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02.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메뉴닫기 메뉴열기

002.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一能觀人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일능관인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經】 觀自在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觀自在 주001)
관자재(觀自在):
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이르는 말. 여기에 근거하여 번뇌와 집착에서 벗어난 경지(境地)에서 사물의 모습이 자유자재(自由自在)로 바르게 보임을 이르는 말로도 쓰임.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관자재(觀自在)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謂於理事無礙之境에 觀達自在실 故로 立此名시며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20ㄴ

又觀機往救샤 自在無礙실 故로 以爲名시니 前釋은 就智고 後釋은 就悲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닐오 주002)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3)
이(理):
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眞如)를 이른다.
주004)
사(事):
본체(本體)인 진여(眞如)에 대하여 현상계의 낱낱 차별된 모양을 이른다. 곧 현상계(現象界).
룜 주005)
룜:
가림이. 리-[礙]+옴(명사형어미).
업슨 주006)
업슨:
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07)
경(境):
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08)
관(觀):
선정(禪定)에 들어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함을 이른다.
샤미 주009)
관(觀)샤미:
관(觀)하심이. 관(觀)하신 것이. ‘-샤미’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通達 주010)
통달(通達):
학문이나 기술이 깊은 경지까지 나아간 것. 또는 꿰뚫고 건너가는 것을 이른다. 여기서는 도(道)에 깊이 통함의 뜻이다.
샤 주011)
통달(通達)샤:
통달(通達)하시어. ‘-샤’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로 분석된다.
自在 주012)
자재(自在):
나아가고 물러남에 장애가 없음과 마음이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통달하여 걸림이 없는 것을 이른다.
실 주013)
자재(自在)실:
자재(自在)하시므로.
주014)
이:
이. 이[此].
일후믈 주015)
일후믈:
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셰시며 주016)
셰시며:
세우시며. 셔-[立]+ㅣ(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며(연결어미).
주017)
기(機):
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하여 주체인 중생(衆生)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기류(機類), 기근(機根) 등.
觀샤 주018)
관(觀)샤:
관(觀)하시어. ‘관(觀)’은 선정(禪定)에 들어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함을 이른다.
주019)
가:
가서. 가-[往]+아(연결어미).
救샤 주020)
구(救)샤:
구하시되. ‘-샤’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自在샤 룜 업스실 주021)
업스실:
없으시므로. 없-[無]+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일훔 사시니 주022)
사시니:
삼으시니. 삼-[爲]+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몬져 주023)
몬져:
먼저. 몬져[前].
사교 주024)
사교:
새김은. 사기-[釋]+옴(명사형어미)+(보조사).
주025)
지(智):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26)
지(智)예:
지(智)에. ‘-예’는 [i]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21ㄱ

가고
주027)
나가고:
나아가고. 나가-[就]+고(연결어미). ‘나가-’는 ‘-[進]+아#가-[就]’로 분석된다.
後ㅅ 사교 주028)
비(悲):
중생(衆生)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나가니라 주029)
나가니라:
나아가는 것이다. 나아가니라.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이르되, 이(理)와 사(事)가 가림이 없는 경(境)에 관(觀)하심이 통달(通達)하여 자재(自在)하시므로 이 이름을 세우시며, 또 기(機)를 관(觀)하여 가서 구(救)하시되 자재(自在)하여 가림이 없으시므로 이름을 삼으신 것이다. 먼저 새김은 지(智)에 나아가고 후(後)의 새김은 비(悲)에 나아간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經】 菩薩이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菩薩 주030)
보살(菩薩):
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을 이르는 말이다.
주031)
-이:
-이(주격조사).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보살(菩薩)이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菩者 菩提니 此謂之覺이오 薩者 薩埵ㅣ니 此曰衆生이니 謂由此人이 以智샤 上求菩提시며 用悲샤 下救衆生이니 從境야 立名시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菩 菩提 주032)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은 불타 정각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
주033)
보리(菩提)니:
보리(菩提)이니. ‘보리(菩提)+∅(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예셔 주034)
예셔:
예서. 여기에서. 예[此]+서(부사격조사).
닐오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21ㄴ

