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28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28


永嘉玄覺禪師ㅣ 少習經論야 精天台止觀法門더니 因看維摩經야 發明心地얫더니 偶師弟子玄策을 相訪야 與其劇談니 出言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8ㄱ

暗合諸祖커 策이 云호 仁者ㅣ 得法師 誰오 曰호 我ㅣ 聽方等經論야 各有師承고 後於維摩經에 悟佛心宗호 未有證眀者케라 策이 云호 威音王已前은 卽得이어니와 威音王已後엔 無師自悟 盡是天然外道ㅣ니라 云호 願仁者ㅣ 爲我證據라 策이 云호 我言은 輕커니와 曺溪예 有六祖大師시니 四方이 雲集야 並是受法者ㅣ니 若去則與偕行호리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8ㄴ

永嘉玄覺禪師ㅣ 져머셔 주001)
져머셔:
젊어서.
經論 주002)
경론(經論):
경(經)과 논(論). 경전과 논서(論書).
니겨 주003)
니겨:
익혀. 닉+이(사동접미사)+어.
天台止觀 주004)
천태지관(天台止觀):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智顗)의 마하지관(摩訶止觀).
法門을 精히 주005)
정(精)히:
자세히.
더니 維摩經 보 주006)
보:
봄을. 봄으로.
因야 心地 주007)
심지(心地):
마음의 본바탕. 정신.
發明 주008)
발명(發明):
1. 경사(經史)의 뜻을 깨달아 밝힘. 2. 무죄를 변명하여 밝힘. 3. 연구하여 새로운 물건이나 방법을 생각해 냄. 4. 열어서 밝게 함.
얫더니 주009)
발명(發明)얫더니:
펴 밝히고 있더니. 발명(發明)+야#+더+니.
마초아 주010)
마초아:
마침.
師ㅅ弟子 주011)
사제자(師弟子):
혜능 대사의 제자.
玄策을 서르 주012)
서르:
서로.
보아 주013)
보아:
보아.
그와  주014)
:
격렬히.
말니 주015)
말니:
말하니.
말 주016)
말:
말.
내요미 주017)
내요미:
냄이.
그기 주018)
그기:
그윽히.
諸祖 주019)
제조(諸祖):
여러 조사(祖師).
맛거늘 주020)
맛거늘:
맞거늘.
策이 닐오 仁者 주021)
인자(仁者):
어진 사람. 덕을 갖춘 사람.
得法 주022)
득법(得法):
법(法)을 득한.
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9ㄱ

누고 주023)
누고:
누구냐.
닐오 내 方等經 주024)
방등경(方等經):
대승경전(大乘經典)의 총칭.
論을 드러 주025)
드러:
들어.
各各 師承 주026)
사승(師承):
스승에게서 가르침을 받음.
잇고 後에 維摩經에 부텻 주027)
부텻:
부처의.
心宗 주028)
심종(心宗):
선(禪)의 종지(宗旨).
을 아로 證眀리 주029)
증명(證眀)리:
증명(證明)할 사람이. 증명(證明)+ㄹ#이+∅(zero 주격 조사).
업세라 주030)
업세라:
없도다. 없+에라.
策이 닐오 威音王 주031)
위음왕불(威音王佛):
〈법화경〉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에 나타나는 옛 부처의 이름. 과거 세계에 있어서의 최초의 부처.
已前은 곧 올커니와 주032)
올커니와:
옳거니와.
威音王 已後엔 스 업시 제 아닌 주033)
아닌:
안 것은. 아(‘알-’의 이형태)+ㄴ#이+ㄴ(보조사, ‘주제’).
다 이 天然外道ㅣ니라 닐오 願 仁者ㅣ 주034)
날:
나를.
爲야 證

