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035. 심무괘애(心無罣㝵)
메뉴닫기 메뉴열기

035. 심무괘애(心無罣㝵)


一行成

일행성

【經】 心이 無罣㝵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미 주001)
미:
마음이. [心]+이(주격조사).
걸며 주002)
걸며:
걸리며. 걸-[罣]+며(연결어미).
료미 주003)
료미:
리-[㝵]+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스니 주004)
업스니:
없으니.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經】 마음이 걸리며 가림이 없으니,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55ㄱ

謂惑이 不礙心故ㅣ며 境이 不礙智故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닐오 주005)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6)
혹(惑):
깨달음에 방해가 되는 체(體)를 말한다. 곧 번뇌(煩惱). 번뇌가 우리의 마음에 의혹을 일게 하므로 이렇게 부른다.
 주007)
:
마음을. [心].
리디 주008)
리디:
가리지. 리-[礙]+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주009)
아니:
아니하는. 아니-[不]+(관형사형어미)
젼며 주010)
젼며:
젼[故]+ㅣ(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11)
경(境):
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12)
지(智):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리디 아니 젼라 주013)
젼라:
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펑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이르되, 혹(惑)이 마음을 가리지 아니하는 까닭이며, 경(境)이 지(智)를 가리지 아니하는 까닭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미:마음이. [心]+이(주격조사).
주002)
걸며:걸리며. 걸-[罣]+며(연결어미).
주003)
료미:리-[㝵]+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4)
업스니:없으니.
주005)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謂]+오(설명형 연결어미). ‘니-[謂]’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6)
혹(惑):깨달음에 방해가 되는 체(體)를 말한다. 곧 번뇌(煩惱). 번뇌가 우리의 마음에 의혹을 일게 하므로 이렇게 부른다.
주007)
:마음을. [心].
주008)
리디:가리지. 리-[礙]+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9)
아니:아니하는. 아니-[不]+(관형사형어미)
주010)
젼며:젼[故]+ㅣ(서술격조사)+며(연결어미).
주011)
경(境):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12)
지(智):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13)
젼라:까닭이다. 젼[故]+ㅣ(서술격조사)+라(펑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