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3 정혜일체(定慧一體)
  • 정혜일체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정혜일체 2


善知識아 一行三昧者 於一切處에 行住坐臥애 常行一直心이 是也ㅣ라 如淨名經에 云샤 直心이 是道場이며 直心이 是淨土ㅣ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ㄴ

니 莫心行謟曲라 口但說直면 口說一行三昧오 不行直心이니 但行直心야 於一切法에 勿有執着이어다 迷人은 着法相야 執一行三昧야 直言호 坐不動며 妄不起心이 卽是一行三昧라 니 作此解者 卽同無情야 却是障道因緣이니라

善知識아 一行三昧 주001)
일행삼매(一行三昧):
일상삼매(一相三昧), 진여삼매(眞如三昧)라고도 한다. 마음을 하나의 행(行)에 고정시켜 닦는 삼매. 1. 진여법계(眞如法界)는 평등일상(平等一相)이라고 보고 진실(眞實) 있는 대로의 모습을 관상(觀想)하는 삼매. 2. 고요한 장소에서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가만히 부처를 떠올리는 염불삼매(念佛三昧). 3. 육조 혜능에 의하면, 일체시(一切時) 중에 있어서 행주좌와(行住坐臥), 늘 참말로 직심(直心)인 것, 일상 생활에 통하는 활발한 활동.
一切處 주002)
일체처(一切處):
1. 모든 곳. 󰇄 sarvatra. 2. 편처(遍處). 선정(禪定)의 이름.
行과 住와 坐와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ㄱ

주003)
행주좌와(行住坐臥):
행(行)은 걷는 것, 주(住)는 머무는 것, 좌(坐)는 앉는 것, 와(臥)는 자는 것. 사위의(四威儀)라고도 한다. 인간의 기거(起居) 동작의 근본을 말한다.
와애 녜 주004)
녜:
늘. 항상.
주005)
:
한[一]. 하나의.
直 주006)
직(直):
곧은.
 주007)
:
마음.
行호미 주008)
행(行)호미:
행(行)함이.
이라 주009)
이라:
이것이다. 이[是]+∅(계사 ‘이’의 zero 형태)+라(종결어미).
淨名 주010)
정명(淨名):
깨끗한 명예의 뜻. 유마(維摩)라는 이름의 한역(漢譯). 󰇄 vimalakirti.
經에 니샤 直心 주011)
직심(直心):
곧은 마음.
이 이 道場 주012)
도량(道場):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장소. 사찰 경내 또는 사찰 자체를 말한다. 우리나라 관례상 ‘도량’으로 발음한다.
이며 直心이 이 淨土 주013)
정토(淨土):
1. 번뇌를 멀리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간 부처나 보살이 사는 청정한 국토(國土). 2. 사방에 있는 극락 국토. 3. 불국토(佛國土)를 깨끗하게 하는 것.
ㅣ라 니 매 주014)
매:
마음에. [心]+애(처격 조사).
謟曲 주015)
첨곡(謟曲):
남에게 아첨하여 자기가 마음을 굽히는 것.
行티 주016)
행(行)티:
행하지. 행(行)+디.
말라 주017)
말라:
말아라. 말라. 말+라(종결어미, ‘명령형’).
이베 주018)
이베:
입에. 입[口]+에(처격 조사).
오직 주019)
오직:
오직.
주020)
직(直):
곧은 것.
니면 주021)
니면:
이르면. 말하면.
이베 一行三昧 니고 直心을 行티 몯호미니 주022)
몯호미니:
못함이니. 몯(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 어미)+이(계사)+니(연결어미).
오직 直心을 行야 一切法 주023)
일체법(一切法):
모든 법(法).
에 執着을 두디 주024)
두디:
두지. 집착하지.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ㄴ

마롤디어다 주025)
마롤디어다:
말 것이다. 말+오(선어말어미)+ㄹ디어다(종결어미).
※ ‘-ㄹ디어다’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어(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가 종결어미로 문법화된 형태이다.
迷人 주026)
미인(迷人):
미혹한 사람.
法相 주027)
법상(法相):
청정한 가르침의 특질. 진리의 특질.
着야 주028)
착(着)야:
집착하여.
一行三昧 자바 주029)
자바:
잡아. 잡+아.
바 주030)
바:
바로.
닐오 주031)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닐(‘니-’의 이형태)+오+. ※ ‘니-’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닐-’로 교체된다.
안자 뮈디 주032)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
아니며 주033)
망(妄):
허언(虛言)하는 것.
매 주034)
매:
마음에. [心]+애(처격 조사).
니왇디 주035)
니왇디:
일으키지. 니왇[起]+디.
아니호미 주036)
아니호미:
아니함이. 아니+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이(주격 조사).
주037)
곧:
곧[卽].
이 一行三昧라 니 주038)
니:
(말)하니.
주039)
해(解):
지(智). 이해(理解). 지식에 의한 이해.
짓닌 주040)
짓닌:
짓는 것은. 짓+(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제’).
無情 주041)
무정(無情):
정신 작용이 없는 것.
야 주042)
야:
같아. +야.
도혀 주043)
도혀:
도리어.
주044)
이:
이것을.
마 주045)
마:
막을. 막[障]+.
因緣이니라

