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4


又僧智通은 壽州安豐人이러니 初看楞伽經야 約千餘遍호 而不會三身四智야 禮師와 求解其義대 師曰샤 三身者 淸淨法身은 汝之性也ㅣ오 圓滿報身은 汝之智也ㅣ오 千百億化身은 汝之行也ㅣ니라 若離本性고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2ㄱ

別說三身면 卽名有身이오 無智라 若悟三身이 無有自性면 卽名四智菩提니라 聽吾偈라 曰샤 自性에 具三身니 發眀면 成四智니라 不離見聞緣야 超然登佛地리라 吾今에 爲汝說노니 諦信고 永無迷언 莫學馳求者의 終日說菩提어다

주001)
:
중[僧].
智通은 壽州 安豐ㅅ 사미러니 주002)
사미러니:
사람이더니. 사+이+더+니.
처 주003)
처:
처음[初].
楞伽經 주004)
능가경(楞伽經):
불경의 이름. 부처가 일찍이 능가(稜伽)에서 대승경을 설(說)하고 능가경이라고 이름하였다.
보아 주005)
보아:
보아. 보[看]+아.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2ㄴ

주006)
편(遍):
번.
期約호 주007)
기약(期約)호:
기약하되. 기약(期約)+오+.
三身 주008)
삼신(三身):
부처의 세 가지 신체.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
四智 주009)
사지(四智):
부처의 지혜로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를 말한다.
아디 주010)
아디:
알지.
몯야 師 저와 주011)
저와:
절하여.
그  아로 주012)
아로:
앎을. 알+오+ㅁ+.
求대 주013)
구(求)대:
구하니까.
師ㅣ 니샤 三身 淸淨法身 주014)
청정법신(淸淨法身):
청정으로 더러움을 떠난 법신.
주015)
네:
너의.
性이오 圓滿報身 주016)
보신(報身):
보살이 원(願)과 행(行)에 보답 받아서 얻은 불신(佛身).
 네 智오 주017)
지(智)오:
지(智)이고. 지(智)+∅(계사의 zero 형태)+오.
千百億化身 주018)
화신(化身):
부처의 삼신(三身)의 하나로, 중생을 교화 구제하고자 하여 부처 자신이 변하여 중생의 모습이 된 것을 말한다. 응신(應身)으로 한역한다. 󰇄 nirmāņa-kāya. 삼신은 법신, 보신, 응신 또는 자성신, 수용신, 변화신을 말한다.
 네 行이라 주019)
행(行)이라:
행(行)이다.
다가 本性을 여희오 주020)
여희오:
떠나고.
三身을 各別히 니면 주021)
니면:
말하면.
일후미 주022)
일후미:
이름이.
모미 주023)
모미:
몸이. 몸[身]+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3ㄱ

주024)
잇고:
있고.
업소미라 주025)
업소미라:
없음이다. 없+오+ㅁ+이+라.
다가 三身이 自性 업소믈 알면 곧 일후미 四智 菩提 주026)
보리(菩提):
󰇄 bodhi. 부처의 정각(正覺)의 지(智). 깨달음. 깨달음의 지혜.
니라 주027)
보리(菩提)니라:
보리(菩提)이다. 보리(菩提)+∅+니+라.
주028)
내:
나의.
닐오 주029)
닐오:
말함을. 닐+오+ㅁ+.
드르라 주030)
드르라:
들으라.
니샤 주031)
니샤:
이르시되.
自性에 三身이 니 주032)
니:
갖추어져 있으니. [具]+니.
기면 주033)
기면:
밝히면. +이+면.
四智 이니라 주034)
이니라:
이루어진다. 이(‘일-’[成]이 이형태)++니+라.
見聞緣을 여희디 주035)
여희디:
떠나지.
아니야 超然히 佛地 주036)
불지(佛地):
부처의 지위. 깨달음의 지위. 불과(佛果)와 불위(佛位)라고도 한다.
오리라 주037)
오리라:
오르리라. 오[超]+리+라.
내 이제 너 爲야 니노니 주038)
니노니:
말하니. 니++오+니.
셔히 주039)
셔히:
자세히[諦].
信고 永히 주040)
영(永)히:
영원히. 길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3ㄴ

업술디언 주041)
업술디언:
없을지언정.
馳求 주042)
치구(馳求):
달려 구하는.
사의 주043)
사의:
사람의. 사+의(속격 조사, ‘주어적 속격’).
져므록 주044)
져므록:
저무도록. 져므(‘져믈-’의 이형태)+록. 종일(終日).
菩提 닐오 주045)
닐오:
말함을.
호디 주046)
호디:
배우지.
마롤디어다 주047)
마롤디어다:
말 것이다.

