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5


通이 再啓曰호 四智之義 可得聞乎ㅣ가 師曰샤 旣會三身면 便明四智어니 何更問耶ㅣ리오 若離三身고 別談四智면 此名이 有智오 無身也ㅣ라 卽此有智면 還成無智리라 復偈曰샤 大圓鏡智 性淸淨이오 平等性智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4ㄱ

 心無病이오 妙觀察智 見非功이오 成所作智 同圓鏡니 五八와 六七왜 果因에 轉이니 但用名言이오 無實性니라 若於轉處에 不留情면 繁興永處那伽定이리라 [〇如上轉識야 爲智也ㅣ니라 敎中에 云호 轉前五識야 爲成所作智오 轉第六識야 爲妙觀察智오 轉第七識야 爲平等性智오 轉第八識야 爲大圓鏡智라 니 雖六七은 因中에 轉며 五八은 果上애 轉나 但轉其名이나 而不轉其體也ㅣ니라]

通이 다시 오 주001)
오:
아뢰되.
四智ㅅ 주002)
사지(四智)ㅅ:
사지(四智)의.
들 주003)
들:
뜻을.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4ㄴ

주004)
어루:
가(可)히.
듣와리가 주005)
듣와리가:
듣겠습니까. 들을 수 있겠습니까. 듣++아+리++ㅅ가.
師ㅣ 니샤 마 주006)
마:
이미.
三身 알면 곧 四智 기리어니 주007)
기리어니:
밝힐 것이니. +이+ㄹ#이+어+니.
엇뎨 주008)
엇뎨:
어찌.
다시 무르리오 주009)
무르리오:
물으리오. 물을 것입니까.
다가 주010)
다가:
만일.
三身 여희오 各別히 四智 니면 주011)
니면:
말하면.
이 일후미 주012)
지(智):
지(智)가. 지(智)+∅.
잇고 몸 업소미라 주013)
업소미라:
없음이다. 없[無]+오+ㅁ+이+라.
곧 이 智 이시면 주014)
이시면:
있으면.
도혀 주015)
도혀:
도리어.
智 업소믈 일우리라 주016)
일우리라:
이룰 것이다.
다시 偈 니샤 大圓鏡智 주017)
대원경지(大圓鏡智):
4지(智)의 하나. 유루(有漏)의 제8식을 뒤쳐서 얻는 무루(無漏)의 지혜. 거울과 같이 모든 모습을 비추는 지혜.
 性이 淸淨고 平等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5ㄱ

性智
주018)
평등성지(平等性智):
(자기와 남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지혜.
매 주019)
매:
마음에. [心]+애.
업고 주020)
업고:
없고.
妙觀察智 주021)
묘관찰지(妙觀察智):
바라는 대로 자유자재로 작용하는 지혜.
 見이 功 아니오 주022)
아니오:
아니고.
成所作智 주023)
성소작지(成所作智):
행해야 할 것을 성취하는 지혜.
 圓鏡과 니 주024)
니:
같으니.
五八와 주025)
오팔(五八)와:
오팔(五八)과.
六七왜 주026)
육칠(六七)왜:
육칠(六七)이. 육칠(六七)+와+이.
果因에 옮니 주027)
옮니:
옮으니. 옮++니.
오직 名言을 고 주028)
고:
쓰고.
實性이 업스니라 주029)
업스니라:
없다. 없느니라.
다가 옮기 주030)
옮기:
옮기는.
고대 주031)
고대:
곳에. 곧[處]+애.
情을 두디 주032)
두디:
두지[留].
아니면 두위저교매 주033)
두위저교매:
자주 일어남에. 두위저기[繁興]+오+ㅁ+애.
永히 那伽定에 이시리라 주034)
이시리라:
있을 것이다.
【那伽龍이 녜 주035)
녜:
늘.
定에 이셔 주036)
이셔:
있어. 이시+어.
定 아닌 저기 주037)
저기:
적이. 적+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5ㄴ

업소 주038)
업소:
없으되.
三千大千世界옛 주039)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옛: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있는.
비 주040)
비:
비를.
아로 주041)
아로:
앎은. 알+오+ㅁ+.
無記 定이 아니라 大用 잇 定일 주042)
정(定)일:
정(定)이므로. 정(定)+이+ㄹ.
定中에셔 주043)
빗:
비의. 비+ㅅ.
나 주044)
나:
낱을. 낯+.
다 아니라 〇우희 주045)
우희:
위에. 우ㅎ+의.
識이 올마 주046)
올마:
옮아. 옮+아.
외요미 주047)
외요미:
됨과. 외+요+ㅁ+이.
니라 주048)
니라:
같다. +니+라.
敎中에 닐오 주049)
닐오:
이르되.
앏 五識이 올마 成所作智 외오 第六識이 올마 妙觀察智 외오 第七識이 올마 平等性智 외오 第八識이 올마 大圓鏡智 외다 주050)
외다:
된다.
니 비록 六과 七와 주051)
칠(七)와:
칠(七)은. 칠(七)+과+.
因中에 올며 주052)
올며:
옮으며.
五와 八와 果上애 주053)
과상(果上)애:
과상(果上)에.
올나 주054)
올나:
옮으나. 옮+나.
오직 그 일후미 올나 그 體 옮디 주055)
옮디:
옮지.
아니니라】