선지식아! 일행삼매(一行三昧)는 모든 곳에 행(行)과 주(住)와 좌(坐)와 와(臥)에 늘 하나의 곧은 마음 행(行)함이 이것이다. 정명경(淨名經)에 이르시되 “직심(直心)이 이 도량이며 직심이 이 정토”라고 하니 마음에 첨곡(謟曲)을 행하지 말라. 입에 오직 직(直)을 이르면 입에 일행삼매를 이르고 직심(直心)을 행(行)하지 못함이니 오직 직심을 행하여 일체법(一切法)에 집착을 두지 말 것이다. 미혹한 사람은 법상(法相)에 집착하여 일행삼매를 잡아 바로 이르되 “앉아 움직이지 아니하며 망(妄)을 마음에 일으키지 아니함이 곧 이 일행삼매이다.”라고 하니, 이 이해를 짓는 것은 곧 무정(無情)과 같아서 도리어 이것이 도(道)를 막을 인연(因緣)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일행삼매(一行三昧):일상삼매(一相三昧), 진여삼매(眞如三昧)라고도 한다. 마음을 하나의 행(行)에 고정시켜 닦는 삼매. 1. 진여법계(眞如法界)는 평등일상(平等一相)이라고 보고 진실(眞實) 있는 대로의 모습을 관상(觀想)하는 삼매. 2. 고요한 장소에서 마음을 어지럽히지 않고 가만히 부처를 떠올리는 염불삼매(念佛三昧). 3. 육조 혜능에 의하면, 일체시(一切時) 중에 있어서 행주좌와(行住坐臥), 늘 참말로 직심(直心)인 것, 일상 생활에 통하는 활발한 활동.
주002)
일체처(一切處):1. 모든 곳. 󰇄 sarvatra. 2. 편처(遍處). 선정(禪定)의 이름.
주003)
행주좌와(行住坐臥):행(行)은 걷는 것, 주(住)는 머무는 것, 좌(坐)는 앉는 것, 와(臥)는 자는 것. 사위의(四威儀)라고도 한다. 인간의 기거(起居) 동작의 근본을 말한다.
주004)
녜:늘. 항상.
주005)
:한[一]. 하나의.
주006)
직(直):곧은.
주007)
:마음.
주008)
행(行)호미:행(行)함이.
주009)
이라:이것이다. 이[是]+∅(계사 ‘이’의 zero 형태)+라(종결어미).
주010)
정명(淨名):깨끗한 명예의 뜻. 유마(維摩)라는 이름의 한역(漢譯). 󰇄 vimalakirti.
주011)
직심(直心):곧은 마음.
주012)
도량(道場):불도(佛道)를 수행하는 장소. 사찰 경내 또는 사찰 자체를 말한다. 우리나라 관례상 ‘도량’으로 발음한다.
주013)
정토(淨土):1. 번뇌를 멀리하여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간 부처나 보살이 사는 청정한 국토(國土). 2. 사방에 있는 극락 국토. 3. 불국토(佛國土)를 깨끗하게 하는 것.
주014)
매:마음에. [心]+애(처격 조사).
주015)
첨곡(謟曲):남에게 아첨하여 자기가 마음을 굽히는 것.
주016)
행(行)티:행하지. 행(行)+디.
주017)
말라:말아라. 말라. 말+라(종결어미, ‘명령형’).
주018)
이베:입에. 입[口]+에(처격 조사).
주019)
오직:오직.
주020)
직(直):곧은 것.
주021)
니면:이르면. 말하면.
주022)
몯호미니:못함이니. 몯(어간)+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 어미)+이(계사)+니(연결어미).
주023)
일체법(一切法):모든 법(法).
주024)
두디:두지. 집착하지.
주025)
마롤디어다:말 것이다. 말+오(선어말어미)+ㄹ디어다(종결어미).
※ ‘-ㄹ디어다’는 ‘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계사)+어(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가 종결어미로 문법화된 형태이다.
주026)
미인(迷人):미혹한 사람.
주027)
법상(法相):청정한 가르침의 특질. 진리의 특질.
주028)
착(着)야:집착하여.
주029)
자바:잡아. 잡+아.
주030)
바:바로.
주031)
닐오:이르되. 말하되. 닐(‘니-’의 이형태)+오+. ※ ‘니-’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불규칙 활용을 하여 ‘닐-’로 교체된다.
주032)
뮈디:움직이지. 뮈[動]+디.
주033)
망(妄):허언(虛言)하는 것.
주034)
매:마음에. [心]+애(처격 조사).
주035)
니왇디:일으키지. 니왇[起]+디.
주036)
아니호미:아니함이. 아니+오(선어말어미)+ㅁ(명사형어미)+이(주격 조사).
주037)
곧:곧[卽].
주038)
니:(말)하니.
주039)
해(解):지(智). 이해(理解). 지식에 의한 이해.
주040)
짓닌:짓는 것은. 짓+(현재시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제’).
주041)
무정(無情):정신 작용이 없는 것.
주042)
야:같아. +야.
주043)
도혀:도리어.
주044)
이:이것을.
주045)
마:막을. 막[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