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6


善知識아 大家히 豈不道衆生無邊誓願度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8ㄱ

ㅣ리오 恁麽道 且不是惠能의 度ㅣ라 善知識의 心中衆生이니 所謂邪迷心과 誑妄心과 不善心과 嫉妬心과 惡毒心괘니 如是等心이 盡是衆生이니라 各須自性自度시 是名眞度ㅣ라 何名自性自度오 卽自心中엣 邪見과 煩惱와 愚癡왓 衆生을 將正見야 度ㅣ니 旣有正見이면 使般若智야 打破愚癡迷妄衆生야 各各自度호 邪來야 正度며 迷來야 悟度며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8ㄴ

愚來야 智度며 惡來야 善度호리니 如是度者 名爲眞度ㅣ니라

善知識아 大家히 주001)
대가(大家)히:
부처님이. 부처가.
엇뎨 주002)
엇뎨:
어찌. 어째서. 어찌하여.
衆生이  업스니 誓願야 濟度호 주003)
제도(濟度)호:
제도함을. 제도(濟度)+오+ㅁ+.
니디 주004)
니디:
이르지. 말하지.
아니리오 이리 주005)
이리:
이렇게.
닐오 주006)
닐오:
이름은. 말함은.
 이 惠能의 濟度호미 아니라 주007)
아니라:
아니다. 아니+∅(계사 어간)+라(종결어미).
善知識의 心中 衆生이니 닐온 주008)
닐온:
이른바.
邪迷心 주009)
사미심(邪迷心):
간사하고 미혹한 마음.
誑妄心 주010)
광망심(誑妄心):
속이고 망령된 마음.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9ㄱ

不善心 주011)
불선심(不善心):
선(善)하지 않은 마음.
과 嫉妬心과 惡毒心괘니 주012)
악독심(惡毒心)괘니:
악독심(惡毒心)이니. 모질고 독한 마음이니. 악독심(惡毒心)+과(공동격 조사)+ㅣ(계사)+니(연결어미).
이트렛 주013)
이트렛:
이것들의. 이틀[是等]+에(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미 다 이 衆生이니라 各各 모 주014)
모:
모름지기.
自性을 제 濟度 시 이 일후미 眞實ㅅ 濟度ㅣ라 엇뎨 일후미 自性을 제 濟度홈고 주015)
제도(濟度)홈고:
제도(濟度)함인가. 제도(濟度)+오+ㅁ+고.
自心 中엣 주016)
중(中)엣:
중(中)의. 중(中)에 있는. 중(中)+에+ㅅ.
邪見과 煩惱와 愚癡왓 주017)
우치(愚癡)왓:
우치의. 우치+와(공동격 조사)+ㅅ(속격 조사).
衆生을 正見을 가져 濟度호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9ㄴ

리니 마 주018)
마:
이미. 벌써.
正見 이시면 주019)
이시면:
있으면.
般若智 주020)
반야지(般若智):
깨달음을 얻는 진실의 지혜. 깨달음의 지혜. 󰇄 prajñā.
브려 주021)
브려:
부려. 브리[使]+어.
愚癡迷妄衆生을 헤텨 주022)
헤텨:
타파(打破)하여. 헤티+어.
各各 제 濟度호 주023)
사(邪):
부정(不正). 사견(邪見).
오나 주024)
오나:
오거든. 오면. 오+나(과거시제 선어말어미, ‘확신’)+.
※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거/어-’ :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에 ‘-거/어-’가 있다. 어간 말음이 ‘y, r’이거나 계사 뒤에서는 -어-’로 실현되고 그 외에는 ‘-거-’로 실현된다. 자동사 ‘오다’의 어간 뒤에서는 ‘-나-’로, 타동사 뒤에서는 어말어미의 종류에 따라서는 ‘-아/어-’로 실현된다. 이들 어미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가/아-’로 실현되고 평서형 어미 ‘-다’ 앞에서는 ‘-과-’로 실현된다.
주025)
정(正):
바른 것.
으로 濟度며 주026)
미(迷):
미혹한 것.
ㅣ 오나 주027)
오(悟):
깨달음. 아는 것.
로 濟度며 주028)
우(愚):
어리석음.
ㅣ 오나 주029)
지(智):
지혜.
로 濟度며 惡이 오나 善으로 濟度호리니 이 티 주030)
티:
같이. +이(부사화접미사).
濟度닌 주031)
제도(濟度)닌:
제도하는 것은. 제도(濟度)+(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제’).
일후미 眞實ㅅ 濟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0ㄱ

