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2


又經에 說三車시니 羊鹿之車와 與白牛之車 如何區別리고 願和尙이 再垂開示쇼셔 師曰샤 經意分眀커 汝自迷背니 諸三乘人이 不能測佛智者 患在度量也ㅣ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7ㄴ

라 饒伊ㅣ 盡思共推야도 轉加懸遠이리라 佛이 本爲凡夫야 說이시고 不爲佛야 說이시니 此理 若不肯信者 從他退席이니 殊不知坐ㅣ 知白牛車고 更於門外예 覓三車니 况經文야 明向汝道호리라 惟一佛乘이오 無有餘乘이 若二若三며 乃至無數方便과 種種因緣과 譬喩言詞ㅣ 是法이 皆爲一佛乘故ㅣ니 汝何不省고 三車 是假ㅣ니 爲昔時故ㅣ오 一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8ㄱ

乘은 是實이니 爲今時故ㅣ니

주001)
:
또[又].
經에 三車 니시니 주002)
니시니:
말하시니.
羊鹿車 주003)
양록거(羊鹿車):
양거(羊車)와 녹거(鹿車).
白牛車 주004)
백우거(白牛車):
백거와 우거를.
엇뎨 주005)
엇뎨:
어찌.
리고 주006)
리고:
구별(區別)하겠습니까. +리++고.
願 주007)
원(願):
원(願)하건대.
和尙 주008)
화상(和尙):
󰇄 upadhyāya의 속어형의 음역. 본래는 수계사(授戒師)인 스님을 말하는 것이나, 후세에는 덕이 높은 스님을 가리키는 말이 됨. 고승(高僧)의 존칭.
여러 주009)
여러:
열어. 열[開]+어.
뵈샤 주010)
뵈샤:
보이심을. 보+이+시+아+ㅁ+.
다시 주011)
다시:
다시.
드리오쇼셔 주012)
드리오쇼셔:
드리우소서. 드리오[垂]+쇼셔.
師ㅣ 니샤 經 디 分眀커 주013)
분명(分眀)커:
분명(分眀)하거늘. 분명(分眀)+거.
주014)
네:
네[伊]가.
몰라 背叛니 주015)
배반(背叛)니:
배반하니.
모 주016)
모:
여러[諸].
三乘엣 주017)
삼승(三乘)엣:
삼승(三乘)의.
사미 能히 佛智 주018)
불지(佛智):
부처의 지혜를.
測量티 주019)
측량(測量)티:
측량하지. 측량(測量)+디.
몯호 주020)
몯호:
못함은. 몯+오+ㅁ+.
患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8ㄴ

아료매
주021)
혜아료매:
헤아림에. 혜아리[度量]+오+ㅁ+애.
잇니라 주022)
잇니라:
있는 것이라. 잇++ㄴ#이+∅+라.
현마 주023)
현마:
아무리[饒].
네 다 야 주024)
야:
생각하여.
모다 주025)
모다:
모두.
推尋야도 더욱 멀리라 주026)
멀리라:
멀 것이다. 멀[懸遠]+리+라.
부톄 주027)
부톄:
부처가.
本來 凡夫 爲야 니시고 부텨 爲야 니디 아니시니 이 理 다가 주028)
다가:
만일.
즐겨 信티 주029)
신(信)티:
믿지. 신(信)+디.
아니 사은 뎌 돗긔 주030)
돗긔:
자리에서. [席]+의.
믈러나 주031)
믈러나:
물러남을. 믈러나[退]+∅(선어말어미 ‘-아-’의 비실현)+ㅁ+.
므던히 주032)
므던히:
대수롭지 않게.
너굘디니 주033)
너굘디니:
여길 것이니. 너기+오+ㄹ디니.
안조미 주034)
안조미:
앉음[坐]이.
白牛車 주035)
백우거(白牛車):
백우거(白牛車)인. 백우거(白牛車)+ㅣ+ㄴ.
주036)
:
것을. +ㄹ.
아디 주037)
아디:
알지.
몯고 주038)
몯고:
못하고.
다시 門 밧긔 주039)
밧긔:
밖에서. +의.
三車 주040)
삼거(三車):
양(羊), 녹(鹿), 우(牛)의 삼거(三車)를 말한다. 삼거는 각각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및 보살승(菩薩乘)을 비유한다.
求니 주041)
구(求)니:
구하니. 구++니.
經文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9ㄱ

가벼 주042)
가벼:
비유하여. 가비[況]+어.
겨 주043)
겨:
밝혀. +이+어.
너 向야 닐오리라 주044)
닐오리라:
말할 것이다.
오직 一佛乘 주045)
일불승(一佛乘):
부처를 이룰 유일한 교법.
이오 녀나 주046)
녀나:
남은[餘].
乘이 둘 세히 주047)
세히:
셋이. 세ㅎ+이.
업스며 無數方便 주048)
무수방편(無數方便):
수없이 많은 방편.
種種因緣 주049)
종종인연(種種因緣):
여러 가지 인연.
譬喩言詞 주050)
비유언사(譬喩言詞):
비유의 말씀.
니르리 주051)
니르리:
이르도록[譬].
이 法이 다 一佛乘을 爲 젼니 주052)
젼니:
까닭이니. 젼[故]+ㅣ+니.
엇뎨 주053)
엇뎨:
어찌. 어째서.
피디 주054)
피디:
살피지[省].
아니뇨 주055)
아니뇨:
아니하느냐.
三車 이 假ㅣ니 주056)
가(假)ㅣ니:
거짓이니.
주057)
녯:
옛[昔].
時 爲 젼오 주058)
젼오:
까닭이고. 젼+ㅣ+오.
一乘은 이 實이니 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9ㄴ

제 時 爲 젼니 주059)
젼니:
까닭이니. 젼+ㅣ+니.

