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8


善知識아 今發四弘願了란 更與善知識으로 授無相三歸依戒호리라 善知識이 歸依覺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1ㄴ

二足尊며 歸依正離欲尊며 歸依淨衆中尊호리니 從今日去로 稱覺爲師고 更不歸依邪魔外道고 以自性三寶로 常自證明이니라

善知識아 이제 四弘誓願 發호 주001)
발(發)호:
발함을. 발(發)+오+ㅁ+.
란 주002)
란:
마칠 것 같으면. +란(연결어미).
 善知識과로 無相三歸依 주003)
삼귀의(三歸依):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에 귀의하는 것.
戒 심교리라 주004)
심교리라:
주리라. 줄 것이다.
善知識아 覺二足尊 주005)
이족존(二足尊):
양족존(兩足尊)이라고도 한다. 두 발 가진 산 것(인간, 신) 중 가장 존귀한 것, 즉 부처.
을 歸依며 正離欲尊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2ㄱ

을 歸依며 淨衆中尊 주006)
중중존(衆中尊):
여러 가지 무리(집단) 중 가장 존귀한 것, 즉 승(僧).
을 歸依호리니 오날브터 주007)
오날브터:
오늘부터. 오+ㅅ#날+브터.
가로 주008)
가로:
감으로.
覺을 닐어 주009)
닐어:
말하여. 칭(稱)하여.
스 삼고 외야 주010)
외야:
다시.
邪魔外道 주011)
사마외도(邪魔外道):
사곡(邪曲)한 악마와 외도.
歸依티 주012)
귀의(歸依)티:
귀의(歸依)하지.
마오 주013)
마오:
말고.
自性 三寶 주014)
삼보(三寶):
세 가지 보배. 불(佛), 법(法), 승(僧).
로 녜 제 證明홀디니라 주015)
증명(證明)홀디니라:
증명할 것이다. 증명(證明)+오(선어말어미)+ㄹ디니라(종결어미).
※ ‘-ㄹ디니라’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라(종결어미)’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선지식아! 이제 사홍서원 발(發)함을 마칠 것 같으면 또 선지식에게 무상삼귀의계(無相三歸依戒)를 주리라. 선지식아! 깨달으신 이족존(二足尊)에게 귀의하며 바르신 이욕존(離欲尊)에게 귀의하며 정(淨)하신 중중존(衆中尊)에게 귀의할 것이니 오늘부터 감으로 각(覺)을 말하여 스 삼고 다시 사마외도(邪魔外道)에게 귀의하지 말고 자성(自性) 삼보(三寶)로 늘 스스로 증명(證明)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발(發)호:발함을. 발(發)+오+ㅁ+.
주002)
란:마칠 것 같으면. +란(연결어미).
주003)
삼귀의(三歸依):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에 귀의하는 것.
주004)
심교리라:주리라. 줄 것이다.
주005)
이족존(二足尊):양족존(兩足尊)이라고도 한다. 두 발 가진 산 것(인간, 신) 중 가장 존귀한 것, 즉 부처.
주006)
중중존(衆中尊):여러 가지 무리(집단) 중 가장 존귀한 것, 즉 승(僧).
주007)
오날브터:오늘부터. 오+ㅅ#날+브터.
주008)
가로:감으로.
주009)
닐어:말하여. 칭(稱)하여.
주010)
외야:다시.
주011)
사마외도(邪魔外道):사곡(邪曲)한 악마와 외도.
주012)
귀의(歸依)티:귀의(歸依)하지.
주013)
마오:말고.
주014)
삼보(三寶):세 가지 보배. 불(佛), 법(法), 승(僧).
주015)
증명(證明)홀디니라:증명할 것이다. 증명(證明)+오(선어말어미)+ㄹ디니라(종결어미).
※ ‘-ㄹ디니라’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라(종결어미)’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