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3 정혜일체(定慧一體)
  • 정혜일체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혜일체 3


善知識아 道須通流ㅣ언 何以却滯리오 心不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ㄱ

住法면 道卽通流ㅣ오 心若住法면 名爲自縛이니라 若言坐不動이 是라 면 只如舍利弗이 宴坐林中얏다가 却被維摩詰의 訶 니 善知識아 又有人이 敎坐야 着心며 觀靜야 不動不起야 從此置功니 迷人이 不會야 便執成顚니라 如此者ㅣ 衆야 如是相敎니 故知大錯이니라

善知識아 道 모로매 주001)
모로매:
모름지기.
通히 주002)
통(通)히:
통하여.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ㄴ

흘룰디언 주003)
흘룰디언:
흐를지언정. 흐른다 하여도. 흘ㄹ(‘흐르-’의 이형태)+우(선어말어미)+ㄹ디언뎡(연결어미).
※ ‘-ㄹ디언뎡’은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어(선어말어미)+ㄴ뎡(연결어미)’이 연결어미로 문법화된 형태이다.
엇뎨 주004)
엇뎨:
어찌. 어째서.
도혀 주005)
도혀:
도리어.
거리리오 주006)
거리리오:
걸리리오. 거리[滯]+리+오.
미 주007)
미:
마음이. [心]+이(주격 조사).
法에 住티 주008)
주(住)티:
머무르지. 주(住)+디(연결어미).
아니면 道ㅣ 곧 通히 흐르고 미 다가 주009)
다가:
만일.
法에 住면 일후미 주010)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 조사).
주011)
제:
스스로.
요미니라 주012)
요미니라:
매임이다. +이(피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이(계사)+니(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다가 안자 주013)
안자:
앉아. 앉[坐]+아.
뮈디 주014)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
아니호미 주015)
아니호미:
아니함이.
올타 주016)
올타:
옳다고.
니면 주017)
니면:
이르면. 말하면.
舍利弗 주018)
사리불(舍利弗):
석가의 십대(十大) 제자의 한 사람. 󰇄 śāriputra.
林中 주019)
임중(林中):
숲 속.
마니 주020)
마니:
가만히.
안잿다가 주021)
안잿다가:
앉아 있다가. 앉+아(연결어미)#잇(어간)+다가(연결어미).
도혀 維摩詰 주022)
유마힐(維摩詰):
석가와 동시대(同時代)의 사람. 석가의 재세(在世) 중 비야리성(毘耶離城)의 장자(長者).
구지좀 주023)
구지좀:
꾸짖음(을). 구짖(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니봄 주024)
니봄:
입음. 닙(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니 주025)
니:
같으니. +니.
善知識아 주026)
:
또[又].
사미 주027)
사미:
사람이.
쳐 주028)
쳐:
가르쳐. 치[敎]+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ㄱ

 주029)
:
마음[心].
보며 주030)
보며:
보며. 보[着]+며.
괴외홈 주031)
괴외홈:
고요함. 괴외[靜]+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보아 주032)
보아:
보아. 보[觀]+아.
뮈디 아니며 니디 주033)
니디:
일어나지. 니[起](‘닐-’의 이형태)+디(연결어미). ※ 어간 ‘니-’는 ‘닐-’의 이형태로서 ‘닐-’의 ‘ㄹ’이 ‘ㄷ’ 앞에서 탈락된 형태이다.
아니야 이 브터 주034)
브터:
말미암아. 븥[從]+어(연결어미).
功夫 주035)
공부(功夫):
1. 일. 공역(公役). 2. 방법. 수단.
두라 주036)
두라:
두라(고). 두[置]+라.
니 迷人이 아디 몯야 주037)
곧:
곧[便].
자바 주038)
자바:
잡아. 잡[執]+아.
미쵸 주039)
미쵸:
미혹함을. 미치[顚]+오+ㅁ+.
일우니라 주040)
일우니라:
이룬다. 일(어간)+우(사동접미사)+(현재시제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
주041)
이:
이와. 이+∅(zero 비교격 조사).
 주042)
:
같은. +ㄴ.
사미 주043)
사미:
사람이.
주044)
하:
많아. 하[衆]+아.
티 주045)
티:
같이. +이.
서르 주046)
서르:
서로.
치니 그럴 주047)
그럴:
그러므로.
주048)
착(錯):
어긋남.
주049)
: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아롤디니라

