ‘’은 목적격조사. ‘유(流)’는 번뇌(煩惱)를 이른다.
조초 주019)
조초:
좇되. 좇-[隨]+오(설명형 연결어미).
더럽디 주020)
더럽디:
더럽지. 더럽-[染]+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21)
장(障):
세간, 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를 이른다.
나 주022)
나:
나되. 나-[出]+오(설명형 연결어미). ‘·나(어간, 거성)+·오·(거성+거성, 설명형 연결어미)→ :나-(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조티 주023)
조티:
깨끗하지. 좋-[淨]+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라 주024)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아니-[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障이 다아도 주025)
다아도:
다하여도. 다-[盡]+아도(방임형 연결어미).
더디 주026)
더디:
덜지. 덜-[減]+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27)
아니며:
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주028)
덕(德):
공덕(功德)을 이른다. ‘공덕(功德)’은 현재, 또는 미래에 행복을 가져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차도 주029)
차도:
차도. 차더라도. -[滿]+아도(방임형 연결어미).
더으디 주030)
더으디:
더하지. 더으-[增]+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라 주031)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生滅 주032)
생멸(生滅):
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을 이른다.
 주033)
생멸(生滅):
생멸(生滅)들은. ‘-’은 ‘-ㅎ(복수접미사)+(보조사)’로 분석된다.
욤 주034)
욤:
함이. 행함이. -[爲]+옴(명사형어미). ‘-’의 명사형은 ‘홈’과 ‘욤’ 두 유형으로 나타난다.
잇 주035)
잇:
있는. 잇-[有]+(관형사형어미).
法相 주036)
법상(法相):
천지 만유(萬有)의 모양이나 그것을 설명하는 교법(敎法)을 이른다.
이니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2ㄴ

주037)
이:
이를. 이[此]+(목적격조사).
드위 주038)
드위:
뒤집어. 드위-[飜]+어(연결어미).
眞空ㅅ 주039)
진공(眞空)ㅅ:
진공(眞空)의. ‘-ㅅ’은 속격조사.
주040)
상(相):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곧 꼴, 형상 등을 이른다.
顯시니 주041)
현(顯)시니:
현(顯)하시니.
이럴 주042)
이럴:
이러므로.
알 주043)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니샤 주044)
니샤:
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空相 주045)
공상(空相):
모든 법(法)은 인연에 의해 생기고, 어느 것이나 그 자성(自性)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를 제법(諸法)의 공상(空相)이라 이른다. 곧 온갖 법(法)이 모두 공(空)한 모양이다.
이라 주046)
공상(空相)이라:
공상(空相)이다. ‘-이라’는 ‘-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시니라 주047)
시니라:
하신 것이다. 하시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둘은 법(法)에 나아가 새김이다. 이르되, 이 진공(眞空)이 비록 곧 색(色)들이나 그러나 색(色)은 연(縁)을 따라 일어나거니와 진공(眞空)은 생겨나지 아니하며, 색(色)은 연(縁)을 따라 없거니와 진공(眞空)은 멸(滅)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또 유(流)를 좇되 더럽지 아니하며, 장(障)에 나되 깨끗하지 아니한 것이다. 또 장(障)이 다하여도 덜지 아니하며 덕(德)이 가득차도 더하지 아니한 것이다. 이 생멸(生滅)들은 이 행함이 있는 법상(法相)이니, 이를 뒤집어 진공(眞空)의 상(相)을 현(顯)하시니라. 이러므로 앞에 이르시되, ‘공상(空相)’이라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둘흔:둘은. 둘ㅎ[二]+은(보조사).
주002)
법(法):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주003)
나가:나아가. 나가-[就]+아(연결어미).
주004)
사교미니:새김이니. 사기-[釋]+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5)
닐오:이르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06)
진공(眞空):원만히 이루어진 진여(眞如)는 유(有)에 대한 상대적인 공(空)이 아니라, 일체(一切)의 미혹(迷惑)한 집착으로 보는 상(相)을 여읜 곳에 나타나는 묘한 이치이므로, 공(空) 아닌 공(空)을 진공(眞空)이라 이른다.
주007)
색(色):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주008)
색(色)히나:색(色)들이나. ‘-히나’는 ‘-ㅎ(복수접미사)+이(서술격조사)+나(연결어미).’
주009)
연(縁):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이른다. 가까운 원인을 ‘인(因)’이라고 하는데 비해, 멀리서 도와주는 것을 ‘연(緣)’이라고 한다.
주010)
브터:따라. 좇아. 븥-[從]+어(연결어미).
주011)
닐어니와:일어나거니와. 닐-[起]+거니와/어니와(연결어미). ‘-어니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2)
나디:나지. 생겨나지.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아니며: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주014)
업거니와:없거니와. 없-[無]+거니와(연결어미).
주015)
멸(滅):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주016)
멸(滅)티:멸(滅)하지. 멸(滅)치. ‘-티’는 ‘-+디(보조적 연결어미)’의 축약형.
주017)
아니니라:아니하느니라. 아니하는 것이다.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8)
유(流):유(流)를. ‘’은 목적격조사. ‘유(流)’는 번뇌(煩惱)를 이른다.
주019)
조초:좇되. 좇-[隨]+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20)
더럽디:더럽지. 더럽-[染]+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1)
장(障):세간, 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를 이른다.
주022)
나:나되. 나-[出]+오(설명형 연결어미). ‘·나(어간, 거성)+·오·(거성+거성, 설명형 연결어미)→ :나-(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주023)
조티:깨끗하지. 좋-[淨]+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4)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아니-[非]+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25)
다아도:다하여도. 다-[盡]+아도(방임형 연결어미).
주026)
더디:덜지. 덜-[減]+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7)
아니며:아니하며. 아니-[不]+며(연결어미).
주028)
덕(德):공덕(功德)을 이른다. ‘공덕(功德)’은 현재, 또는 미래에 행복을 가져올 선행(善行)을 이른다.
주029)
차도:차도. 차더라도. -[滿]+아도(방임형 연결어미).
주030)
더으디:더하지. 더으-[增]+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한 것이다.
주032)
생멸(生滅):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을 이른다.
주033)
생멸(生滅):생멸(生滅)들은. ‘-’은 ‘-ㅎ(복수접미사)+(보조사)’로 분석된다.
주034)
욤:함이. 행함이. -[爲]+옴(명사형어미). ‘-’의 명사형은 ‘홈’과 ‘욤’ 두 유형으로 나타난다.
주035)
잇:있는. 잇-[有]+(관형사형어미).
주036)
법상(法相):천지 만유(萬有)의 모양이나 그것을 설명하는 교법(敎法)을 이른다.
주037)
이:이를. 이[此]+(목적격조사).
주038)
드위:뒤집어. 드위-[飜]+어(연결어미).
주039)
진공(眞空)ㅅ:진공(眞空)의. ‘-ㅅ’은 속격조사.
주040)
상(相):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 곧 꼴, 형상 등을 이른다.
주041)
현(顯)시니:현(顯)하시니.
주042)
이럴:이러므로.
주043)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44)
니샤: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주045)
공상(空相):모든 법(法)은 인연에 의해 생기고, 어느 것이나 그 자성(自性)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를 제법(諸法)의 공상(空相)이라 이른다. 곧 온갖 법(法)이 모두 공(空)한 모양이다.
주046)
공상(空相)이라:공상(空相)이다. ‘-이라’는 ‘-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47)
시니라:하신 것이다. 하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