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7


法達이 卽高聲으로 念經야 至譬喩品대 師ㅣ 曰샤 止라 此經은 元來로 以因緣으로 出世爲宗니 縱說多種譬喩야도 亦無越於此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9ㄱ

라 何者ㅣ 因緣고 經云샤 諸佛世尊이 惟以一大事因緣故로 出現於世시니 一大事者 佛之知見也ㅣ니 世人이 外迷着相고 內迷着空니 若能於相애 離相며 於空애 離空면 卽是內外不迷니 若悟此法야 一念心開면 是爲開佛知見이니라

法達이 곧 노 주001)
노:
높은. 높+.
소리 주002)
소리:
소리[聲].
로 經을 念야 譬喩品 주003)
비유품(譬喩品):
법화경 28품 중 제3품.
니른대 주004)
니른대:
다다른대. 니르[至]+ㄴ대.
師ㅣ 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9ㄴ

샤 말라 주005)
말라:
말라[止]. 말아라. 그치어라.
이 經은 본 因緣으로 주006)
인연(因緣)으로:
인연으로써. 인연(因緣)+으로.
世예 주007)
세(世)예:
세상에. 세(世)+예.
나로 주008)
나로:
나옴으로. 나[出]+∅+ㅁ+로.
사니 주009)
사니:
삼으니. 삼[爲]+니.
비록 여러 주010)
여러:
여러[多].
가짓 주011)
가짓:
가지의. 가지[種]+ㅅ.
譬喩 닐어도 주012)
닐어도:
일러도[說].
주013)
:
또[亦]. 또한.
이 주014)
이:
여기에서[於此].
너무미 주015)
너무미:
넘음이. 넘[越]+우+ㅁ+이.
업스니라 주016)
업스니라:
없다. 없+으니+라.
므스거시 주017)
므스거시:
무엇이. 므스것+이.
因緣고 주018)
인연(因緣)고:
인연인가.
經에 니샤 諸佛世尊이 오직 一大事因緣 주019)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
부처가 이 세상에 나타나는 가장 소중한 인연.
 주020)
:
쓰는. ++ㄴ.
젼로 주021)
젼로:
까닭으로. 젼+로.
世예 주022)
나:
나와. 나[出]+아(동음 생략).
現타 주023)
현(現)타:
현(現)하다. 나타나다. 현(現)+다.
시니 一大事 주024)
일대사(一大事):
부처가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부텻 주025)
부텻:
부처의. 부텨+ㅅ.
知見 주026)
지견(知見):
지혜에 의해 보는 것. 지식에 바탕을 둔 견해.
이니 世人 주027)
세인(世人):
세간(世間)의 사람.
밧긔 주028)
밧긔:
밖에. [外]+의.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0ㄱ

迷야 주029)
미(迷)야:
미혹하여. 몰라.
相애 着고 주030)
착(着)고:
집착하고.
안해 주031)
안해:
안에. 안ㅎ[內]+애.
迷야 空애 주032)
공(空)애:
공(空)에. 공(空)+애.
着니 주033)
착(着)니:
집착하니. 착(着)++니.
다가 주034)
다가:
만일.
能히 相애 주035)
상(相)애:
상에서[於相].
相을 여희며 주036)
여희며:
떠나며. 여희+며.
空애 空을 여희면 곧 이 안팟글 주037)
안팟글:
안팎을. 안ㅎ#+을.
迷티 주038)
미(迷)티:
미혹하지. 모르지. 미(迷)+디.
아니호미니 주039)
아니호미니:
아니함이니. 아니[不]+오+ㅁ+이+니.
다가 이 法을 아라 주040)
아라:
알아.
一念 미 주041)
미:
마음이.
열면 주042)
열면:
열리면.
佛知見 주043)
불지견(佛知見):
제법 실상의 이치를 깨닫고 비춰 보는 부처님 지혜.
여로미니라 주044)
여로미니라:
여는 것이다. 열+오+ㅁ+이+니+라.

법달(法達)이 곧 높은 소리로 경을 염하여 비유품(譬喩品)에 다다르니 조사(祖師)가 이르시되 “말라. 이 경은 원래 인연(因緣)으로써 세상에 나옴으로 종(宗)을 삼으니 비록 여러 가지 비유를 일러도 또 여기에서 넘음이 없다. 무엇이 인연인가? 경(經)에 이르시되 여러 불세존(佛世尊)이 오직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쓰는 까닭에 세상에 나와 나타나다 하시니, 일대사는 부처의 지견(知見)이니, 세간(世間)의 사람이 밖에 몰라 상(相)에 집착하고 안에 대하여 몰라 공(空)에 집착하니 만일 능히 상(相)에서 상을 떠나며 공(空)에서 공을 떠나면 곧 이 안팎을 모르지 아니함이니 만일 이 법(法)을 알아 일념(一念) 마음이 열리면 이것이 불지견(佛知見)을 여는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높은. 높+.
주002)
소리:소리[聲].
주003)
비유품(譬喩品):법화경 28품 중 제3품.
주004)
니른대:다다른대. 니르[至]+ㄴ대.
주005)
말라:말라[止]. 말아라. 그치어라.
주006)
인연(因緣)으로:인연으로써. 인연(因緣)+으로.
주007)
세(世)예:세상에. 세(世)+예.
주008)
나로:나옴으로. 나[出]+∅+ㅁ+로.
주009)
사니:삼으니. 삼[爲]+니.
주010)
여러:여러[多].
주011)
가짓:가지의. 가지[種]+ㅅ.
주012)
닐어도:일러도[說].
주013)
:또[亦]. 또한.
주014)
이:여기에서[於此].
주015)
너무미:넘음이. 넘[越]+우+ㅁ+이.
주016)
업스니라:없다. 없+으니+라.
주017)
므스거시:무엇이. 므스것+이.
주018)
인연(因緣)고:인연인가.
주019)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부처가 이 세상에 나타나는 가장 소중한 인연.
주020)
:쓰는. ++ㄴ.
주021)
젼로:까닭으로. 젼+로.
주022)
나:나와. 나[出]+아(동음 생략).
주023)
현(現)타:현(現)하다. 나타나다. 현(現)+다.
주024)
일대사(一大事):부처가 세상에 나타나는 목적.
주025)
부텻:부처의. 부텨+ㅅ.
주026)
지견(知見):지혜에 의해 보는 것. 지식에 바탕을 둔 견해.
주027)
세인(世人):세간(世間)의 사람.
주028)
밧긔:밖에. [外]+의.
주029)
미(迷)야:미혹하여. 몰라.
주030)
착(着)고:집착하고.
주031)
안해:안에. 안ㅎ[內]+애.
주032)
공(空)애:공(空)에. 공(空)+애.
주033)
착(着)니:집착하니. 착(着)++니.
주034)
다가:만일.
주035)
상(相)애:상에서[於相].
주036)
여희며:떠나며. 여희+며.
주037)
안팟글:안팎을. 안ㅎ#+을.
주038)
미(迷)티:미혹하지. 모르지. 미(迷)+디.
주039)
아니호미니:아니함이니. 아니[不]+오+ㅁ+이+니.
주040)
아라:알아.
주041)
미:마음이.
주042)
열면:열리면.
주043)
불지견(佛知見):제법 실상의 이치를 깨닫고 비춰 보는 부처님 지혜.
주044)
여로미니라:여는 것이다. 열+오+ㅁ+이+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