또 중 지통(智通)은 수주(壽州) 안풍(安豐) 사람이더니, 처음 능가경(楞伽經) 보아 천여 번을 기약(期約)하되 삼신(三身)과 사지(四智)를 알지 못하여 대사께 절하여 그 뜻 앎을 구(求)하니까 대사가 이르시되 “삼신(三身)은 청정법신(淸淨法身)은 너의 성(性)이고 원만보신(圓滿報身)은 너의 지(智)이고 천백억 화신(化身)은 너의 행(行)이다. 만일 본성(本性)을 떠나고 삼신을 각별히 말하면 곧 이름이 몸이 되고 지(智)가 없음이다. 만일 삼신이 자성(自性) 없음을 알면 곧 이름이 사지(四智) 보리(菩提)이다. 나의 게(偈) 말함을 들으라.” 이르시되 “자성에 삼신이 갖추어져 있으니 펴 밝히면 사지(四智)가 이루어진다. 견문연(見聞緣)을 떠나지 아니하여 초연(超然)히 불지(佛地)에 오르리라. 내가 이제 너 위하여 말하니 자세히 신(信)하고 길이 미혹(迷惑) 없을지언정 달려 구(求)하는 사람이 저무도록 보리 말함을 배우지 말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僧].
주002)
사미러니:사람이더니. 사+이+더+니.
주003)
처:처음[初].
주004)
능가경(楞伽經):불경의 이름. 부처가 일찍이 능가(稜伽)에서 대승경을 설(說)하고 능가경이라고 이름하였다.
주005)
보아:보아. 보[看]+아.
주006)
편(遍):번.
주007)
기약(期約)호:기약하되. 기약(期約)+오+.
주008)
삼신(三身):부처의 세 가지 신체.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
주009)
사지(四智):부처의 지혜로 대원경지(大圓鏡智), 평등성지(平等性智), 묘관찰지(妙觀察智), 성소작지(成所作智)를 말한다.
주010)
아디:알지.
주011)
저와:절하여.
주012)
아로:앎을. 알+오+ㅁ+.
주013)
구(求)대:구하니까.
주014)
청정법신(淸淨法身):청정으로 더러움을 떠난 법신.
주015)
네:너의.
주016)
보신(報身):보살이 원(願)과 행(行)에 보답 받아서 얻은 불신(佛身).
주017)
지(智)오:지(智)이고. 지(智)+∅(계사의 zero 형태)+오.
주018)
화신(化身):부처의 삼신(三身)의 하나로, 중생을 교화 구제하고자 하여 부처 자신이 변하여 중생의 모습이 된 것을 말한다. 응신(應身)으로 한역한다. 󰇄 nirmāņa-kāya. 삼신은 법신, 보신, 응신 또는 자성신, 수용신, 변화신을 말한다.
주019)
행(行)이라:행(行)이다.
주020)
여희오:떠나고.
주021)
니면:말하면.
주022)
일후미:이름이.
주023)
모미:몸이. 몸[身]+이.
주024)
잇고:있고.
주025)
업소미라:없음이다. 없+오+ㅁ+이+라.
주026)
보리(菩提):󰇄 bodhi. 부처의 정각(正覺)의 지(智). 깨달음. 깨달음의 지혜.
주027)
보리(菩提)니라:보리(菩提)이다. 보리(菩提)+∅+니+라.
주028)
내:나의.
주029)
닐오:말함을. 닐+오+ㅁ+.
주030)
드르라:들으라.
주031)
니샤:이르시되.
주032)
니:갖추어져 있으니. [具]+니.
주033)
기면:밝히면. +이+면.
주034)
이니라:이루어진다. 이(‘일-’[成]이 이형태)++니+라.
주035)
여희디:떠나지.
주036)
불지(佛地):부처의 지위. 깨달음의 지위. 불과(佛果)와 불위(佛位)라고도 한다.
주037)
오리라:오르리라. 오[超]+리+라.
주038)
니노니:말하니. 니++오+니.
주039)
셔히:자세히[諦].
주040)
영(永)히:영원히. 길이.
주041)
업술디언:없을지언정.
주042)
치구(馳求):달려 구하는.
주043)
사의:사람의. 사+의(속격 조사, ‘주어적 속격’).
주044)
져므록:저무도록. 져므(‘져믈-’의 이형태)+록. 종일(終日).
주045)
닐오:말함을.
주046)
호디:배우지.
주047)
마롤디어다:말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