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역주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 반야바라밀다심경소현정기
  • 반야바라밀다심경소현정기[병서]
  • 종(宗)과 취(趣)
메뉴닫기 메뉴열기

종(宗)과 취(趣)


[略疏] 第三宗趣者 語之所表曰宗이오 宗之所歸曰趣ㅣ니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然이나 先揔이오 後別이니 揔 以三種般若로 爲宗니 一은 實相이니 謂所觀眞性이오 二 觀照ㅣ니 謂能觀妙慧오 三 文字ㅣ니 謂詮上之敎ㅣ니 不越此三 故로 以爲宗이니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13ㄴ

別이 亦有三니 初 敎義一對니 以文字敎로 爲宗이오 餘二義로 爲趣ㅣ라 二 境智一對니 以眞空境으로 爲宗이오 觀照智로 爲趣ㅣ라 三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14ㄱ

因果一對니 以菩薩因行로 爲宗이오 菩提果德로 爲趣ㅣ라
Ⓒ 구결 | 세조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세찻 주001)
세찻:
셋째의. 셋째. 세차[第三]+ㅅ(속격조사).
宗趣 주002)
종취(宗趣):
말이 나타낸 것과 종(宗)이 간 곳을 이른다.
마 주003)
마:
말이. 말의. 말[語]+(속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관형절의 주어에 주격조사를 쓰지 않고 속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나토온 주004)
나토온:
나타낸. 낱-[表]+오(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고 주005)
고:
것을. 곧[所]+(목적격조사).
닐오 주006)
닐오:
이르되. 니-[云]+오(설명형 연결어미). ‘니-[云]’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7)
종(宗):
모든 교법(敎法)을 체계적으로 주장하는 근본 요지(要旨).
이오 주008)
종(宗)이오:
종(宗)이고. ‘-이오’는 ‘-이고’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宗 주009)
종(宗):
종(宗)이. 관형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 ‘-’가 왔다.
간 고 닐오 주010)
취(趣):
중생이 번뇌로 말미암아 말, 행동, 생각 등으로 악업(惡業)을 짓고, 그 업인(業因)으로 인하여 가게 되는 국토.
ㅣ니 주011)
취(趣)ㅣ니:
취(趣)이니.
그러나 몬져 주012)
몬져:
먼저는. 몬져[先]+(보조사).
摠이오 주013)
총(摠)이오:
총(摠)이고. 묶음이고.
後 別이니 주014)
별(別)이니:
별(別)이니. 구별(區別)이니.
摠 세 가짓 주015)
가짓:
가지의. 가지[種]+ㅅ(속격조사).
般若 주016)
반야(般若):
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佛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지혜, 곧 법의 진실한 이치에 부합하는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로 宗 사니 주017)
사니:
삼으니. 삼-[爲]+니(연결어미).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14ㄴ

