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1


衆이 胡跪대 師曰샤 一은 戒香이니 卽自心中에 無非며 無惡며 無嫉妬며 無貪嗔며 無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0ㄴ

劫害ㅣ 名戒香이오 二 定香이니 卽覩諸善惡境相호 自心不亂이 名定香이오 三은 慧香이니 自心無礙야 常以智慧로 觀照自性야 不造諸惡며 雖修衆善나 心不執着야 敬上念下며 矜恤孤貧이 名慧香이오 四 解脫香이니 卽自心이 無所攀緣야 不思善며 不思惡야 自在無礙ㅣ 名解脫香이오 五 解脫知見香이니 自心이 旣無所攀緣善惡니 不可沈空守寂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1ㄱ

고 卽須廣學多聞야 識自本心며 達諸佛理야 和光接物호 無我無人야 直至菩提야 眞性不易이 名解脫知見香이라

衆이 胡跪대 주001)
호궤(胡跪)대:
꿇어 앉으니까.
師ㅣ 니샤 나 주002)
나:
첫째는.
戒香 주003)
계향(戒香):
계(戒)를 잘 가지면 덕이 저절로 갖추게 되어, 향기가 사방에 퍼지는 것과 같이 그 이름이 널리 퍼지는 것.
이니 곧 自心 中에 외욤 주004)
외욤:
그름[非]. 외+요+ㅁ.
업스며 모디롬 주005)
모디롬:
나쁨. 악(惡)함. 모딜[惡]+오+ㅁ.
업스며 嫉妬 업스며 貪嗔 주006)
탐진(貪嗔):
탐냄과 성냄.
업스며 劫害 업소미 주007)
업소미:
없음이.
일후미 주008)
일후미:
이름이.
戒香이오 둘흔 주009)
둘흔:
둘째는.
定香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1ㄴ

이니 곧 여러 善惡境相 주010)
경상(境相):
대상의 모습.
보 주011)
보:
보되.
주012)
제:
자기의. 저(재귀대명사)+ㅣ(속격 조사).
 어즈럽디 주013)
어즈럽디:
어지럽지.
아니호미 일후미 定香이오 세흔 주014)
세흔:
셋째는. 세ㅎ+은(보조사, ‘주제’).
慧香이니 제  룜 주015)
룜:
가림.
업서 녜 智慧로 제 性을 觀照야 모 주016)
모:
여러.
惡을 짓디 주017)
짓디:
짓지.
아니며 비록 衆善 주018)
중선(衆善):
많은 선(善).
닷그나 주019)
닷그나:
닦으나. +으나.
미 執着디 주020)
집착(執着)디:
집착(執着)하지.
아니야 우흘 주021)
우흘:
위를. 우ㅎ+ㄹ.
恭敬고 아랠 주022)
아랠:
아래를.
念며 주023)
염(念)며:
염하며.
외이 주024)
외이:
외로이.
가난닐 주025)
가난닐:
가난한 것을. 가난+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어옛비 주026)
어옛비:
불쌍히. 어옛브+이(부사화접미사).
너교미 주027)
너교미:
여김이. 너기+오+ㅁ+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2ㄱ

일후미 慧香이오 네흔 주028)
네흔:
넷째는. 네ㅎ+은.
解脫香이니 곧 주029)
제:
자기의.
미 주030)
미:
마음이.
브튼 주031)
브튼:
붙은.
주032)
:
데가. (의존명사)+ㅣ(주격 조사).
업서 주033)
업서:
없어.
善을 티 주034)
티:
생각하지.
아니며 惡을 티 아니야 自在 주035)
자재(自在):
1. 생각대로 됨. 뜻대로 됨. 속박이나 장애가 없는 일. 2. [불교] 마음이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일.
야 룜 업소미 일후미 解脫香이오 다 주036)
다:
다섯째는. 다+.
解脫知見香이니 제 미 마 주037)
마:
이미. 벌써.
善惡애 브툰  업스니 空애 기며 주038)
기며:
잠기며.
주039)
적(寂):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곧 멸(滅). 적멸.
守티 주040)
수(守)티:
수하지. 지키지.
말오 주041)
말오:
말고. 말+오(연결어미).
곧 모로매 너비 주042)
너비:
널리. 넙[廣]+이(부사화 접미사).
호며 주043)
호며:
배우며.
주044)
해:
많이. 하[多]+이(부사화 접미사).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2ㄴ

주045)
드러:
들어. 들[聞](‘듣-’의 이형태. ‘ㄷ→ㄹ’)+어(연결어미).
제 本心을 알며 諸佛理 주046)
불리(佛理):
불법의 이치.
차 주047)
차:
통달하여. [達]+아.
光 섯거 주048)
섯거:
섞어. [和]+어.
物을 接對호 주049)
접대(接對)호:
접대하되.
我 업스며 人 업서 바 주050)
바:
바로.
菩提예 가 眞性을 고티디 주051)
고티디:
고치지.
아니호미 일후미 解脫知見香이라