지통이 다시 아뢰되 “사지(四智)의 뜻을 가(可)히 들으리이까(들을 수 있겠습니까)?” 사(師)가 이르시되 “삼신(三身)을 알면 곧 사지(四智)를 밝힐 것이거니 어째서 다시 물으리오(물을 것이냐)? 만일 삼신 떠나고 각별히 사지를 말하면 이 이름이 지(智)가 있고 몸이 없음이다. 곧 이 지(智)가 있으면 도리어 지(智)가 없음을 이룰 것이다.” 다시 게(偈)를 이르시되 “대원경지(大圓鏡智)는 성(性)이 청정(淸淨)하고 평등성지(平等性智)는 마음에 병(病) 없고 묘관찰지(妙觀察智)는 견(見)이 공(功) 아니고 성소작지(成所作智)는 원경(圓鏡)과 같으니 오팔(五八)과 육칠(六七)이 과인(果因)에 옮으니 오직 명언(明言)을 쓰고 실성(實性)이 없다. 만일 옮기는 곳에 정(情)을 두지 아니하면 자주 일어남에 영원히 나가정(那伽定)에 있을 것이다.” 【나가룡(那伽龍)이 늘 정(定)에 있어 정(定) 아닌 적이 없되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있는 비를 다 앎은 무기(無記)한 정(定)이 아니다. 대용(大用) 있는 정(定)이므로 정(定) 중에서 비의 낱을 다 안다. 〇위에 식(識)이 옮아 지(智)가 됨과 같다. 교(敎) 중에 이르되 앞 오식(五識)이 옮아 성소작지가 되고 제육식(第六識)이 옮아 묘관찰지가 되고 제칠식(第七識)이 옮아 평등성지가 되고 제팔식(第八識)이 옮아 대원경지가 된다 하니, 비록 육(六)과 칠(七)은 인중(因中)에 옮으며 오(五)와 팔(八)은 과상(果上)에 옮으나 오직 그 이름이 옮으나 그 체(體)는 옮지 아니한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아뢰되.
주002)
사지(四智)ㅅ:사지(四智)의.
주003)
들:뜻을.
주004)
어루:가(可)히.
주005)
듣와리가:듣겠습니까. 들을 수 있겠습니까. 듣++아+리++ㅅ가.
주006)
마:이미.
주007)
기리어니:밝힐 것이니. +이+ㄹ#이+어+니.
주008)
엇뎨:어찌.
주009)
무르리오:물으리오. 물을 것입니까.
주010)
다가:만일.
주011)
니면:말하면.
주012)
지(智):지(智)가. 지(智)+∅.
주013)
업소미라:없음이다. 없[無]+오+ㅁ+이+라.
주014)
이시면:있으면.
주015)
도혀:도리어.
주016)
일우리라:이룰 것이다.
주017)
대원경지(大圓鏡智):4지(智)의 하나. 유루(有漏)의 제8식을 뒤쳐서 얻는 무루(無漏)의 지혜. 거울과 같이 모든 모습을 비추는 지혜.
주018)
평등성지(平等性智):(자기와 남의) 평등성을 이해하는 지혜.
주019)
매:마음에. [心]+애.
주020)
업고:없고.
주021)
묘관찰지(妙觀察智):바라는 대로 자유자재로 작용하는 지혜.
주022)
아니오:아니고.
주023)
성소작지(成所作智):행해야 할 것을 성취하는 지혜.
주024)
니:같으니.
주025)
오팔(五八)와:오팔(五八)과.
주026)
육칠(六七)왜:육칠(六七)이. 육칠(六七)+와+이.
주027)
옮니:옮으니. 옮++니.
주028)
고:쓰고.
주029)
업스니라:없다. 없느니라.
주030)
옮기:옮기는.
주031)
고대:곳에. 곧[處]+애.
주032)
두디:두지[留].
주033)
두위저교매:자주 일어남에. 두위저기[繁興]+오+ㅁ+애.
주034)
이시리라:있을 것이다.
주035)
녜:늘.
주036)
이셔:있어. 이시+어.
주037)
저기:적이. 적+이.
주038)
업소:없으되.
주039)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옛: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에 있는.
주040)
비:비를.
주041)
아로:앎은. 알+오+ㅁ+.
주042)
정(定)일:정(定)이므로. 정(定)+이+ㄹ.
주043)
빗:비의. 비+ㅅ.
주044)
나:낱을. 낯+.
주045)
우희:위에. 우ㅎ+의.
주046)
올마:옮아. 옮+아.
주047)
외요미:됨과. 외+요+ㅁ+이.
주048)
니라:같다. +니+라.
주049)
닐오:이르되.
주050)
외다:된다.
주051)
칠(七)와:칠(七)은. 칠(七)+과+.
주052)
올며:옮으며.
주053)
과상(果上)애:과상(果上)에.
주054)
올나:옮으나. 옮+나.
주055)
옮디:옮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