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22. 무색성향미촉법(無色聲香味觸法)
메뉴닫기 메뉴열기

022. 무색성향미촉법(無色聲香味觸法)


【經】 無色聲香味觸法며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주001)
색(色):
인간의 본성을 흐리게 하는 여섯 가지를 육진(六塵)이라고 하는데, 육진(六塵)의 하나인 빛[色]을 이른다.
주002)
-과:
-과. ‘-과’는 접속조사.
주003)
성(聲):
육진(六塵)의 하나인 소리[聲]를 이른다.
주004)
향(香):
육진(六塵)의 하나인 냄새[香]를 이른다.
주005)
미(味):
육진(六塵)의 하나인 맛[味]을 이른다.
주006)
-와:
-와. ‘-와’는 모음 다음에 오는 ‘-과’의 이형태.
주007)
촉(觸):
육진(六塵)의 하나인 감촉[觸]을 이른다.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6ㄴ

法괘 주008)
법(法)괘:
법(法)이. 육진(六塵)의 하나인 대상경계[法]를 이른다.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 ‘-과/와’가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의 통합이 있었다.
업스며 주009)
업스며:
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색(色)과 성(聲)과 향(香)과 미(味)와 촉(觸)과 법(法)이 없으며,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空中엔 無十二處也ㅣ니라 十二處中에 合心야 爲一半시니 謂意處全과 及法處一分이라 開色야 爲十半시니 謂五根五境이 爲十이오 及法處一分이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47ㄱ

주010)
공(空):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中엔 주011)
공중(空中)엔:
공(空) 중에는. 공(空)의 가운데에는. ‘-엔’은 ‘-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로 분석된다.
十二處 주012)
십이처(十二處):
육근(六根)과 그 대상인 육경(六境)을 아울러 이른다. 이 육근(六根)과 육경(六境)이 합하여 온갖 정신 작용이 일어난다고 한다.
업스니라 주013)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十二處 中에  주014)
: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뫼화 주015)
뫼화:
모아. 뫼호-[合]+아(연결어미).
나 주016)
나:
하나. 나ㅎ[一].
半 주017)
반(半):
반(半)을.
시니 주018)
시니:
만드시니. -[爲]+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닐오 주019)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 형이다.
意處 주020)
의처(意處):
십이처(十二處)의 하나로 의식의 의지처인 의근(意根)을 이른다.
오니와 주021)
오니와:
온전한 것과. 오-[全]+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조사).
法處 주022)
법처(法處):
십이처(十二處)의 하나로 온갖 법으로써 의근(意根)의 대경이 되어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는 법경(法境)을 이른다. 여섯 번째 의식의 대상이다.
주023)
:
한. [一](수관형사).
주024)
분(分):
나누어진 위치, 또는 차별한 데에 세워진 위치를 이른다. 곧 지분(支分)이나 분위(分位).
이라 주025)
분(分)이라:
분(分)이다. ‘-이라’는 서술격조사.
주026)
색(色):
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 펴 열 半애 시니 닐오 다 根 주027)
다 근(根):
오근(五根). ‘오근(五根)’은 보고, 듣고, 맡고, 맛보고, 접촉하는 다섯 가지 감각기관인 눈, 귀, 코, 혀, 몸 등을 이른다.
다 境 주028)
다 경(境):
오경(五境). 오근(五根)의 대상이 되고, 오식(五識)에 의해 알게 되는 다섯 가지 바깥 경계, 곧 빛, 소리, 냄새, 맛, 촉하는 것 등이다.
주029)
-괘:
-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 ‘-과/와’가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의 통합이 있었다.
열히오 주030)
열히오:
열이고. 열ㅎ[十]+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法處ㅅ 주031)
법처(法處)ㅅ:
법처(法處)의. ‘-ㅅ’은 속격조사.
分이라 주032)
분(分)이라:
분(分)이다. ‘-이라’는 서술격조사.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공(空)의 가운데에는 십이처(十二處)가 없느니라. 십이처(十二處) 중에 마음을 모아 하나 반(半)을 만드시니, 말하면 ‘의처(意處) 온전한 것과 또 법처(法處)의 한 분(分)이다.’ 색(色)을 펴서 열 반(半)에 만드시니, 말하면 ‘다섯 근(根)과 다섯 경(境)이 열이고, 또 법처(法處)의 한 분(分)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색(色):인간의 본성을 흐리게 하는 여섯 가지를 육진(六塵)이라고 하는데, 육진(六塵)의 하나인 빛[色]을 이른다.
주002)
-과:-과. ‘-과’는 접속조사.
주003)
성(聲):육진(六塵)의 하나인 소리[聲]를 이른다.
주004)
향(香):육진(六塵)의 하나인 냄새[香]를 이른다.
주005)
미(味):육진(六塵)의 하나인 맛[味]을 이른다.
주006)
-와:-와. ‘-와’는 모음 다음에 오는 ‘-과’의 이형태.
주007)
촉(觸):육진(六塵)의 하나인 감촉[觸]을 이른다.
주008)
법(法)괘:법(法)이. 육진(六塵)의 하나인 대상경계[法]를 이른다.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 ‘-과/와’가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의 통합이 있었다.
주009)
업스며: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주010)
공(空):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주011)
공중(空中)엔:공(空) 중에는. 공(空)의 가운데에는. ‘-엔’은 ‘-에(처소부사격조사)+ㄴ(보조사)’로 분석된다.
주012)
십이처(十二處):육근(六根)과 그 대상인 육경(六境)을 아울러 이른다. 이 육근(六根)과 육경(六境)이 합하여 온갖 정신 작용이 일어난다고 한다.
주013)
업스니라: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4)
:마음을. [心]+(목적격조사).
주015)
뫼화:모아. 뫼호-[合]+아(연결어미).
주016)
나:하나. 나ㅎ[一].
주017)
반(半):반(半)을.
주018)
시니:만드시니. -[爲]+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9)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 형이다.
주020)
의처(意處):십이처(十二處)의 하나로 의식의 의지처인 의근(意根)을 이른다.
주021)
오니와:온전한 것과. 오-[全]+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접속조사).
주022)
법처(法處):십이처(十二處)의 하나로 온갖 법으로써 의근(意根)의 대경이 되어 정식(情識)을 물들게 하는 법경(法境)을 이른다. 여섯 번째 의식의 대상이다.
주023)
:한. [一](수관형사).
주024)
분(分):나누어진 위치, 또는 차별한 데에 세워진 위치를 이른다. 곧 지분(支分)이나 분위(分位).
주025)
분(分)이라:분(分)이다. ‘-이라’는 서술격조사.
주026)
색(色):형상과 색채를 가지고 직관적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존재, 곧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른바 색법(色法).
주027)
다 근(根):오근(五根). ‘오근(五根)’은 보고, 듣고, 맡고, 맛보고, 접촉하는 다섯 가지 감각기관인 눈, 귀, 코, 혀, 몸 등을 이른다.
주028)
다 경(境):오경(五境). 오근(五根)의 대상이 되고, 오식(五識)에 의해 알게 되는 다섯 가지 바깥 경계, 곧 빛, 소리, 냄새, 맛, 촉하는 것 등이다.
주029)
-괘:-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접속조사 ‘-과/와’가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의 통합이 있었다.
주030)
열히오:열이고. 열ㅎ[十]+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31)
법처(法處)ㅅ:법처(法處)의. ‘-ㅅ’은 속격조사.
주032)
분(分)이라:분(分)이다. ‘-이라’는 서술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