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53_054. 아제아제 바라아제(揭諦揭諦波羅揭諦)
메뉴닫기 메뉴열기

053_054. 아제아제 바라아제(揭諦揭諦波羅揭諦)


後正說呪句

후정설주구

【經】 揭諦揭諦波羅揭諦波羅僧揭諦菩提薩婆訶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 아제 보리 사바하’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4ㄴ

此有二義니 一 不可釋이니 以是諸佛ㅅ 秘密語故ㅣ라 非因位예 所觧ㄹ 但應誦持야 除障增福이언뎡 不須强釋이니라 二 强釋之니 揭諦者 此云去也ㅣ며 度也ㅣ니 即深慧의 功能이라 重言揭諦者 自度度他也ㅣ라 波羅揭諦者 波羅 此云彼岸이니 即度所到處也ㅣ라 波羅僧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5ㄱ

揭諦者 僧者 此云衆也ㅣ며 揔也ㅣ며 普也ㅣ니 謂自他 普度야 揔到彼岸也ㅣ라 菩提者 到何等彼岸고 謂大菩提處也ㅣ라 薩婆訶者 此云速疾也ㅣ니 謂欲令前에 所作으로 速疾成就실 故로 云尒也ㅣ시니라 述懷頌曰호 般若深邃는 累刼難逢이니 隨分讃釋야 冀會眞宗노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5ㄴ

이 두 디 잇니 나 사기디 주001)
사기디:
새기지. 사기-[釋]+디(보조적 연결어미).
몯호미니 주002)
몯호미니:
못함이니. 몯-[不]+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이 諸佛ㅅ 秘密신 말민 주003)
말민:
말씀인. 말[語]+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
젼라 주004)
젼라:
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因位 주005)
인위(因位):
부처가 되려고 수행(修行)하는 기간.
아롤 주006)
아롤:
알. 알-[解]+오(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꼬디 주007)
꼬디:
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아닐 주008)
아닐:
아니므로. 아니-[非]+∅(서술격조사)+ㄹ(연결어미).
오직 반기 외와 주009)
외와:
외워. 외오-[誦]+아(연결어미).
디녀 주010)
디녀:
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주011)
장(障):
세간, 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를 이른다.
덜오 주012)
덜오:
덜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더을 주013)
더을:
더할. 더으-[增]+ㄹ(관형사형어미).
니언 주014)
니언:
뿐이언정. 뿐일지언정. +이(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ㄴ(연결어미).
구틔여 주015)
구틔여:
구태여. 구틔여[須].
사기디 아니홀띠니라 주016)
아니홀띠니라:
아니할 것이니라. 아니할지니라. 아니-[不]+오(선어말어미)+ㄹ디니라(평서형 종결어미).
둘흔 구틔여 사교미니 揭諦 예셔 주017)
예셔:
여기에서. 예[此]+셔(부사격조사).
닐오매 가며 주018)
가며:
가며. 가-[去]+며(연결어미).
건너미니 주019)
건너미니:
건넘이니. 건너-[度]+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곧 기픈 주020)
혜(慧):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지혜(智慧).
功能 주021)
공능(功能):
결과를 일으킬 만한 법의 능력을 이른다. 흔히 좋은 결과를 가져 오는데 쓴다.
이라 다시 揭諦 니샤 주022)
내:
내가. 나[自]+ㅣ(주격조사).
건나고 주023)
건나고:
건너고. 건나-[度]+고(연결어미).
주024)
:
남을. [他].
건넬씨라 주025)
건넬씨라:
건너게 하는 것이다. 건네-[使度]+ㄹ씨라(종결어미).
波羅揭諦 波羅 예셔 닐오매 주026)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니 주027)
니:
가이니. 가장자리이니. [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8)
곧:
곧. 곧[卽](부사).
고대 주029)
고대:
곳에. 곧[處]+애(처소부사격조사).
건널씨라 波羅僧揭諦 僧 예셔 닐오매 衆이며 摠이며 너부미니 주030)
너부미니:
넓음이니. 넙-[普]+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66ㄱ

