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傳香懺悔 第五

전향참회 제5

時예 大師ㅣ 見廣韶와 洎四方士庶ㅣ 騈集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9ㄱ

山中야 聽法시고 於是예 升座샤 告衆曰샤 來라 善知識아 此事 須從自性中起 於一切時예 念念自淨其心야 自修自行야 見自己法身며 見自心佛야 自度며 自戒야 始得이니 不假到此ㅣ리니 旣從遠來야 一會于此호미 皆共有緣이니 今可各各胡跪라 先爲傳自性五分法身香고 次授無相懺悔호리라

그  大師ㅣ 주001)
광(廣):
광주(廣州).
주002)
소(韶):
소주(韶州).
와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9ㄴ

方앳
주003)
사방(四方)앳:
사방에 있는. 사방의. 사방+애(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士庶 주004)
사서(士庶):
관리와 서민. 사대부와 서민.
ㅣ 山中에 모다 주005)
모다:
모이어. 몯[騈集]+아(연결어미).
듣오 주006)
듣오:
들음을. 듣(어간)+(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대격 조사).
※ 1. 객체높임(겸양) 선어말어미 : 객체높임 선어말어미 ‘--’은 모음 어미 앞에서는 어간 말음이 모음이나 유성자음(ㄴ,ㅁ,ㄹ)이면 ‘--’으로 실현되고 ‘ㄷ, ㅈ, ㅊ’이면 ‘--’으로 실현된다. 자음 어미 앞에서는 ‘--, --, --’으로 실현된다. 2. ‘’은 ‘우[w](오)’로 변화된다.
보시고 주007)
보시고:
보시고.
주008)
제:
때에.
座애 오샤 주009)
오샤:
오르시어. 오+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衆려 니샤 오라 주010)
오라:
오너라.
善知識아 이 이 주011)
이:
일은.
모로매 주012)
모로매:
모름지기.
自性 中을 브터 니러 주013)
니러:
일어나.
一切時예 念念에 그 을 주014)
을:
마음을.
주015)
제:
스스로.
조와 주016)
조와:
깨끗하게 하여. 조+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닷며 주017)
닷며:
닦으며. +며.
주018)
제:
자기의. 저의. 저+ㅣ(속격 조사).
行야 自己 法身을 보며 제  주019)
:
마음의. +ㅅ.
부텨 주020)
부텨:
부처를.
보아 제 度며 주021)
도(度)며:
제도하며.
戒야 주022)
계(戒)야:
경계하여야. 계(戒)+야(연결어미)+(보조사, ‘강세’).
올니 주023)
올니:
옳으니. 올+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20ㄱ

이 주024)
이:
여기에.
오 주025)
오:
옴을. 오+∅(선어말어미)+ㅁ+.
假借 주026)
가차(假借):
남의 도움을 빎.
주027)
가차(假借)티:
가차(假借)하지.
아니리니 주028)
아니리니:
아니하리니.
마 주029)
마:
이미. 벌써.
머리셔브터 주030)
머리셔브터:
멀리서부터. 멀(어간)+이(부사화접미사)+셔(부사격 조사, ‘시발’)+브터(용언 ‘븥+어’가 ‘조사’로 문법화한 형태).
와 이  주031)
:
함께.
모도미 주032)
모도미:
모임이. 몯+오+ㅁ+이.
주033)
다:
모두, 다.
주034)
연(緣):
인연(因緣). 서로 맺어지는 관계.
잇니 주035)
잇니:
있으니.
이제 可히 주036)
가(可)히:
가히.
各各 胡跪라 주037)
호궤(胡跪)라:
꿇어 앉으라.
몬져 주038)
몬져:
먼저.
爲야 自性 五分法身 주039)
오분법신(五分法身):
계(戒), 정(定), 혜(慧), 해탈(解脫), 해탈지견(解脫知見)이라는 다섯 법(法)을 신체로 하는 자(者).
香을 傳고 버거 주040)
버거:
다음에. 버그+어.
無相 주041)
무상(無相):
특별한 형상을 가지지 않은 것.
懺悔 심교리라 주042)
심교리라:
줄 것이다. 심기[授]+오+리+라.