나 實相 주018)
실상(實相):
만물(萬物)의 생멸(生滅)하고 변화하는 가상(假相)을 떠난 진정한 모습.
이니 觀논 주019)
관(觀)논:
관(觀)하는. ‘관(觀)’은 선정(禪定)에 들어서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하는 것을 이름. ‘-논’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眞性 주020)
진성(眞性):
허위가 없고, 변개(變改)하지 않는 진여(眞如) 실상의 본체를 이른다.
니고 주021)
니고:
이르고. 니-[謂]+고(연결어미).
둘흔 觀照 주022)
관조(觀照):
참된 지혜로 개개의 사물이나 그 이치를 비추어 보아 밝게 아는 것.
ㅣ니 能히 觀 微妙 주023)
혜(慧):
사리를 밝게 분별하는 지혜(智慧).
니고 주024)
니고:
이르고. 말하고. 니-[謂]+고(연결어미).
세 文字ㅣ니 우흘 주025)
우흘:
위를. 우ㅎ[上]+을(목적격조사).
닐온 주026)
닐온:
이르는. 니-[詮]+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니-[詮]’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27)
교(敎):
삼문(三門)의 하나로, 중생을 인도하는 신앙의 근본이 되는 성인(聖人)의 말씀이나 경론(經論)을 이른다.
니니 주028)
니니:
이르니. 말하니. 니-[謂]+니(연결어미).
세헤 주029)
세헤:
셋에. 세ㅎ[三]+에(부사격조사).
넘디 주030)
넘디:
넘지. 넘-[越]+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주031)
아니:
아니하므로. 아니-[不]+ㄹ(연결어미).
宗 사니라 주032)
사니라:
삼으니라. 삼는 것이다. 삼-[爲]+니라(평서형 종결어미).
別이  세히 주033)
세히:
셋이. 세ㅎ[三]+이(주격조사).
잇니 주034)
잇니:
있느니. 있으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처믄 주035)
처믄:
처음은. 처[初]+은(보조사).
敎와 주036)
의(義):
뜻을 나타냄. 문자·언어로 표한 것보다 더 깊은 뜻이 있는 것. 곧 의의(意義).
주037)
:
한. 하나의. [一](수 관형사).
對니 주038)
대(對)니:
대(對)이니. 상대(相對)이니. 짝이니.
文字敎로 주039)
문자교(文字敎)로:
문자(文字)의 교(敎)로.
宗 삼고 나 주040)
나:
남은. 남-[餘]+(관형사형어미).
두 義로 趣 사니라 주041)
사니라:
삼으니라. 삼은 것이다.
둘흔 주042)
경(境):
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43)
지(智):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와  對니 眞空境 주044)
진공경(眞空境):
진여(眞如) 평등한 이치가 삼라만상의 체성(體性)이며, 보편(普遍)하고 항상(恒常)한 존재임을 판단하는 것.
으로 宗 삼고 觀照智 주045)
관조지(觀照智):
아득한 생각을 깨뜨리고 진리를 나타내는 지혜의 작용.
로 趣 사니라 세 주046)
인(因):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 곧 만물이 생기는 가까운 원인을 이른다.
주047)
과(果):
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法)을 이른다.
와  對니 菩薩ㅅ 因行 주048)
인행(因行):
인(因)에 의한 행위. 깨달을 수 있는 기원(起源)이 되는 것.
로 宗 삼고 菩提 주049)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은 불타 정각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
果德 주050)
과덕(果德):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덕. 과상(果上)의 공덕.
으로 趣 사니라 주051)
사니라:
삼으니라. 삼는 것이다. 삼-[謂]+니라(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간경도감 / 1464년(세조 10) 월 일