오 나와  너비 주031)
너비:
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건네여 주032)
건네여:
건너게 하여. 건네-[使度]+어(연결어미).
다 뎌  갈씨라 菩提 엇던 뎌  감고 주033)
감고:
가는 것인가. 가-[到]+옴(명사형어미)+고(‘라’체의 의문보조사). ‘:감’은 성조가 상성으로 바뀌었다.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 :감(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菩提ㅅ 주034)
보리(菩提)ㅅ:
보리(菩提)의. ‘-ㅅ’은 존칭 속격조사.
고 주035)
고:
곳을. 곧[處]+(목적격조사).
니시니라 주036)
니시니라:
니-[謂]+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薩婆訶 예셔 닐오매 씨니 주037)
씨니:
빠른 것이니. -[速]+ㄹ씨니(연결어미).
닐오 알 지로 주038)
지로:
지음으로. -[作]+옴(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
리 주039)
리:
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일우게 주040)
일우게:
이루게. 일우-[使成]+게(연결어미).
코져 주041)
코져:
하고자. ‘코져’는 ‘고져’에서 ‘’가 탈락된 형태. 중세국어 시기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게’ 다음에서 흔히 보이는 현상이다.
실 그리 주042)
그리:
그렇게. 그리[然](부사)
니시니라 주043)
니시니라:
니-[云]+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들 지 주044)
지:
지은. -[作]+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45)
송(頌):
경(經)이나 논(論) 중에 시(詩)의 형식으로 부처의 덕을 찬미하거나 교법(敎法)의 이치를 말한 글. 게송(偈頌)을 이른다.
애 닐오 般若 주046)
반야(般若):
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佛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지혜, 곧 법의 진실한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기푸 주047)
기푸:
깊음은. 깊-[深]+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48)
한:
많은. 여러. 하-[累]+ㄴ(관형사형어미)
주049)
겁(劫):
천지(天地)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에 맛나미 어려우니 分을 조차 讚歎야 사겨 眞宗 주050)
진종(眞宗):
진실한 종교를 이른다.
맛과뎌 주051)
맛과뎌:
맞게 하고자. 맞-[會]+과뎌(연결어미).
노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여기에 두 〈가지〉 뜻이 있느니라. 하나는 새기지 못함이니, 이 제불(諸佛)의 비밀(秘密)하신 말씀인 까닭이다. 인위(因位)에 알 바가 아니므로 오직 반드시 외워 지녀서 장(障)을 덜고, 복(福)을 더할 뿐일지언정 구태여 새기지 아니할 것이니라. 둘은 구태여 새김이니, ‘아제(揭諦)’는 여기에서 이름에 가며 건넘이다. 곧 깊은 ‘혜(慧)의 공능(功能)’이다. 다시 ‘아제(揭諦)’를 이르심은 ‘내가 건너고 남을 건너게 하는 것’이다. ‘바라아제(波羅揭諦’)는, ‘바라(波羅)’는 여기에서 이름에 ‘저 가’이니, 곧 ‘갈 곳에 건너는 것’이다. ‘바라승아제(波羅僧揭諦)’는, 승(僧)은 여기에서 이름에 중(衆)이며, 총(摠)이며, 넓음이니, 이르되, 나와 남을 널리 건너게 하여 다 저 가에 가는 것이다. ‘보리(菩提)’는 어떤 저 가에 가는 것인가? 큰 보리(菩提)의 곳을 이르신 것이다. ‘사바하(薩婆訶)’는 여기에서 이름에 빠른 것이니, 이르되, 앞에 지은 것으로 빨리 이루게 하고자 하시므로 그렇게 이르신 것이다. ◯뜻을 지은 송(頌)에 이르되, “반야(般若)의 깊음은 많은 겁(劫)에 만남이 어려우니, 분(分)을 좇아 찬탄(讚歎)하여 새겨 진종(眞宗)에 맞게 하고자 하노라.”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般若心經略疏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반야심경 약소 〈마침〉.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기디:새기지. 사기-[釋]+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2)
몯호미니:못함이니. 몯-[不]+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3)
말민:말씀인. 말[語]+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
주004)
젼라: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5)
