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31. 역무득(亦無得)
메뉴닫기 메뉴열기

031. 역무득(亦無得)


【經】 亦無得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주001)
:
또. [亦](부사).
주002)
득(得):
득(得)이. 얻는 것이.
업스니 주003)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연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또한 득(得)이 없으니,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即此所知空理도 亦不可得일 故로 云無得也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2ㄱ

ㅣ라 시니라 問前에 云샤 空即是色等은 明色等不亡시니 何以此文에 一切ㅣ 皆無오 豈非此空이 是滅色耶ㅣ리오 荅 前에 雖不礙存나 而未甞不盡이오 今此애 都亡나 未甞不立이니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2ㄴ

故로 大品에 云샤 諸法이 無所有나 如是有ㅣ라 시니 此 就無所有시고 前은 據如是有也시니라 又前은 就相作門시고 此 據相害門시니 一法二義라 随說無違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3ㄱ

주004)
곧:
곧. 곧[卽](부사).
주005)
이:
이것을. 이[此].
아논 주006)
아논:
아는. 알-[知]+(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空理 주007)
공리(空理):
모든 것은 그 실체(實體)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다는 공(空)의 뜻과 이치를 이른다.
주008)
:
또. [亦].
得디 주009)
득(得)디:
득(得)하지. 얻지. ‘-디’는 무성자음으로 끝난 체언다음에서 ‘-디’의 ‘-’가 탈락된 형태이다.
몯릴 주010)
몯릴:
못할 것이므로. 몯-[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ㄹ(연결어미).
니샤 주011)
니샤:
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업다 주012)
업다:
없다. 없-[無]+다(종결어미).
시니라 주013)
시니라:
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무로 주014)
무로:
묻되. 묻-[問]+오(설명형 연결어미).
알 주015)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니샤 주016)
공(空):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이 곧 이 주017)
색(色):
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히라 주018)
색(色)히라:
색(色)들이다. ‘-히라’는 ‘-ㅎ(복수접미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샤 주019)
샤:
하심은. 하신 것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보조사).
色히 업디 주020)
업디:
없지. 없-[亡]+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호 주021)
아니호:
아니함을. 아니-[不]+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기시니 주022)
기시니:
밝히시니. -[明]+이(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엇뎨 주023)
엇뎨:
어찌하여. 엇뎨[何](부사).
주024)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그레 주025)
그레:
글에. 글[文]+에(부사격조사).
一切 주026)
일체(一切):
만물의 전체, 온갖 것, 또는 모든 것을 이른다. ‘일체(一切)’에는 사물의 전체를 말하는 일체와 제한된 범위의 전부를 말하는 일체의 두 종류가 있다.
주027)
다:
다. 다[皆](부사).
업다 시뇨 주028)
시뇨:
하시느냐.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뇨(‘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뇨’는 ‘-니(원칙법 선어말어미)+오(의문형어미)’의 축약형이다.
엇뎨 이 空이 이 色 주029)
멸(滅):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아니료 주030)
아니료:
아니한 것이냐. 아니하냐. 아니-[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어미). ‘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이다. ‘-료’는 ‘-리-+오’의 축약형이다. 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對答호 주031)
대답(對答)호:
대답(對答)하되. ‘-호’는 ‘-+오(설명형어미)’.
알 주032)
알:
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특이처격어’이다.
비록 이쇼매 주033)
이쇼매:
있음에. 이시-[存]+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리디 주034)
리디:
가리지. 리-[礙]+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나 주035)