또 경(經)에 삼거(三車)를 말하시니 양록거(羊鹿車)와 백우거(白牛車)를 어떻게 구별하겠습니까? 원(願)하건대 화상(和尙)이 열어 보이심을 다시 드리우소서. 대사가 이르시되 “경(經) 뜻이 분명(分眀)하거늘 네가 몰라 배반(背叛)하니 여러 삼승(三乘)의 사람이 능히 불지(佛智)를 측량하지 못함은 환(患)이 헤아림에 있는 것이다. 아무리 네가 다 생각하여 모두 추심(推尋)하여도 더욱 멀 것이다. 부처가 본래 범부(凡夫)를 위하여 말하시고 부처를 위하여 말하지 아니하시니 이 이(理)를 만일 즐겨 믿지 아니할 사람은 저 자리에서 물러남을 대수롭지 않게 여길 것이니 앉음이 백우거(白牛車)인 것을 알지 못하고 다시 문(門) 밖에서 삼거(三車) 구(求)하니 경문(經文)을 비유하여 밝혀 너 향(向)하여 말할 것이다. 오직 일불승(一佛乘)이고 남은 승(乘)이 둘 셋이 없으며 수없이 많은 방편과 여러 가지 인연과 비유의 언사(言詞)에 이르도록 이 법(法)이 다 일불승을 위한 까닭이니 네가 어째서 살피지 아니하느냐? 삼거(三車)는 이 가(假)이니 옛 시(時)를 위한 까닭이고 일승(一乘)은 이 실(實)이니 이제 시(時)를 위한 까닭이니.”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또[又].
주002)
니시니:말하시니.
주003)
양록거(羊鹿車):양거(羊車)와 녹거(鹿車).
주004)
백우거(白牛車):백거와 우거를.
주005)
엇뎨:어찌.
주006)
리고:구별(區別)하겠습니까. +리++고.
주007)
원(願):원(願)하건대.
주008)
화상(和尙):󰇄 upadhyāya의 속어형의 음역. 본래는 수계사(授戒師)인 스님을 말하는 것이나, 후세에는 덕이 높은 스님을 가리키는 말이 됨. 고승(高僧)의 존칭.
주009)
여러:열어. 열[開]+어.
주010)
뵈샤:보이심을. 보+이+시+아+ㅁ+.
주011)
다시:다시.
주012)
드리오쇼셔:드리우소서. 드리오[垂]+쇼셔.
주013)
분명(分眀)커:분명(分眀)하거늘. 분명(分眀)+거.
주014)
네:네[伊]가.
주015)
배반(背叛)니:배반하니.
주016)
모:여러[諸].
주017)
삼승(三乘)엣:삼승(三乘)의.
주018)
불지(佛智):부처의 지혜를.
주019)
측량(測量)티:측량하지. 측량(測量)+디.
주020)
몯호:못함은. 몯+오+ㅁ+.
주021)
혜아료매:헤아림에. 혜아리[度量]+오+ㅁ+애.
주022)
잇니라:있는 것이라. 잇++ㄴ#이+∅+라.
주023)
현마:아무리[饒].
주024)
야:생각하여.
주025)
모다:모두.
주026)
멀리라:멀 것이다. 멀[懸遠]+리+라.
주027)
부톄:부처가.
주028)
다가:만일.
주029)
신(信)티:믿지. 신(信)+디.
주030)
돗긔:자리에서. [席]+의.
주031)
믈러나:물러남을. 믈러나[退]+∅(선어말어미 ‘-아-’의 비실현)+ㅁ+.
주032)
므던히:대수롭지 않게.
주033)
너굘디니:여길 것이니. 너기+오+ㄹ디니.
주034)
안조미:앉음[坐]이.
주035)
백우거(白牛車):백우거(白牛車)인. 백우거(白牛車)+ㅣ+ㄴ.
주036)
:것을. +ㄹ.
주037)
아디:알지.
주038)
몯고:못하고.
주039)
밧긔:밖에서. +의.
주040)
삼거(三車):양(羊), 녹(鹿), 우(牛)의 삼거(三車)를 말한다. 삼거는 각각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및 보살승(菩薩乘)을 비유한다.
주041)
구(求)니:구하니. 구++니.
주042)
가벼:비유하여. 가비[況]+어.
주043)
겨:밝혀. +이+어.
주044)
닐오리라:말할 것이다.
주045)
일불승(一佛乘):부처를 이룰 유일한 교법.
주046)
녀나:남은[餘].
주047)
세히:셋이. 세ㅎ+이.
주048)
무수방편(無數方便):수없이 많은 방편.
주049)
종종인연(種種因緣):여러 가지 인연.
주050)
비유언사(譬喩言詞):비유의 말씀.
주051)
니르리:이르도록[譬].
주052)
젼니:까닭이니. 젼[故]+ㅣ+니.
주053)
엇뎨:어찌. 어째서.
주054)
피디:살피지[省].
주055)
아니뇨:아니하느냐.
주056)
가(假)ㅣ니:거짓이니.
주057)
녯:옛[昔].
주058)
젼오:까닭이고. 젼+ㅣ+오.
주059)
젼니:까닭이니. 젼+ㅣ+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