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27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27


懷讓禪師 金州杜氏子也ㅣ러니 初謁嵩山安國師대 安이 發之曺溪參扣야 讓이 至야 禮拜대 師曰샤 甚處來다 曰호 嵩山이니다 師曰샤 什麽物이 恁麽來오 曰호 說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6ㄱ

一物이라 야도 卽不中이니다 師曰샤 還可修證否아 曰호 修證卽不無커니와 汗染卽不得이니다 師曰샤 只此不汗染이 諸佛之所護念이니 汝旣如是혼다 吾亦如是호라 西天般若多羅ㅅ 讖애 汝의 足下애 出一馬駒야 踏殺天下人이라 니 應在汝心고 不須速說라 讓이 豁然契會야 遂執侍左右홀 一十五載야 日益玄奧더니 後往南嶽야 大闡禪宗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6ㄴ

懷讓 주001)
회양(懷讓):
회양(677~744)은 당 금주 안강(安康) 사람. 육조대사의 양대 산맥의 하나이다.
禪師 金州 杜氏의 子ㅣ러니 주002)
자(子)ㅣ러니:
아들이더니.
처 주003)
처:
처음.
嵩山 安國師 주004)
안국사(安國師):
오조(五祖)의 제자.
저온대 주005)
저온대:
절한대[謁].
安이 曺溪예 주006)
가:
가서. 참례하여.
叅扣라 주007)
참구(叅扣)라:
참구(叅扣)하라.
야 주008)
야:
(말)하거늘. [發]+야.
讓이 가 저온대 주009)
저온대:
절한대. 예배(禮拜)하였는데.
師ㅣ 니샤 어드러셔 주010)
어드러셔:
어디서[甚處].
온다 주011)
온다:
왔느냐.
닐오 嵩山이니다 주012)
숭산(嵩山)이니다:
숭산(嵩山)입니다.
師ㅣ 니샤 므스거시 주013)
므스거시:
무엇이. 므스것[什麽物]+이.
이리 주014)
이리:
이렇게[恁麽].
오뇨 주015)
오뇨:
오느냐.
닐오  거시라 주016)
거시라:
것(물건)이라고.
닐어 주017)
닐어:
말하여.
呈似 주018)
정사(呈似):
드리는 것. 윗사람에게 바치는 것.
야도} 주019)
정사(呈似)야도:
드려도. 바쳐도.
맛디 주020)
맛디:
맞지.
몯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7ㄱ

주021)
몯니다:
못합니다.
師ㅣ 니샤 어루 주022)
어루:
가(可)히.
修證려 주023)
수증(修證)려:
수증(修證)할 것이냐. 수증(修證)+ㄹ#이+어.
몯려 주024)
몯려:
못할 것이냐. 몯+ㄹ#이+어.
닐오 修證은 곧 업디 아니커니와 더러요 주025)
더러요:
더럽힘은. 더러이[汗染]+오+ㅁ+.
곧 몯리다 師ㅣ 니샤 이 더러이디 주026)
더러이디:
더럽히지. 더러이+디.
※ ‘더러이-’는 ‘더러-’의 후신형이고 ‘더러’는 ‘더+이(사동접미사)’로 분석된다.
몯호미 諸佛의 護念시논 주027)
호념(護念)시논:
호념하시는.
배니 주028)
배니:
바이니. 바[所]+ㅣ+니.
주029)
네:
네가.
마 주030)
마:
이미. 벌써.
혼다 주031)
혼다:
같다. [如]+오+ㄴ다.
내  이 호라 주032)
호라:
같다. [如]+오+라.
西天 주033)
서천(西天):
서방에 있는 천축국(天竺國)의 뜻으로 인도를 말한다.
般若多羅 주034)
반야다라(般若多羅):
이십칠조(二十七祖)이며 달마 조사의 스승이다. 이 예언은 달마에게 준 것이다. ‘한 망아지’는 마조(馬祖)이고 ‘천하인을 밟아 죽인다’ 함은 널리 사람을 제도한다는 뜻이다.
讖記 주035)
참기(讖記):
예언.
주036)
네:
너의.
주037)
발:
발[足].
아래 주038)
아래:
아래.
주039)
:
말[馬].
삿기 주040)
삿기:
새끼가. 삿기+∅(zero 주격 조사).
주041)
나:
나와.
天下人 주042)
천하인(天下人):
천하 사람.
와 주043)
와:
밟아. [踏]+아.
주기리라 주044)
주기리라:
죽이리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7ㄴ

니 반기 네 매 두고 모로매 주045)
모로매:
모름지기.
리 주046)
리:
빨리[速].
니디 말라 讓이 훤히 아라 주047)
아라:
알아. 알[契會]+아.
左右에 뫼오 주048)
뫼오:
모심을. 뫼[侍]+오+ㅁ+.
열다  야 날로 주049)
날로:
날마다. 날로날로. 나날이.
기픈 주050)
기픈:
깊은. 깊[玄]+은.
주051)
이(理):
진리(眞理). 근본의 도리.
더으더니 주052)
더으더니:
더하더니.
後에 南嶽애 가 禪宗을 주053)
키:
크게. 크+ㅣ(부사화접미사).
기니라 주054)
기니라:
밝혔다.

