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22


經云샤 生滅이 滅已면 寂滅이 爲樂者 不審야다 何身이 寂滅커든 何身이 受樂이고 若色身者댄 色身滅時예 四大分散야 全然是苦ㅣ라 苦不可言樂이며 若法身이 寂滅인댄 卽同草木瓦石거니 誰當受樂이리고 又法性은 是生滅之體오 五蘊은 是生滅之用이니 一體五用이 生滅이 是常이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6ㄱ

經에 니샤 生滅 주001)
생멸(生滅):
생기(生起)와 소멸(消滅).
이 다 滅면 주002)
멸(滅)면:
없어지면.
寂滅 주003)
적멸(寂滅):
정적(靜寂). 번뇌의 불이 꺼진 마음의 궁극적 고요함.
이 樂이 외다 호 주004)
호:
함을. +오+ㅁ+.
아디 주005)
아디:
알지[審].
몯야다 주006)
몯야다:
못하였습니다.
어느 주007)
어느:
어느[何].
모미 주008)
모미:
몸[身]이.
寂滅커든 주009)
적멸(寂滅)커든:
적멸(寂滅)하거든. 적별(寂滅)+거든.
어느 모미 樂을 受리고 주010)
수(受)리고:
수(受)하겠습니까.
다가 주011)
다가:
만일[若].
色身이라 린댄 주012)
린댄:
할 것 같으면. 할진대. +ㄹ+댄.
色身 滅 주013)
멸(滅):
없어질.
주014)
:
때에. [時]+의(처격 조사).
四大 주015)
사대(四大):
일체의 물질을 구성하는 네 가지 원소, 즉 지(地), 수(水), 화(火), 풍(風). 대(大)(󰇄 mahā-bhūta)는 원소이다. 사대(四大)+∅(zero 주격 조사).
화 주016)
화:
나뉘어. 호[分]+아.
흐러 주017)
흐러:
흘러[散].
오로 주018)
오로:
온전히. 오[全]+오.
苦ㅣ라 주019)
고(苦)ㅣ라:
고(苦)이다. 고(苦)+ㅣ+라.
苦 어루 주020)
어루:
가(可)히. 넉넉히.
樂이라 니디 주021)
니디:
말하지. 이르지[言].
몯리며 주022)
몯리며:
못할 것이며. 몯+ㄹ#이+∅+며.
다가 法身이 寂滅이라 린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6ㄴ

댄 곧 草木과 瓦石 주023)
와석(瓦石):
가와와 돌. 전의되어 가치없는 것을 말한다.
거니 주024)
거니:
같으니. [同](‘-’의 ‘’가 탈락된 형태)+거니.
주025)
뉘:
누가[誰].
반기 주026)
반기:
반드시[當].
樂을 受리고 주027)
수(受)리고:
받겠습니까. 수(受)+리++ㅅ고.
 法性은 이 生滅의 體오 주028)
체(體)오:
체(體)이고. 체(體)+∅+오.
五蘊 주029)
오온(五蘊):
우리 존재의 다섯 구성 요소. 중생의 신심(身心)을 다섯으로 분석한 것.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의 다섯 가지.
은 이 生滅의 주030)
용(用):
작용. 씀.
이니  體와 다 주031)
다:
다섯[五].
用이 生滅이 이 주032)
상(常):
1. 변하거나 멸하지 않는 것. 󰇄 nitya. 2. 진리가 영원한 것. 󰇄 dhruva.
이니

“경(經)에 이르시되 ‘생멸(生滅)이 다 멸(滅)하면(없어지면) 적멸(寂滅)이 낙(樂)이 된다.’ 함을 알지 못하였습니다. 어느 몸이 적멸하거든 어느 몸이 낙을 수(受)하겠습니까? 만일 색신(色身)이라 할 것 같으면 색신(色身)이 멸(滅)할 때에 사대(四大)가 나뉘어 흘러 온전히 이 고(苦)이니, 고(苦)는 가히 낙(樂)이라고 말하지 못할 것이며 만일 법신이 적멸이라 할 것 같으면 곧 초목(草木)과 와석(瓦石)과 같으니 누가 반드시 낙(樂)을 수(受)하겠습니까?” 또 법성(法性)은 “이 생멸(生滅)의 체(體)이고 오온(五蘊)은 생멸의 용(用)이니 한 체(體)와 다섯 용(用)이 생멸이 이 상(常)이니.”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생멸(生滅):생기(生起)와 소멸(消滅).
주002)
멸(滅)면:없어지면.
주003)
적멸(寂滅):정적(靜寂). 번뇌의 불이 꺼진 마음의 궁극적 고요함.
주004)
호:함을. +오+ㅁ+.
주005)
아디:알지[審].
주006)
몯야다:못하였습니다.
주007)
어느:어느[何].
주008)
모미:몸[身]이.
주009)
적멸(寂滅)커든:적멸(寂滅)하거든. 적별(寂滅)+거든.
주010)
수(受)리고:수(受)하겠습니까.
주011)
다가:만일[若].
주012)
린댄:할 것 같으면. 할진대. +ㄹ+댄.
주013)
멸(滅):없어질.
주014)
:때에. [時]+의(처격 조사).
주015)
사대(四大):일체의 물질을 구성하는 네 가지 원소, 즉 지(地), 수(水), 화(火), 풍(風). 대(大)(󰇄 mahā-bhūta)는 원소이다. 사대(四大)+∅(zero 주격 조사).
주016)
화:나뉘어. 호[分]+아.
주017)
흐러:흘러[散].
주018)
오로:온전히. 오[全]+오.
주019)
고(苦)ㅣ라:고(苦)이다. 고(苦)+ㅣ+라.
주020)
어루:가(可)히. 넉넉히.
주021)
니디:말하지. 이르지[言].
주022)
몯리며:못할 것이며. 몯+ㄹ#이+∅+며.
주023)
와석(瓦石):가와와 돌. 전의되어 가치없는 것을 말한다.
주024)
거니:같으니. [同](‘-’의 ‘’가 탈락된 형태)+거니.
주025)
뉘:누가[誰].
주026)
반기:반드시[當].
주027)
수(受)리고:받겠습니까. 수(受)+리++ㅅ고.
주028)
체(體)오:체(體)이고. 체(體)+∅+오.
주029)
오온(五蘊):우리 존재의 다섯 구성 요소. 중생의 신심(身心)을 다섯으로 분석한 것.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의 다섯 가지.
주030)
용(用):작용. 씀.
주031)
다:다섯[五].
주032)
상(常):1. 변하거나 멸하지 않는 것. 󰇄 nitya. 2. 진리가 영원한 것. 󰇄 dhruva.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