아니나:
아니하나. 아니-[不]+나(연결어미).
일즉 주036)
일즉:
일찍. 일즉[嘗](부사).
업디 주037)
업디:
없지. 없-[無]+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홈 주038)
아니홈:
아니함이. 아니-[不]+옴(명사형어미).
아니오 주039)
아니오:
아니고. 아니[未]+∅(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이제 주040)
이제:
이제. 이제[今](부사).
이 주041)
이:
이에. 여기에. 이[此]+(부사격조사).
업스나 주042)
업스나:
없으나. 없-[無]+으나(연결어미).
일즉 셔디 주043)
셔디:
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홈 아니니 주044)
아니니:
아니니. 아니[非]+∅(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이럴 주045)
이럴:
이러므로. 이럴[故].
大品 주046)
대품(大品):
당(唐)나라 현장(玄奘)이 번역(660~663 A.D.)한 6백 권의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을 이른다.
에 니샤 諸法 주047)
제법(諸法):
우주 사이에 있는 유형(有形)·무형(無形)의 온갖 사물. 곧 만법(萬法), 또는 제유(諸有).
잇논 주048)
잇논:
있는.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고디 주049)
고디:
곳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업스나 주050)
업스나:
없으나. 없-[無]+으나(연결어미).
주051)
이:
이. 이와. 이[是].
티 주052)
티:
같이. 티[如](부사). ‘티’는 ‘-[如]+이(부사파생접미사)’에서 온 파생부사인데, 현대어에서는 조사로도 쓰인다.
잇니라 주053)
잇니라:
있는 것이다. 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시니 주054)
시니:
하시니.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이 잇논 주055)
곧:
곳이. 곧[所].
업수메 주056)
업수메:
없음에. 없-[無]+움(명사형어미)+에(부사격조사).
나가시고 주057)
나가시고:
나아가시고. 나가-[就]+시(존경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알 주058)
알:
앞은. 앒[前]+(보조사).
이티 이쇼 브트시니라 주059)
브트시니라:
의지하신 것이다. 의지하시니라. 븥-[據]+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0)
:
또. [又](부사).
알 주061)
알:
앞은. 앒[前]+(보조사).
서르 주062)
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짓 주063)
짓:
짓는. 짓-[作]+(관형사형어미).
주064)
문(門):
‘문(門)’은 여기서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의 뜻으로 쓰였다.
에 나가시고 이 주065)
이:
이는. 이[此]+(보조사).
서르 害 주066)
해(害):
해(害)하는. 해치는.
門을 브트시니 주067)
브트시니:
의지하시니. 붙으시니. 븥-[據]+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68)
: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주069)
법(法):
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주070)
두:
두. 두[二](수관형사).
디라 주071)
디라:
뜻이다. [義]+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니샤 주072)
니샤:
이르심을. 이르신 것을. 니-[說]+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조차 주073)
조차:
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어긔욤 주074)
어긔욤:
어김이. 어긔-[違]+옴(명사형어미).
업스니라 주075)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음이다.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곧 이것을 아는 공리(空理)도 또 얻지 못할 것이므로 이르시되, ‘득(得)이 없다’(고) 하신 것이다. 묻기를 “앞에 이르시되, ‘공(空)이 곧 이것이 색(色)들이다.’(라고) 하심은 색(色)들이 없지 아니함을 밝히시니 ‘어찌하여 이 글에 일체(一切)가 다 없다.’(고) 하시느냐? 어찌하여 이 공(空)이 이 색(色)을 멸(滅)하지 아니한 것이냐?” 대답하되, “앞에 비록 있음에 가리지 아니하나, 일찍이 없지 아니함이 아니고, 이제 이에 다 없으나 일찍이 서지 아니한 것이 아니다. 이러므로 대품경(大品經)에서 이르셨다. ‘제법(諸法)이 있는 곳이 없으나 이와 같이 있는 것이다.’라고 하시니, 이는 있는 곳 없음에 나아가시고 앞은 이와 같이 있음을 의지하신 것이다. 또 앞은 서로 짓는 문(門)에 나아가시고, 이는 서로 해(害)하는 문(門)을 의지하시니, ‘하나의 법(法)이 두 뜻이다.’라고 이르심을 좇아 어김이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四 辨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3ㄴ

