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7


又煩惱無邊誓願斷은 將自性般若智야 除却虛妄思想心이 是也ㅣ라 又法門無盡誓願學은 須自見性야 常行正法이 是名眞學이라 又無上佛道誓願成은 旣常能下心야 行於眞正야 離迷離覺고 常生般若야 除眞除妄면 卽見佛性리니 卽言下애 佛道成야 常念修行호미 是願力法이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0ㄴ

 煩惱ㅣ  업스니 誓願야 그초 주001)
그초:
끊음은. 긏+오+ㅁ+.
自性 般若智 가져 주002)
가져:
가져. 가지+어.
虛妄 주003)
허망(虛妄):
허망한.
혜아리 주004)
혜아리:
헤아리는. ‘사상(思想)’.
 주005)
:
마음.
더로미 주006)
더로미:
덞이. 덜+오+ㅁ+이. ‘제각(除却)’.
이라 주007)
이라:
이것이다. 이(대명사)+∅(계사의 zero 형태)+라(종결어미).
 法門이 다옴 주008)
다옴:
다함이. 다+오+ㅁ.
업스니 誓願야 호 주009)
호:
배움은.
모로매 제 見性야 녜 正法을 行호미 이 일후미 眞實ㅅ 호미라  無上佛道 誓願야 일우 주010)
일우:
이룸은.
마 주011)
마:
이미. 벌써.
녜 能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1ㄱ

을 가이 주012)
가이:
낮게. [下]++이(부사화접미사).
야 眞正을 行야 迷 여희며 주013)
각(覺):
1. 직관. 2. 깨달음의 지혜. 마음이 망념(妄念)을 떠난 상태.
여희오 주014)
여희오:
떠나고.
녜 般若 내야 주015)
내야:
내어.
眞을 덜며 妄 주016)
망(妄):
허언(虛言)하는 것.
을 덜면 곧 佛性 주017)
불성(佛性):
부처의 성질. 부처로서의 본성(本性).
을 보리니 곧 言下 주018)
언하(言下):
말이 끝나는 때. 즉시(卽時).
애 佛道 일워 주019)
일워:
이루어.
恒常 念야 修行호미 이 願力 주020)
원력(願力):
본원력(本願力), 숙원력(宿願力)의 줄임. 본원(本願)의 작용.
法이니라

또 번뇌가 가 없으니 서원하여 끊음은 자성 반야지를 가져 허망한 헤아리는 마음 덞이 이것이다. 또 법문(法門)이 다함 없으니 서원하여 배움은 모름지기 스스로 견성(見性)하여 늘 정법(正法)을 행함이 이 이름이 진실의 배움이다. 또 무상불도(無上佛道)를 서원하여 이룸은 이미 늘 능(能)히 마음을 낮게 하여(낮추어) 진정(眞正)을 행하여 미(迷)를 떠나며 각(覺)을 떠나고 늘 반야(般若)를 내어 진(眞)을 덜며 망(妄)을 덜면 곧 불성(佛性)을 보리니 곧 언하(言下)에 불도(佛道)를 이루어 항상 염(念)하여 수행함이 이 원력법(願力法)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초:끊음은. 긏+오+ㅁ+.
주002)
가져:가져. 가지+어.
주003)
허망(虛妄):허망한.
주004)
혜아리:헤아리는. ‘사상(思想)’.
주005)
:마음.
주006)
더로미:덞이. 덜+오+ㅁ+이. ‘제각(除却)’.
주007)
이라:이것이다. 이(대명사)+∅(계사의 zero 형태)+라(종결어미).
주008)
다옴:다함이. 다+오+ㅁ.
주009)
호:배움은.
주010)
일우:이룸은.
주011)
마:이미. 벌써.
주012)
가이:낮게. [下]++이(부사화접미사).
주013)
각(覺):1. 직관. 2. 깨달음의 지혜. 마음이 망념(妄念)을 떠난 상태.
주014)
여희오:떠나고.
주015)
내야:내어.
주016)
망(妄):허언(虛言)하는 것.
주017)
불성(佛性):부처의 성질. 부처로서의 본성(本性).
주018)
언하(言下):말이 끝나는 때. 즉시(卽時).
주019)
일워:이루어.
주020)
원력(願力):본원력(本願力), 숙원력(宿願力)의 줄임. 본원(本願)의 작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