선지식아! 도(道)는 모름지기 통하여 흐를지언정 어째서 도리어 걸리리오? 마음이 법(法)에 머물지 아니하면 도가 곧 통하여 흐르고 마음이 만일 법에 머물면 이름이 스스로 매임이다. 만일 앉아 움직이지 아니함이 옳다고 말하면 사리불(舍利佛)이 숲 속에 가만히 앉아 있다가 도리어 유마힐(維摩詰)의 꾸짖음을 입음과 같으니 선지식아! 또 사람이 가르쳐 앉아 마음을 보며 고요함 보아 움직이지 아니하며 일어나지 아니하여 이것으로 말미암아 공부(功夫)를 두라고(일을 삼으라고) 하니, 미혹한 사람이 알지 못하여 곧 잡아 전도(顚倒)함(미혹함)을 이룬다. 이와 같은 사람이 많아 이와 같이 서로 가르치니 그러므로 큰 착(錯)인 것을 알아야 한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로매:모름지기.
주002)
통(通)히:통하여.
주003)
흘룰디언:흐를지언정. 흐른다 하여도. 흘ㄹ(‘흐르-’의 이형태)+우(선어말어미)+ㄹ디언뎡(연결어미).
※ ‘-ㄹ디언뎡’은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어(선어말어미)+ㄴ뎡(연결어미)’이 연결어미로 문법화된 형태이다.
주004)
엇뎨:어찌. 어째서.
주005)
도혀:도리어.
주006)
거리리오:걸리리오. 거리[滯]+리+오.
주007)
미:마음이. [心]+이(주격 조사).
주008)
주(住)티:머무르지. 주(住)+디(연결어미).
주009)
다가:만일.
주010)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 조사).
주011)
제:스스로.
주012)
요미니라:매임이다. +이(피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이(계사)+니(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13)
안자:앉아. 앉[坐]+아.
주014)
뮈디:움직이지. 뮈[動]+디.
주015)
아니호미:아니함이.
주016)
올타:옳다고.
주017)
니면:이르면. 말하면.
주018)
사리불(舍利弗):석가의 십대(十大) 제자의 한 사람. 󰇄 śāriputra.
주019)
임중(林中):숲 속.
주020)
마니:가만히.
주021)
안잿다가:앉아 있다가. 앉+아(연결어미)#잇(어간)+다가(연결어미).
주022)
유마힐(維摩詰):석가와 동시대(同時代)의 사람. 석가의 재세(在世) 중 비야리성(毘耶離城)의 장자(長者).
주023)
구지좀:꾸짖음(을). 구짖(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주024)
니봄:입음. 닙(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주025)
니:같으니. +니.
주026)
:또[又].
주027)
사미:사람이.
주028)
쳐:가르쳐. 치[敎]+어.
주029)
:마음[心].
주030)
보며:보며. 보[着]+며.
주031)
괴외홈:고요함. 괴외[靜]+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
주032)
보아:보아. 보[觀]+아.
주033)
니디:일어나지. 니[起](‘닐-’의 이형태)+디(연결어미). ※ 어간 ‘니-’는 ‘닐-’의 이형태로서 ‘닐-’의 ‘ㄹ’이 ‘ㄷ’ 앞에서 탈락된 형태이다.
주034)
브터:말미암아. 븥[從]+어(연결어미).
주035)
공부(功夫):1. 일. 공역(公役). 2. 방법. 수단.
주036)
두라:두라(고). 두[置]+라.
주037)
곧:곧[便].
주038)
자바:잡아. 잡[執]+아.
주039)
미쵸:미혹함을. 미치[顚]+오+ㅁ+.
주040)
일우니라:이룬다. 일(어간)+우(사동접미사)+(현재시제 선어말어미)+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
주041)
이:이와. 이+∅(zero 비교격 조사).
주042)
:같은. +ㄴ.
주043)
사미:사람이.
주044)
하:많아. 하[衆]+아.
주045)
티:같이. +이.
주046)
서르:서로.
주047)
그럴:그러므로.
주048)
착(錯):어긋남.
주049)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