주035)
닐오매:
이름에. 말함에. 니-[謂]+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니-’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36)
각(覺):
불법(佛法)의 본체와 마음의 본원(本源)을 깨달아 아는 경지.
이오 주037)
각(覺)이오:
각(覺)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薩 薩埵 주038)
살타(薩埵):
정식(情識)을 가지고 생명이 있는 중생(衆生)을 이른다.
ㅣ니 주039)
살타(薩埵)ㅣ니:
살타(薩埵)이니.
예셔 닐오매 衆生 주040)
중생(衆生):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이니 닐오 이 사미 주041)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42)
지(智):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혜(慧)의 여러 작용 중 하나여서 지혜(知慧)라고 붙여 쓴다.
샤 주043)
샤:
쓰시어. -[以]+샤(존경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우흐로 주044)
우흐로:
위로. 우ㅎ[上]+으로(부사격조사).
菩提 求시며 주045)
구(求)시며:
구(求)하시며.
주046)
비(悲):
중생(衆生)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 샤 아래로 주047)
아래로:
아래[下]+로(부사격조사).
衆生 救샤 주048)
구(救)샤:
구(救)하심을. ‘-샤’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브트니 주049)
브트니:
말미암음이니. 붙으니. 의하니. 븥-[由]+으니(연결어미).
주050)
경(境):
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조차 주051)
조차:
좇아. 좇-[從]+아(연결어미).
일후믈 주052)
일후믈:
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셰시니라 주053)
셰시니라:
세우신 것이다. 세우시니라. 셔-[立]+ㅣ(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보(菩)는 보리(菩提)이니 여기서 이름에는 각(覺)이고, 살(薩)은 살타(薩埵)이니 여기서 이름에는 중생(衆生)이다. 이르되, 이 사람이 지(智)를 쓰시어 위로는 보리(菩提)를 구(求)하시며, 비(悲)를 쓰시어 아래로는 중생(衆生) 구(救)하심을 말미암으니 경(境)을 좇아 이름을 세우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관자재(觀自在):대자대비(大慈大悲)를 근본 서원(誓願)으로 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이르는 말. 여기에 근거하여 번뇌와 집착에서 벗어난 경지(境地)에서 사물의 모습이 자유자재(自由自在)로 바르게 보임을 이르는 말로도 쓰임.
주002)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3)
이(理):경험적 인식을 초월한 상항불역(常恒不易)·보편평등(普遍平等)의 진여(眞如)를 이른다.
주004)
사(事):본체(本體)인 진여(眞如)에 대하여 현상계의 낱낱 차별된 모양을 이른다. 곧 현상계(現象界).
주005)
룜:가림이. 리-[礙]+옴(명사형어미).
주006)
업슨:없는. 없-[無]+은(관형사형어미).
주007)
경(境):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08)
관(觀):선정(禪定)에 들어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함을 이른다.
주009)
관(觀)샤미:관(觀)하심이. 관(觀)하신 것이. ‘-샤미’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0)
통달(通達):학문이나 기술이 깊은 경지까지 나아간 것. 또는 꿰뚫고 건너가는 것을 이른다. 여기서는 도(道)에 깊이 통함의 뜻이다.
주011)
통달(通達)샤:통달(通達)하시어. ‘-샤’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2)
자재(自在):나아가고 물러남에 장애가 없음과 마음이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통달하여 걸림이 없는 것을 이른다.
주013)
자재(自在)실:자재(自在)하시므로.
주014)
이:이. 이[此].
주015)
일후믈: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주016)
셰시며:세우시며. 셔-[立]+ㅣ(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며(연결어미).
주017)
기(機):종교의 대상인 교법(敎法)에 대하여 주체인 중생(衆生)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기류(機類), 기근(機根) 등.
주018)
관(觀)샤:관(觀)하시어. ‘관(觀)’은 선정(禪定)에 들어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함을 이른다.
주019)
가:가서. 가-[往]+아(연결어미).
주020)
구(救)샤:구하시되. ‘-샤’는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연결어미).’
주021)
업스실:없으시므로. 없-[無]+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ㄹ(연결어미).
주022)
사시니:삼으시니. 삼-[爲]+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3)
몬져:먼저. 몬져[前].
주024)
사교:새김은. 사기-[釋]+옴(명사형어미)+(보조사).
주025)
지(智):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26)
지(智)예:지(智)에. ‘-예’는 [i]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주027)
나가고:나아가고. 나가-[就]+고(연결어미). ‘나가-’는 ‘-[進]+아#가-[就]’로 분석된다.
주028)
비(悲):중생(衆生)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주029)
나가니라:나아가는 것이다. 나아가니라.
주030)
보살(菩薩):보리살타(菩提薩埵)의 준말.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하는 이를 통틀어 이르는 말. 또는 부처에 버금가는 성인(聖人)을 이르는 말이다.
주031)
-이:-이(주격조사).
주032)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은 불타 정각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
주033)
보리(菩提)니:보리(菩提)이니. ‘보리(菩提)+∅(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34)
예셔:예서. 여기에서. 예[此]+서(부사격조사).
주035)
닐오매:이름에. 말함에. 니-[謂]+옴(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니-’는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36)
각(覺):불법(佛法)의 본체와 마음의 본원(本源)을 깨달아 아는 경지.
주037)
각(覺)이오:각(覺)이고.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주038)
살타(薩埵):정식(情識)을 가지고 생명이 있는 중생(衆生)을 이른다.
주039)
살타(薩埵)ㅣ니:살타(薩埵)이니.
주040)
중생(衆生):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주041)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42)
지(智):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혜(慧)의 여러 작용 중 하나여서 지혜(知慧)라고 붙여 쓴다.
주043)
샤:쓰시어. -[以]+샤(존경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44)
우흐로:위로. 우ㅎ[上]+으로(부사격조사).
주045)
구(求)시며:구(求)하시며.
주046)
비(悲):중생(衆生)을 불쌍히 여겨 고통을 덜어주고, 안락하게 해 주려는 마음을 이른다.
주047)
아래로:아래[下]+로(부사격조사).
주048)
구(救)샤:구(救)하심을. ‘-샤’은 ‘-+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49)
브트니:말미암음이니. 붙으니. 의하니. 븥-[由]+으니(연결어미).
주050)
경(境):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51)
조차:좇아. 좇-[從]+아(연결어미).
주052)
일후믈:이름을. 일훔[名]+을(목적격조사).
주053)
셰시니라:세우신 것이다. 세우시니라. 셔-[立]+ㅣ(사동접미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