제5 향과 참회를 전하다.
그 때에 대사(大師)가 광주(廣州)와 소주(韶州)와 또 사방(四方)에 있는 관리와 서민이 산중(山中)에 모여 법(法) 들음을 보시고 이에 좌(座)에 오르시어 대중에게 이르시되 “오라. 선지식아! 이 일은 모름지기 자성(自性) 중으로부터 일어나 일체시(一切時)에 염념(念念)에 그 마음을 스스로 깨끗하게 하여 스스로 닦으며 스스로 행(行)하여 자기 법신(法身)을 보며 자기 마음의 부처를 보아 스스로 제도하며 스스로 경계하여야 옳으니 여기에 옴을 가차(假借)하지 아니하리니 이미 멀리서부터 와 여기에 함께 모임이 다 연(緣)이 있으니 이제 가(可)히 각각 호궤(胡跪)하라(꿇어 앉으라). 먼저 위하여 자성(自性) 오분법신향(五分法身香)을 전하고 다음에 무상(無相) 참회를 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광(廣):광주(廣州).
주002)
소(韶):소주(韶州).
주003)
사방(四方)앳:사방에 있는. 사방의. 사방+애(처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04)
사서(士庶):관리와 서민. 사대부와 서민.
주005)
모다:모이어. 몯[騈集]+아(연결어미).
주006)
듣오:들음을. 듣(어간)+(객체높임 선어말어미)+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대격 조사).
※ 1. 객체높임(겸양) 선어말어미 : 객체높임 선어말어미 ‘--’은 모음 어미 앞에서는 어간 말음이 모음이나 유성자음(ㄴ,ㅁ,ㄹ)이면 ‘--’으로 실현되고 ‘ㄷ, ㅈ, ㅊ’이면 ‘--’으로 실현된다. 자음 어미 앞에서는 ‘--, --, --’으로 실현된다. 2. ‘’은 ‘우[w](오)’로 변화된다.
주007)
보시고:보시고.
주008)
제:때에.
주009)
오샤:오르시어. 오+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0)
오라:오너라.
주011)
이:일은.
주012)
모로매:모름지기.
주013)
니러:일어나.
주014)
을:마음을.
주015)
제:스스로.
주016)
조와:깨끗하게 하여. 조+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17)
닷며:닦으며. +며.
주018)
제:자기의. 저의. 저+ㅣ(속격 조사).
주019)
:마음의. +ㅅ.
주020)
부텨:부처를.
주021)
도(度)며:제도하며.
주022)
계(戒)야:경계하여야. 계(戒)+야(연결어미)+(보조사, ‘강세’).
주023)
올니:옳으니. 올+니.
주024)
이:여기에.
주025)
오:옴을. 오+∅(선어말어미)+ㅁ+.
주026)
가차(假借):남의 도움을 빎.
주027)
가차(假借)티:가차(假借)하지.
주028)
아니리니:아니하리니.
주029)
마:이미. 벌써.
주030)
머리셔브터:멀리서부터. 멀(어간)+이(부사화접미사)+셔(부사격 조사, ‘시발’)+브터(용언 ‘븥+어’가 ‘조사’로 문법화한 형태).
주031)
:함께.
주032)
모도미:모임이. 몯+오+ㅁ+이.
주033)
다:모두, 다.
주034)
연(緣):인연(因緣). 서로 맺어지는 관계.
주035)
잇니:있으니.
주036)
가(可)히:가히.
주037)
호궤(胡跪)라:꿇어 앉으라.
주038)
몬져:먼저.
주039)
오분법신(五分法身):계(戒), 정(定), 혜(慧), 해탈(解脫), 해탈지견(解脫知見)이라는 다섯 법(法)을 신체로 하는 자(者).
주040)
버거:다음에. 버그+어.
주041)
무상(無相):특별한 형상을 가지지 않은 것.
주042)
심교리라:줄 것이다. 심기[授]+오+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