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


師ㅣ 自黃梅得法샤로 回至韶州曺侯村시니 人無知者ㅣ러니 有儒士劉志略이 槽遇ㅣ 甚厚더니 志略의 有姑ㅣ 爲尼야 名이 無盡藏이러니 常誦大涅槃經커 師ㅣ 暫聽시고 卽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9ㄱ

知妙義야 遂爲解說시니 尼ㅣ 乃執卷야 問字대 師曰샤 字卽不識이어니와 義卽請問라 尼曰호 字尙不識이어니 曷能會義리오 師ㅣ 曰샤 諸佛妙理 非關文字니라 尼ㅣ 驚異之야 遍告里中耆德야 云호 此是有道之士ㅣ니 宜請供養이니라

師ㅣ 주001)
사(師)ㅣ:
혜능 대사가.
黃梅예 주002)
황매(黃梅)예:
황매(黃梅)에서.
주003)
법(法):
가르침. 부처의 가르침.
得샤로브터 주004)
득(得)샤로브터:
득(得)하심으로부터 득(得)+시+아+ㅁ+로+브터.
韶州ㅣ 주005)
소주(韶州)ㅣ:
소주(韶州)의 소주(韶州) +ㅣ(속격 조사).
曺侯村애 주006)
조후촌(曺侯村)애:
조후촌(曺侯村)에.
도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9ㄴ

오시니
주007)
도라오시니:
돌아오시니. 돌[回]+아#오+시+니.
사미 주008)
사미:
사람이.
알리 주009)
알리:
아는 이가. 알#이+∅(zero 주격 조사).
업더니 주010)
업더니:
없더니. 없었으니. 업(‘없-’의 이형태)+더(선어말어미, ‘과거’)+니.
儒士 주011)
유사(儒士):
유학(儒學)을 신봉하는 학자.
劉志畧이 禮로 待接호미 주012)
대접(待接)호미:
대접함이. 대접(待接)+오+ㅁ+이.
甚厚더니 주013)
심후(甚厚)더니:
지극히 후하더니. 심후(甚厚)+더+니.
志略의 아미 주014)
아미:
아주머니가. 아미+∅(zero 주격 조사).
주015)
:
여승. 비구니[尼].
외야 주016)
외야:
되어. 외+야.
일후미 주017)
일후미:
이름이. 일훔+이.
無盡藏이러니 주018)
무진장(無盡藏)이러니:
무진장(無盡藏)이더니. 무진장+이+러(선어말어미 ‘-더-’의 이형태)+니.
녜 주019)
녜:
늘. 항상.
大涅槃經 주020)
대열반경(大涅槃經):
석가모니의 열반을 설명하기 위해서 편찬한 불교 경전. 소승과 대승의 두 경전이 있는데, 소승은 석가모니 입멸 전후의 역사적 사실을 주로 기록한 것이며 대승은 석가모니가 입멸 직전에 설한 교의를 그 내용으로 한다.
외오거 주021)
외오거:
외우거늘. 외오[誦]+거.
師ㅣ 간 주022)
간:
잠깐[暫].
드르시고 주023)
드르시고:
들으시고. 들(‘듣-’[聽]의 이형태)+으시+고.
주024)
곧:
곧. 즉시.
妙義 주025)
묘의(妙義):
오묘한 뜻.
아라 주026)
아라:
알아. 알[知]+아.
爲야 사겨 주027)
사겨:
새겨. 사기[解]+어.
니시니 주028)
니시니:
말하시니. 니[說]+시+니.
이 卷을 자바 주029)
자바:
잡아. 잡[執]+아.
字 무른대 주030)
무른대:
물은대. 물[問](‘묻[問]’의 이형태)+ㄴ대.
師ㅣ 니샤 字 곧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0ㄱ

아디 주031)
아디:
알지.
몯거니와 주032)
몯거니와:
못하거니와.
드란 주033)
드란:
뜻은.
請야 주034)
청(請)야:
청하여. 청(請)+야.
무르라 주035)
무르라:
물으라. 물(‘묻-’의 이형태)+으라.
이 닐오 주036)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닐[曰]+오+.
字 오히려 아디 몯거니 엇뎨 주037)
엇뎨:
어찌.
能히 들 알리오 師ㅣ 니샤 諸佛 주038)
제불(諸佛):
여러 부처의.
妙理 주039)
묘리(妙理):
현묘(玄妙)한 진리.
 文字애 븓디 주040)
븓디:
상관하지. 븓[關]+디.
아니니라 주041)
아니니라:
아니한다.
이 놀라 달이 주042)
달이:
달리[異].
너겨 주043)
너겨:
여겨. 너기+어.
里中엣 주044)
이중(里中)엣:
마을 중의. 마을 중에 있는. 이중(里中)+에+ㅅ.
耆德 주045)
기덕(耆德):
노성(老成)하여 덕이 높은 사람.
려 주046)
려:
-에게.
너비 주047)
너비:
널리. 넙[遍]+이.
告야 닐오 이 道 잇 士 주048)
사(士):
선비. 사람.
ㅣ니 請야 供養호미 주049)
공양(供養)호미:
공양함이. 공양(供養)+오+ㅁ+이.
맛니라 주050)
맛니라:
마땅하다. 마땅한 것이다. 맛+ㄴ#이+∅+라.