회양 선사(懷讓禪師)는 금주(金州) 두씨(杜氏)의 아들이더니, 처음 숭산(嵩山) 안국사(安國師)께 절하였는데, 안국사께서 조계(曺溪)에 가 참구(參扣) 주055)
참구(叅扣):
스승을 찾아 뵙고 그의 문을 두드리는 것.
하라 하거늘 회양(懷讓)이 가 절하니 혜능 대사께서 이르시되 “어디서 왔느냐?” 이르되 “숭산입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무엇이 이렇게 오느냐?” 이르되 “한 것(물건)이라고 말하여 바쳐도 곧 맞지 못합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가(可)히 수증(修證) 주056)
수증(修證):
수행에 의해 깨닫는 것. 수행과 깨달음. 수행과 체험.
할 것이냐 못할 것이냐?” 이르되 “수증은 곧 없지 아니하거니와 더럽힘은 곧 못할 것입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이 더럽히지 못함이 제불(諸佛)의 호념(護念)하시는 바이니 네가 이미 이와 같다. 내가 또 이와 같다. 서천(西天) 반야다라(般若多羅)의 참기(讖記)에 ‘너의 발 아래 한 말 새끼가 나와 천하 사람을 밟아 죽이리라’ 하니 반드시 너의 마음에 두고 모름지기 빨리 말하지 말라.” 회양이 훤히 알아 좌우에서 (혜능 대사를) 뫼심을 열다섯 해를 하여 날로 깊은 진리를 더하더니, 후(後)에 남악(南嶽)에 가 선종(禪宗)을 크게 밝혔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회양(懷讓):회양(677~744)은 당 금주 안강(安康) 사람. 육조대사의 양대 산맥의 하나이다.
주002)
자(子)ㅣ러니:아들이더니.
주003)
처:처음.
주004)
안국사(安國師):오조(五祖)의 제자.
주005)
저온대:절한대[謁].
주006)
가:가서. 참례하여.
주007)
참구(叅扣)라:참구(叅扣)하라.
주008)
야:(말)하거늘. [發]+야.
주009)
저온대:절한대. 예배(禮拜)하였는데.
주010)
어드러셔:어디서[甚處].
주011)
온다:왔느냐.
주012)
숭산(嵩山)이니다:숭산(嵩山)입니다.
주013)
므스거시:무엇이. 므스것[什麽物]+이.
주014)
이리:이렇게[恁麽].
주015)
오뇨:오느냐.
주016)
거시라:것(물건)이라고.
주017)
닐어:말하여.
주018)
정사(呈似):드리는 것. 윗사람에게 바치는 것.
주019)
정사(呈似)야도:드려도. 바쳐도.
주020)
맛디:맞지.
주021)
몯니다:못합니다.
주022)
어루:가(可)히.
주023)
수증(修證)려:수증(修證)할 것이냐. 수증(修證)+ㄹ#이+어.
주024)
몯려:못할 것이냐. 몯+ㄹ#이+어.
주025)
더러요:더럽힘은. 더러이[汗染]+오+ㅁ+.
주026)
더러이디:더럽히지. 더러이+디.
※ ‘더러이-’는 ‘더러-’의 후신형이고 ‘더러’는 ‘더+이(사동접미사)’로 분석된다.
주027)
호념(護念)시논:호념하시는.
주028)
배니:바이니. 바[所]+ㅣ+니.
주029)
네:네가.
주030)
마:이미. 벌써.
주031)
혼다:같다. [如]+오+ㄴ다.
주032)
호라:같다. [如]+오+라.
주033)
서천(西天):서방에 있는 천축국(天竺國)의 뜻으로 인도를 말한다.
주034)
반야다라(般若多羅):이십칠조(二十七祖)이며 달마 조사의 스승이다. 이 예언은 달마에게 준 것이다. ‘한 망아지’는 마조(馬祖)이고 ‘천하인을 밟아 죽인다’ 함은 널리 사람을 제도한다는 뜻이다.
주035)
참기(讖記):예언.
주036)
네:너의.
주037)
발:발[足].
주038)
아래:아래.
주039)
:말[馬].
주040)
삿기:새끼가. 삿기+∅(zero 주격 조사).
주041)
나:나와.
주042)
천하인(天下人):천하 사람.
주043)
와:밟아. [踏]+아.
주044)
주기리라:죽이리라.
주045)
모로매:모름지기.
주046)
리:빨리[速].
주047)
아라:알아. 알[契會]+아.
주048)
뫼오:모심을. 뫼[侍]+오+ㅁ+.
주049)
날로:날마다. 날로날로. 나날이.
주050)
기픈:깊은. 깊[玄]+은.
주051)
이(理):진리(眞理). 근본의 도리.
주052)
더으더니:더하더니.
주053)
키:크게. 크+ㅣ(부사화접미사).
주054)
기니라:밝혔다.
주055)
참구(叅扣):스승을 찾아 뵙고 그의 문을 두드리는 것.
주056)
수증(修證):수행에 의해 깨닫는 것. 수행과 깨달음. 수행과 체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