인위(因位):부처가 되려고 수행(修行)하는 기간.
주006)
아롤:알. 알-[解]+오(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어미).
주007)
꼬디:것이. 바가. 곧[所]+이(주격조사).
주008)
아닐:아니므로. 아니-[非]+∅(서술격조사)+ㄹ(연결어미).
주009)
외와:외워. 외오-[誦]+아(연결어미).
주010)
디녀:지녀. 디니-[持]+어(연결어미).
주011)
장(障):세간, 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를 이른다.
주012)
덜오:덜고. 덜-[除]+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13)
더을:더할. 더으-[增]+ㄹ(관형사형어미).
주014)
니언:뿐이언정. 뿐일지언정. +이(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ㄴ(연결어미).
주015)
구틔여:구태여. 구틔여[須].
주016)
아니홀띠니라:아니할 것이니라. 아니할지니라. 아니-[不]+오(선어말어미)+ㄹ디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예셔:여기에서. 예[此]+셔(부사격조사).
주018)
가며:가며. 가-[去]+며(연결어미).
주019)
건너미니:건넘이니. 건너-[度]+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0)
혜(慧):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지혜(智慧).
주021)
공능(功能):결과를 일으킬 만한 법의 능력을 이른다. 흔히 좋은 결과를 가져 오는데 쓴다.
주022)
내:내가. 나[自]+ㅣ(주격조사).
주023)
건나고:건너고. 건나-[度]+고(연결어미).
주024)
:남을. [他].
주025)
건넬씨라:건너게 하는 것이다. 건네-[使度]+ㄹ씨라(종결어미).
주026)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27)
니:가이니. 가장자리이니. [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8)
곧:곧. 곧[卽](부사).
주029)
고대:곳에. 곧[處]+애(처소부사격조사).
주030)
너부미니:넓음이니. 넙-[普]+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31)
너비: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주032)
건네여:건너게 하여. 건네-[使度]+어(연결어미).
주033)
감고:가는 것인가. 가-[到]+옴(명사형어미)+고(‘라’체의 의문보조사). ‘:감’은 성조가 상성으로 바뀌었다.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 :감(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상성(上聲)으로 바뀐다.
주034)
보리(菩提)ㅅ:보리(菩提)의. ‘-ㅅ’은 존칭 속격조사.
주035)
고:곳을. 곧[處]+(목적격조사).
주036)
니시니라:니-[謂]+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7)
씨니:빠른 것이니. -[速]+ㄹ씨니(연결어미).
주038)
지로:지음으로. -[作]+옴(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
주039)
리:빨리. -[速]+이(부사파생접미사).
주040)
일우게:이루게. 일우-[使成]+게(연결어미).
주041)
코져:하고자. ‘코져’는 ‘고져’에서 ‘’가 탈락된 형태. 중세국어 시기에는 보조적 연결어미 ‘-게’ 다음에서 흔히 보이는 현상이다.
주042)
그리:그렇게. 그리[然](부사)
주043)
니시니라:니-[云]+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44)
지:지은. -[作]+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45)
송(頌):경(經)이나 논(論) 중에 시(詩)의 형식으로 부처의 덕을 찬미하거나 교법(敎法)의 이치를 말한 글. 게송(偈頌)을 이른다.
주046)
반야(般若):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佛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지혜, 곧 법의 진실한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주047)
기푸:깊음은. 깊-[深]+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48)
한:많은. 여러. 하-[累]+ㄴ(관형사형어미)
주049)
겁(劫):천지(天地)가 한 번 개벽한 때부터 다음번에 개벽할 때까지의 동안이라는 뜻으로 매우 길고 오랜 시간을 이른다.
주050)
진종(眞宗):진실한 종교를 이른다.
주051)
맛과뎌:맞게 하고자. 맞-[會]+과뎌(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