육조법보단경언해 중:99ㄴ

據라 策이 닐오 주035)
내:
나의.
말 주036)
말:
말은.
가얍거니와 주037)
가얍거니와:
가볍거니와.
曺溪예 六祖大師ㅣ 겨시니 주038)
겨시니:
계시니.
四方이 구룸 주039)
구룸:
구름.
지픠 주040)
지픠:
모이듯.
야 다 이 法 受 주041)
수(受):
받을.
사미니 다가 가면  주042)
:
함께.
가리라

영가(永嘉) 현각(玄覺) 선사(禪師)가 젊어서 경론(經論)을 익혀 천태지관(天台止觀) 법문(法門)을 정(精)히 하더니, 유마경(維摩經) 봄으로 인(因)하여 심지(心地)를 펴 밝히고 있더니 마침 혜능 대사의 제자(弟子) 현책(玄策)을 서로 보아 그와 격렬히 말하니 말 냄이 그윽히 여러 조사(祖師)와 맞거늘 현책이 이르되 “인자(仁者)가 득법(得法)한 스승은 누구냐?” 이르되 “내가 방등경론(方等經論)을 들어 각각 사승(師承)이 있고 후(後)에 유마경에서 부처의 심종(心宗)을 알되 증명(證眀)할 사람이 없도다.” 현책이 이르되 “위음왕(威音王) 이전은 곧 옳거니와 위음왕 이후엔 스승 없이 스스로 안 것은 다 이 천연외도(天然外道)이다.” 이르되 “원(願)하건대 인자(仁者)가 나를 위하여 증거(證據)하라.” 현책이 이르되 “내 말은 가볍거니와 조계(曺溪)에 육조 대사(六祖大師)가 계시니 사방이 구름 모이듯 하여 다 이것이 법(法) 수(受)할 사람이니 만일 가면 함께 갈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머셔:젊어서.
주002)
경론(經論):경(經)과 논(論). 경전과 논서(論書).
주003)
니겨:익혀. 닉+이(사동접미사)+어.
주004)
천태지관(天台止觀):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智顗)의 마하지관(摩訶止觀).
주005)
정(精)히:자세히.
주006)
보:봄을. 봄으로.
주007)
심지(心地):마음의 본바탕. 정신.
주008)
발명(發明):1. 경사(經史)의 뜻을 깨달아 밝힘. 2. 무죄를 변명하여 밝힘. 3. 연구하여 새로운 물건이나 방법을 생각해 냄. 4. 열어서 밝게 함.
주009)
발명(發明)얫더니:펴 밝히고 있더니. 발명(發明)+야#+더+니.
주010)
마초아:마침.
주011)
사제자(師弟子):혜능 대사의 제자.
주012)
서르:서로.
주013)
보아:보아.
주014)
:격렬히.
주015)
말니:말하니.
주016)
말:말.
주017)
내요미:냄이.
주018)
그기:그윽히.
주019)
제조(諸祖):여러 조사(祖師).
주020)
맛거늘:맞거늘.
주021)
인자(仁者):어진 사람. 덕을 갖춘 사람.
주022)
득법(得法):법(法)을 득한.
주023)
누고:누구냐.
주024)
방등경(方等經):대승경전(大乘經典)의 총칭.
주025)
드러:들어.
주026)
사승(師承):스승에게서 가르침을 받음.
주027)
부텻:부처의.
주028)
심종(心宗):선(禪)의 종지(宗旨).
주029)
증명(證眀)리:증명(證明)할 사람이. 증명(證明)+ㄹ#이+∅(zero 주격 조사).
주030)
업세라:없도다. 없+에라.
주031)
위음왕불(威音王佛):〈법화경〉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에 나타나는 옛 부처의 이름. 과거 세계에 있어서의 최초의 부처.
주032)
올커니와:옳거니와.
주033)
아닌:안 것은. 아(‘알-’의 이형태)+ㄴ#이+ㄴ(보조사, ‘주제’).
주034)
날:나를.
주035)
내:나의.
주036)
말:말은.
주037)
가얍거니와:가볍거니와.
주038)
겨시니:계시니.
주039)
구룸:구름.
주040)
지픠:모이듯.
주041)
수(受):받을.
주042)
:함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