[略疏] 셋째의 종취(宗趣)는, 말이 나타낸 것을 이르되 종(宗)이고, 종(宗)이 간 곳을 이르되 취(趣)이다. 그러나 먼저는 총(摠)이고, 후(後)는 별(別)이니, 총(摠)은 세 가지의 반야(般若)로 종(宗)을 삼는다. 하나는 실상(實相)이니 관(觀)하는 진성(眞性)을 이르고, 둘은 관조(觀照)이니 능히 관(觀)하는 미묘(微妙)한 혜(慧)를 이르고, 셋은 문자(文字)이니 위를 말하는 교(敎)를 이르니, 이 셋에 넘지 아니하므로 종(宗)을 삼으니라. 별(別)이 또 셋이 있느니, 처음은 교(敎)와 의(義)가 한 대(對)이니 문자교(文字敎)로 종(宗)을 삼고, 남은 두 의(義)로 취(趣)를 삼으니라. 둘은 경(境)과 지(智)가 한 대(對)이니 진공경(眞空境)으로 종(宗)을 삼고 관조지(觀照智)로 취(趣)를 삼으니라. 셋은 인(因)과 과(果)가 한 대(對)이니 보살(菩薩)의 인행(因行)으로 종(宗)을 삼고 보리(菩提)의 과덕(果德)으로 취(趣)를 삼으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세찻:셋째의. 셋째. 세차[第三]+ㅅ(속격조사).
주002)
종취(宗趣):말이 나타낸 것과 종(宗)이 간 곳을 이른다.
주003)
마:말이. 말의. 말[語]+(속격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관형절의 주어에 주격조사를 쓰지 않고 속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주004)
나토온:나타낸. 낱-[表]+오(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5)
고:것을. 곧[所]+(목적격조사).
주006)
닐오:이르되. 니-[云]+오(설명형 연결어미). ‘니-[云]’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07)
종(宗):모든 교법(敎法)을 체계적으로 주장하는 근본 요지(要旨).
주008)
종(宗)이오:종(宗)이고. ‘-이오’는 ‘-이고’에서 /ㄱ/ 약화가 반영된 표기.
주009)
종(宗):종(宗)이. 관형절의 주어여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 ‘-’가 왔다.
주010)
취(趣):중생이 번뇌로 말미암아 말, 행동, 생각 등으로 악업(惡業)을 짓고, 그 업인(業因)으로 인하여 가게 되는 국토.
주011)
취(趣)ㅣ니:취(趣)이니.
주012)
몬져:먼저는. 몬져[先]+(보조사).
주013)
총(摠)이오:총(摠)이고. 묶음이고.
주014)
별(別)이니:별(別)이니. 구별(區別)이니.
주015)
가짓:가지의. 가지[種]+ㅅ(속격조사).
주016)
반야(般若):모든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불법(佛法)의 참다운 이치를 깨닫는 지혜, 곧 법의 진실한 이치에 부합하는 최상의 지혜를 이른다.
주017)
사니:삼으니. 삼-[爲]+니(연결어미).
주018)
실상(實相):만물(萬物)의 생멸(生滅)하고 변화하는 가상(假相)을 떠난 진정한 모습.
주019)
관(觀)논:관(觀)하는. ‘관(觀)’은 선정(禪定)에 들어서 지혜로써 상대되는 경계를 자세히 식별(識別)하는 것을 이름. ‘-논’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20)
진성(眞性):허위가 없고, 변개(變改)하지 않는 진여(眞如) 실상의 본체를 이른다.
주021)
니고:이르고. 니-[謂]+고(연결어미).
주022)
관조(觀照):참된 지혜로 개개의 사물이나 그 이치를 비추어 보아 밝게 아는 것.
주023)
혜(慧):사리를 밝게 분별하는 지혜(智慧).
주024)
니고:이르고. 말하고. 니-[謂]+고(연결어미).
주025)
우흘:위를. 우ㅎ[上]+을(목적격조사).
주026)
닐온:이르는. 니-[詮]+오(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니-[詮]’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27)
교(敎):삼문(三門)의 하나로, 중생을 인도하는 신앙의 근본이 되는 성인(聖人)의 말씀이나 경론(經論)을 이른다.
주028)
니니:이르니. 말하니. 니-[謂]+니(연결어미).
주029)
세헤:셋에. 세ㅎ[三]+에(부사격조사).
주030)
넘디:넘지. 넘-[越]+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1)
아니:아니하므로. 아니-[不]+ㄹ(연결어미).
주032)
사니라:삼으니라. 삼는 것이다. 삼-[爲]+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33)
세히:셋이. 세ㅎ[三]+이(주격조사).
주034)
잇니:있느니. 있으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35)
처믄:처음은. 처[初]+은(보조사).
주036)
의(義):뜻을 나타냄. 문자·언어로 표한 것보다 더 깊은 뜻이 있는 것. 곧 의의(意義).
주037)
:한. 하나의. [一](수 관형사).
주038)
대(對)니:대(對)이니. 상대(相對)이니. 짝이니.
주039)
문자교(文字敎)로:문자(文字)의 교(敎)로.
주040)
나:남은. 남-[餘]+(관형사형어미).
주041)
사니라:삼으니라. 삼은 것이다.
주042)
경(境):인식(認識) 작용의 대상이나 대경(對境)을 이른다. 곧 널리 인식하거나 가치를 판단하는 대상이 되는 것이다. 경계(境界).
주043)
지(智):모든 사상(事象)과 도리에 대하여 그 시비(是非)와 사정(邪正)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
주044)
진공경(眞空境):진여(眞如) 평등한 이치가 삼라만상의 체성(體性)이며, 보편(普遍)하고 항상(恒常)한 존재임을 판단하는 것.
주045)
관조지(觀照智):아득한 생각을 깨뜨리고 진리를 나타내는 지혜의 작용.
주046)
인(因):어떤 결과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 곧 만물이 생기는 가까운 원인을 이른다.
주047)
과(果):인연(因緣)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모든 법(法)을 이른다.
주048)
인행(因行):인(因)에 의한 행위. 깨달을 수 있는 기원(起源)이 되는 것.
주049)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은 불타 정각의 지혜를 이른다. 곧 불과(佛果).
주050)
과덕(果德):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덕. 과상(果上)의 공덕.
주051)
사니라:삼으니라. 삼는 것이다. 삼-[謂]+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