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32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32


隍이 聞是說고 徑來謁師대 師ㅣ 問云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6ㄱ

仁者 何來오 隍이 具述前緣대 師云샤 誠如所言다 汝ㅣ 但心如虛空호 不着空見며 應用無礙야 動靜無心며 凡聖情忘야 能所ㅣ 俱泯야 性相이 如如면 無不定時也ㅣ리라 隍이 於是예 大悟야 二十年所得心이 都無影響니 其夜애 河北士庶ㅣ 聞니 空中에 有聲云호 隍禪師ㅣ 今日에 得道야다 니라 隍이 後에 禮辭고 復歸河北야 開化四衆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6ㄴ

隍이 이 닐오 주001)
닐오:
말함을.
듣고 즐어 주002)
즐어:
질러.
와 師 뵈온대 師ㅣ 무르샤 仁者 주003)
인자(仁者):
어진 사람. 덕(德)을 갖춘 사람.
어드러셔 주004)
어드러셔:
어디서.
오뇨 주005)
오뇨:
오느냐. 오[來]+뇨.
隍이 알 주006)
알:
앞의. 앒[前]+(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07)
연(緣):
원인.
초 주008)
초:
갖추어.
온대 주009)
온대:
사뢴즉. 사뢰니까. [述]+대.
師ㅣ 니샤 實로 닐옴 주010)
닐옴:
말함[所言].
다 주011)
다:
같다.
주012)
네:
네가.
오직 미 주013)
미:
마음이. [心]+이(주격 조사).
虛空 호 주014)
호:
같되. [如]+오+.
空見 주015)
공견(空見):
공(空)에 집착하는 견해. 선악 인과의 도리. 일체의 존재를 부정하는 틀린 견해.
븓디 주016)
븓디:
붙지. 집착하지. 븓(‘븥-’[着]의 이형태)+디.
말며 應用애 룜 주017)
룜:
가림. 리[礙]+오+ㅁ.
업서 주018)
업서:
없어.
動과 靜과애  업스며 凡과 聖괏 들 니저 주019)
니저:
잊어. 닞[忘]+어.
能과 所왜 다 업서 性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7ㄱ

과 相괘 如如면 주020)
여여(如如)면:
한결같으면.
定 아닌 주021)
:
때가. [時]+ㅣ(주격 조사).
업스리라 隍이 이 주022)
이:
여기에.
주023)
키:
크게.
아라 주024)
아라:
알아.
二十年 得혼 주025)
득(得)혼:
득한. 득(得)+오+ㄴ.
미 주026)
다:
다[都].
影響 주027)
영향(影響):
그림자와 울림.
이 업스니 그 주028)
낤:
날의. 날+ㅅ.
바 주029)
바:
밤에. 밤[夜]+.
河北 士庶 주030)
사서(士庶):
선비와 백성.
ㅣ 드르니 空中에 소리 주031)
소리:
소리가. 소리[聲]+∅(zero 주격 조사).
이셔 닐오 隍禪師ㅣ 오 주032)
오:
오늘.
道 得야다 주033)
득(得)야다:
득(得)하다. 득(得)+야(선어말어미 ‘아’의 이형태)+다.
니라 隍이 後에 저와 주034)
저와:
절하여. 저[禮]+아.
여희고 주035)
여희고:
하직하고. 여희[辭]++고.
 河北에 도라가 주036)
도라가:
돌아가.
四衆 주037)
사중(四衆):
네 종류의 신도. 즉 비구, 비구니,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여러 주038)
여러:
열어. 열[開]+어.
敎化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7ㄴ

니라
주039)
교화(敎化)니라:
교화(敎化)하였다.

지황이 이 말함을 듣고 질러(곧바로) 와 대사를 뵈온대 대사가 물으시되 “인자(仁者)는 어디서 오느냐?” 지황이 앞의 연(緣)을 갖추어 사뢴즉 대사가 이르시되 “실(實)로 말함과 같다. 네가 오직 마음이 허공(虛空)과 같되 공견(空見)에 붙지 말며 응용(應用)에 가림 없어 동(動)과 정(靜)에 마음 없으며 범(凡)과 성(聖)의 뜻을 잊어 능(能 : 주체)과 소(所 : 객체)가 다 없어 성(性)과 상(相)이 여여(如如)하면 정(定) 아닌 때가 없을 것이다.” 지황이 여기에 크게 알아 20년 득(得)한 마음이 다 영향(影響)이 없으니 그 날 밤에 하북(河北)의 선비와 백성이 들으니 공중에 소리가 있어 이르되 “지황선사가 오늘 도(道)를 득(得)하다.” 하였다. 지황이 후(後)에 절하여 하직하고 또 하북(河北)에 돌아가 사중(四衆)을 열어 교화(敎化)하였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오:말함을.
주002)
즐어:질러.
주003)
인자(仁者):어진 사람. 덕(德)을 갖춘 사람.
주004)
어드러셔:어디서.
주005)
오뇨:오느냐. 오[來]+뇨.
주006)
알:앞의. 앒[前]+(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07)
연(緣):원인.
주008)
초:갖추어.
주009)
온대:사뢴즉. 사뢰니까. [述]+대.
주010)
닐옴:말함[所言].
주011)
다:같다.
주012)
네:네가.
주013)
미:마음이. [心]+이(주격 조사).
주014)
호:같되. [如]+오+.
주015)
공견(空見):공(空)에 집착하는 견해. 선악 인과의 도리. 일체의 존재를 부정하는 틀린 견해.
주016)
븓디:붙지. 집착하지. 븓(‘븥-’[着]의 이형태)+디.
주017)
룜:가림. 리[礙]+오+ㅁ.
주018)
업서:없어.
주019)
니저:잊어. 닞[忘]+어.
주020)
여여(如如)면:한결같으면.
주021)
:때가. [時]+ㅣ(주격 조사).
주022)
이:여기에.
주023)
키:크게.
주024)
아라:알아.
주025)
득(得)혼:득한. 득(得)+오+ㄴ.
주026)
다:다[都].
주027)
영향(影響):그림자와 울림.
주028)
낤:날의. 날+ㅅ.
주029)
바:밤에. 밤[夜]+.
주030)
사서(士庶):선비와 백성.
주031)
소리:소리가. 소리[聲]+∅(zero 주격 조사).
주032)
오:오늘.
주033)
득(得)야다:득(得)하다. 득(得)+야(선어말어미 ‘아’의 이형태)+다.
주034)
저와:절하여. 저[禮]+아.
주035)
여희고:하직하고. 여희[辭]++고.
주036)
도라가:돌아가.
주037)
사중(四衆):네 종류의 신도. 즉 비구, 비구니, 우바새(優婆塞), 우바이(優婆夷).
주038)
여러:열어. 열[開]+어.
주039)
교화(敎化)니라:교화(敎化)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