其所得이니 於中에 有二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네흔 주076)
네흔:
넷은. 네ㅎ[四]+은(보조사).
得혼 주077)
득(得)혼:
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고 주078)
고:
것을. 곧[所]+(목적격조사).
샤미니 주079)
샤미니:
가리심이니. 가리신 것이니. -[辨]+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나(연결어미).
그 中에 둘히 주080)
둘히:
둘이. 둘ㅎ[二]+이(주격조사).
잇니 주081)
잇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넷은 얻은 것을 가리심이니 그 중에 둘이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 [亦](부사).
주002)
득(得):득(得)이. 얻는 것이.
주003)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연결어미).
주004)
곧:곧. 곧[卽](부사).
주005)
이:이것을. 이[此].
주006)
아논:아는. 알-[知]+(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7)
공리(空理):모든 것은 그 실체(實體)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다는 공(空)의 뜻과 이치를 이른다.
주008)
:또. [亦].
주009)
득(得)디:득(得)하지. 얻지. ‘-디’는 무성자음으로 끝난 체언다음에서 ‘-디’의 ‘-’가 탈락된 형태이다.
주010)
몯릴:못할 것이므로. 몯-[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ㄹ(연결어미).
주011)
니샤:이르시되. 니-[云]+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주012)
업다:없다. 없-[無]+다(종결어미).
주013)
시니라:하시니라. 하신 것이다.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4)
무로:묻되. 묻-[問]+오(설명형 연결어미).
주015)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처소부사격조사’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16)
공(空):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주017)
색(色):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주018)
색(色)히라:색(色)들이다. ‘-히라’는 ‘-ㅎ(복수접미사)+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종결어미).’
주019)
샤:하심은. 하신 것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보조사).
주020)
업디:없지. 없-[亡]+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1)
아니호:아니함을. 아니-[不]+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2)
기시니:밝히시니. -[明]+이(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3)
엇뎨:어찌하여. 엇뎨[何](부사).
주024)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25)
그레:글에. 글[文]+에(부사격조사).
주026)
일체(一切):만물의 전체, 온갖 것, 또는 모든 것을 이른다. ‘일체(一切)’에는 사물의 전체를 말하는 일체와 제한된 범위의 전부를 말하는 일체의 두 종류가 있다.
주027)
다:다. 다[皆](부사).
주028)
시뇨:하시느냐.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뇨(‘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뇨’는 ‘-니(원칙법 선어말어미)+오(의문형어미)’의 축약형이다.
주029)
멸(滅):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을 이른다.
주030)
아니료:아니한 것이냐. 아니하냐. 아니-[非]+리(추측법 선어말어미)+고/오(의문형어미). ‘라’체의 1,3인칭 설명의문형이다. ‘-료’는 ‘-리-+오’의 축약형이다. 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주031)
대답(對答)호:대답(對答)하되. ‘-호’는 ‘-+오(설명형어미)’.
주032)
알:앞에.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前]’은 ‘특이처격어’이다.
주033)
이쇼매:있음에. 이시-[存]+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주034)
리디:가리지. 리-[礙]+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5)
아니나:아니하나. 아니-[不]+나(연결어미).
주036)
일즉:일찍. 일즉[嘗](부사).
주037)
업디:없지. 없-[無]+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8)
아니홈:아니함이. 아니-[不]+옴(명사형어미).
주039)
아니오:아니고. 아니[未]+∅(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40)
이제:이제. 이제[今](부사).
주041)
이:이에. 여기에. 이[此]+(부사격조사).
주042)
업스나:없으나. 없-[無]+으나(연결어미).
주043)
셔디:서지. 셔-[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44)
아니니:아니니. 아니[非]+∅(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45)
이럴:이러므로. 이럴[故].
주046)
대품(大品):당(唐)나라 현장(玄奘)이 번역(660~663 A.D.)한 6백 권의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을 이른다.
주047)
제법(諸法):우주 사이에 있는 유형(有形)·무형(無形)의 온갖 사물. 곧 만법(萬法), 또는 제유(諸有).
주048)
잇논:있는.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49)
고디:곳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50)
업스나:없으나. 없-[無]+으나(연결어미).
주051)
이:이. 이와. 이[是].
주052)
티:같이. 티[如](부사). ‘티’는 ‘-[如]+이(부사파생접미사)’에서 온 파생부사인데, 현대어에서는 조사로도 쓰인다.
주053)
잇니라:있는 것이다. 있느니라.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54)
시니:하시니. -+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5)
곧:곳이. 곧[所].
주056)
업수메:없음에. 없-[無]+움(명사형어미)+에(부사격조사).
주057)
나가시고:나아가시고. 나가-[就]+시(존경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58)
알:앞은. 앒[前]+(보조사).
주059)
브트시니라:의지하신 것이다. 의지하시니라. 븥-[據]+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60)
:또. [又](부사).
주061)
알:앞은. 앒[前]+(보조사).
주062)
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63)
짓:짓는. 짓-[作]+(관형사형어미).
주064)
문(門):‘문(門)’은 여기서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의 뜻으로 쓰였다.
주065)
이:이는. 이[此]+(보조사).
주066)
해(害):해(害)하는. 해치는.
주067)
브트시니:의지하시니. 붙으시니. 븥-[據]+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68)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주069)
법(法):제 성품을 가졌거나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곧 물(物), 심(心), 선(善), 악(惡)의 모든 사상(事相)을 이른다.
주070)
두:두. 두[二](수관형사).
주071)
디라:뜻이다. [義]+이(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72)
니샤:이르심을. 이르신 것을. 니-[說]+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73)
조차: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주074)
어긔욤:어김이. 어긔-[違]+옴(명사형어미).
주075)
업스니라:없느니라. 없음이다.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76)
네흔:넷은. 네ㅎ[四]+은(보조사).
주077)
득(得)혼:득(得)한. 얻은. ‘-혼’은 ‘-+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로 분석된다.
주078)
고:것을. 곧[所]+(목적격조사).
주079)
샤미니:가리심이니. 가리신 것이니. -[辨]+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나(연결어미).
주080)
둘히:둘이. 둘ㅎ[二]+이(주격조사).
주081)
잇니: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