대중이 꿇어 앉으니 대사가 이르시되 “첫째는 계향(戒香)이니, 곧 자심(自心) 중(中)에 그름 없으며 악(惡)함 없으며 질투(嫉妬) 없으며 탐진(貪嗔) 없으며 겁해(劫害) 없음이 이름이 계향이고, 둘째는 정향(定香)이니, 곧 여러 선악 경상(境相)을 보되 자기 마음 어지럽지 아니함이 이름이 정향이고, 셋째는 혜향(慧香)이니, 자기 마음이 가림이 없어 늘 지혜(智慧)로 자기 성(性)을 관조(觀照)하여 여러 악을 짓지 아니하며 비록 중선(衆善)을 닦으나 마음이 집착하지 아니하여 위를 공경하고 아래를 염(念)하며 외로이 가난한 것을 불쌍히 여김이 이름이 혜향이고, 넷째는 해탈향(解脫香)이니, 곧 자기 마음이 붙은 데 없어 선을 생각하지 아니하며 악을 생각하지 아니하여 자재(自在)하여 가림 없음이 이름이 해탈향이고, 다섯째는 해탈지견향(解脫知見香)이니, 자기 마음이 이미 선악에 붙은 데 없으니 공(空)에 잠기며 적(寂)을 수(守)하지 말고 곧 모름지기 널리 배우며 많이 들어 자기 본심(本心)을 알며 여러 불리(佛理)에 통달하여 광(光)을 섞어 물(物)을 접대(接對)하되 아(我) 없으며 인(人) 없어 바로 보리(菩提)에 가 진성(眞性)을 고치지 아니함이 이름이 해탈지견향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호궤(胡跪)대:꿇어 앉으니까.
주002)
나:첫째는.
주003)
계향(戒香):계(戒)를 잘 가지면 덕이 저절로 갖추게 되어, 향기가 사방에 퍼지는 것과 같이 그 이름이 널리 퍼지는 것.
주004)
외욤:그름[非]. 외+요+ㅁ.
주005)
모디롬:나쁨. 악(惡)함. 모딜[惡]+오+ㅁ.
주006)
탐진(貪嗔):탐냄과 성냄.
주007)
업소미:없음이.
주008)
일후미:이름이.
주009)
둘흔:둘째는.
주010)
경상(境相):대상의 모습.
주011)
보:보되.
주012)
제:자기의. 저(재귀대명사)+ㅣ(속격 조사).
주013)
어즈럽디:어지럽지.
주014)
세흔:셋째는. 세ㅎ+은(보조사, ‘주제’).
주015)
룜:가림.
주016)
모:여러.
주017)
짓디:짓지.
주018)
중선(衆善):많은 선(善).
주019)
닷그나:닦으나. +으나.
주020)
집착(執着)디:집착(執着)하지.
주021)
우흘:위를. 우ㅎ+ㄹ.
주022)
아랠:아래를.
주023)
염(念)며:염하며.
주024)
외이:외로이.
주025)
가난닐:가난한 것을. 가난+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주026)
어옛비:불쌍히. 어옛브+이(부사화접미사).
주027)
너교미:여김이. 너기+오+ㅁ+이.
주028)
네흔:넷째는. 네ㅎ+은.
주029)
제:자기의.
주030)
미:마음이.
주031)
브튼:붙은.
주032)
:데가. (의존명사)+ㅣ(주격 조사).
주033)
업서:없어.
주034)
티:생각하지.
주035)
자재(自在):1. 생각대로 됨. 뜻대로 됨. 속박이나 장애가 없는 일. 2. [불교] 마음이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일.
주036)
다:다섯째는. 다+.
주037)
마:이미. 벌써.
주038)
기며:잠기며.
주039)
적(寂):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곧 멸(滅). 적멸.
주040)
수(守)티:수하지. 지키지.
주041)
말오:말고. 말+오(연결어미).
주042)
너비:널리. 넙[廣]+이(부사화 접미사).
주043)
호며:배우며.
주044)
해:많이. 하[多]+이(부사화 접미사).
주045)
드러:들어. 들[聞](‘듣-’의 이형태. ‘ㄷ→ㄹ’)+어(연결어미).
주046)
불리(佛理):불법의 이치.
주047)
차:통달하여. [達]+아.
주048)
섯거:섞어. [和]+어.
주049)
접대(接對)호:접대하되.
주050)
바:바로.
주051)
고티디:고치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