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27. 내지(乃至)
메뉴닫기 메뉴열기

027. 내지(乃至)


【經】 乃至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乃至 주001)
내지(乃至):
내지(乃至). ‘내지(乃至)’는 사물의 이름 사이에 끼어들어 ‘또는’, ‘혹은’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임.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내지(乃至)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上은 擧初支시고 下 擧後支시니 中間十支 皆應准此 故로 云乃至라 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우흔 주002)
우흔:
위는. 우ㅎ[上]+은(보조사).
주003)
첫:
첫. 첫[初](관형사).
가지 주004)
가지:
가지를. 가지[支]+(목적격조사).
드르시고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9ㄴ

아랜 後ㅅ 주005)
후(後)ㅅ:
후(後)의. ‘-ㅅ’은 속격조사.
가지 드르시니 주006)
드르시니:
드시니. 들-[擧]+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中間ㅅ 주007)
중간(中間)ㅅ:
중간(中間)의. ‘-ㅅ’은 속격조사.
열 가지 다 반기 주008)
반기:
반드시. 응당. 반기[應](부사).
이 주009)
이:
이를. 이에. 이[此]+(목적격조사).
마초릴 주010)
마초릴:
견줄 것이므로. 맞출 것이므로. 마초-[准]+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ㄹ(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니샤 乃至라 주011)
내지(乃至)라:
내지이다. 내지(乃至)+∅(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시니라 주012)
시니라:
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위는 첫 가지를 드시고 아래는 뒤의 가지를 드시니, 중간(中間)의 열 가지를 다 반드시 이에 견줄 것이므로 이르시되, ‘내지(乃至)’라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지(乃至):내지(乃至). ‘내지(乃至)’는 사물의 이름 사이에 끼어들어 ‘또는’, ‘혹은’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로 쓰임.
주002)
우흔:위는. 우ㅎ[上]+은(보조사).
주003)
첫:첫. 첫[初](관형사).
주004)
가지:가지를. 가지[支]+(목적격조사).
주005)
후(後)ㅅ:후(後)의. ‘-ㅅ’은 속격조사.
주006)
드르시니:드시니. 들-[擧]+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7)
중간(中間)ㅅ:중간(中間)의. ‘-ㅅ’은 속격조사.
주008)
반기:반드시. 응당. 반기[應](부사).
주009)
이:이를. 이에. 이[此]+(목적격조사).
주010)
마초릴:견줄 것이므로. 맞출 것이므로. 마초-[准]+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ㄹ(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1)
내지(乃至)라:내지이다. 내지(乃至)+∅(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2)
시니라: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