度ㅣ니라

선지식아! 대가(大家)가(부처님이) 어째서 중생이 가 없으니 서원(誓願)하여 제도(濟度)함을 이르지(말하지) 아니하겠는가? 이렇게 말함은 또 이 혜능의 제도함이 아니다. 선지식의 마음 가운데 중생이니, 이른바 사미심(邪迷心)과 광망심(誑妄心)과 불선심(不善心)과 질투심(嫉妬心)과 악독심(惡毒心)이니, 이것들의 마음이 다 이 중생이다. 각각 모름지기 자성(自性)을 스스로 제도하는 것이 이 이름이 진실의 제도이다. 어째서 이름이 자성을 스스로 제도함인가? 곧 자심 중에 있는 사견과 번뇌와 우치의 중생을 정견(正見)을 가져 제도할 것이니, 이미 정견이 있으면 반야지(般若智)를 부려 우치미망(愚癡迷妄) 중생을 타파하여 각각 스스로 제도하되 사(邪)가 오면 정(正)으로 제도하며, 미(迷)가 오면 오(悟)로 제도하며 우(愚)가 오면 지(智)로 제도하며 악이 오면 선으로 제도할 것이니, 이와 같이 제도하는 것을 이름이 ‘진실의 제도’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가(大家)히:부처님이. 부처가.
주002)
엇뎨:어찌. 어째서. 어찌하여.
주003)
제도(濟度)호:제도함을. 제도(濟度)+오+ㅁ+.
주004)
니디:이르지. 말하지.
주005)
이리:이렇게.
주006)
닐오:이름은. 말함은.
주007)
아니라:아니다. 아니+∅(계사 어간)+라(종결어미).
주008)
닐온:이른바.
주009)
사미심(邪迷心):간사하고 미혹한 마음.
주010)
광망심(誑妄心):속이고 망령된 마음.
주011)
불선심(不善心):선(善)하지 않은 마음.
주012)
악독심(惡毒心)괘니:악독심(惡毒心)이니. 모질고 독한 마음이니. 악독심(惡毒心)+과(공동격 조사)+ㅣ(계사)+니(연결어미).
주013)
이트렛:이것들의. 이틀[是等]+에(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14)
모:모름지기.
주015)
제도(濟度)홈고:제도(濟度)함인가. 제도(濟度)+오+ㅁ+고.
주016)
중(中)엣:중(中)의. 중(中)에 있는. 중(中)+에+ㅅ.
주017)
우치(愚癡)왓:우치의. 우치+와(공동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18)
마:이미. 벌써.
주019)
이시면:있으면.
주020)
반야지(般若智):깨달음을 얻는 진실의 지혜. 깨달음의 지혜. 󰇄 prajñā.
주021)
브려:부려. 브리[使]+어.
주022)
헤텨:타파(打破)하여. 헤티+어.
주023)
사(邪):부정(不正). 사견(邪見).
주024)
오나:오거든. 오면. 오+나(과거시제 선어말어미, ‘확신’)+.
※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거/어-’ : 이미 일어난 사실을 주관적으로 확신하여 강조하는 선어말어미에 ‘-거/어-’가 있다. 어간 말음이 ‘y, r’이거나 계사 뒤에서는 -어-’로 실현되고 그 외에는 ‘-거-’로 실현된다. 자동사 ‘오다’의 어간 뒤에서는 ‘-나-’로, 타동사 뒤에서는 어말어미의 종류에 따라서는 ‘-아/어-’로 실현된다. 이들 어미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결합되면 ‘-가/아-’로 실현되고 평서형 어미 ‘-다’ 앞에서는 ‘-과-’로 실현된다.
주025)
정(正):바른 것.
주026)
미(迷):미혹한 것.
주027)
오(悟):깨달음. 아는 것.
주028)
우(愚):어리석음.
주029)
지(智):지혜.
주030)
티:같이. +이(부사화접미사).
주031)
제도(濟度)닌:제도하는 것은. 제도(濟度)+(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