제6. 참청(參請) 주051)
참청(參請):
스승을 찾아 뵙고 질문하고 그의 가르침을 청하는 것.
기연(機緣) 주052)
기연(機緣):
시기인연(時機因緣)의 줄임. 동기(動機)든지 기회(機會)의 뜻.
.
혜능 대사가 황매(黃梅) 주053)
황매(黃梅):
산 이름. 호북성(湖北省) 황매현(黃梅縣)의 서북에 있다. 〈육조법보단경언해〉 서(序)에 ‘黃梅 五祖ㅅ 道場이라’(序 4ㄴ)라는 주석이 있다.
에서 법(法)을 득하심으로부터 소주(韶州) 주054)
소주(韶州):
주(州) 이름. 당나라 때 설치함. 광동성(廣東省) 곡강현(曲江縣)의 서쪽에 있다.
조후촌(曺侯村)에 돌아오시니 사람이 아는 이가 없더니(없었으니) 유사(儒士) 유지략(劉志畧)이 예(禮)로 대접함이 심후(甚厚)하더니 지략(志略)의 아주머니가 여승이 되어 이름이 무진장(無盡藏)이더니 늘 대열반경(大涅槃經)을 외우거늘 대사가 잠깐 들으시고 곧 묘의(妙義)를 알아 위하여 새겨 말하시니 여승이 권(卷)을 잡아 자(字)를 물은대 대사가 이르시되 “자(字)는 곧 알지 못하거니와 뜻은 곧 청(請)하여 물으라.” 여승이 이르되 “자를 오히려 알지 못하거니 어찌 능히 뜻을 알겠는가?” 대사가 이르시되 “여러 부처의 현묘한 진리는 문자(文字)에 상관하지 아니한다.” 여승이 놀라 달리 여겨 이중(里中)에 있는 기덕(耆德)에게 널리 고(告)하여 이르되 “이는 도(道) 있는 사(士)이니 청(請)하여 공양함이 마땅한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師)ㅣ:혜능 대사가.
주002)
황매(黃梅)예:황매(黃梅)에서.
주003)
법(法):가르침. 부처의 가르침.
주004)
득(得)샤로브터:득(得)하심으로부터 득(得)+시+아+ㅁ+로+브터.
주005)
소주(韶州)ㅣ:소주(韶州)의 소주(韶州) +ㅣ(속격 조사).
주006)
조후촌(曺侯村)애:조후촌(曺侯村)에.
주007)
도라오시니:돌아오시니. 돌[回]+아#오+시+니.
주008)
사미:사람이.
주009)
알리:아는 이가. 알#이+∅(zero 주격 조사).
주010)
업더니:없더니. 없었으니. 업(‘없-’의 이형태)+더(선어말어미, ‘과거’)+니.
주011)
유사(儒士):유학(儒學)을 신봉하는 학자.
주012)
대접(待接)호미:대접함이. 대접(待接)+오+ㅁ+이.
주013)
심후(甚厚)더니:지극히 후하더니. 심후(甚厚)+더+니.
주014)
아미:아주머니가. 아미+∅(zero 주격 조사).
주015)
:여승. 비구니[尼].
주016)
외야:되어. 외+야.
주017)
일후미:이름이. 일훔+이.
주018)
무진장(無盡藏)이러니:무진장(無盡藏)이더니. 무진장+이+러(선어말어미 ‘-더-’의 이형태)+니.
주019)
녜:늘. 항상.
주020)
대열반경(大涅槃經):석가모니의 열반을 설명하기 위해서 편찬한 불교 경전. 소승과 대승의 두 경전이 있는데, 소승은 석가모니 입멸 전후의 역사적 사실을 주로 기록한 것이며 대승은 석가모니가 입멸 직전에 설한 교의를 그 내용으로 한다.
주021)
외오거:외우거늘. 외오[誦]+거.
주022)
간:잠깐[暫].
주023)
드르시고:들으시고. 들(‘듣-’[聽]의 이형태)+으시+고.
주024)
곧:곧. 즉시.
주025)
묘의(妙義):오묘한 뜻.
주026)
아라:알아. 알[知]+아.
주027)
사겨:새겨. 사기[解]+어.
주028)
니시니:말하시니. 니[說]+시+니.
주029)
자바:잡아. 잡[執]+아.
주030)
무른대:물은대. 물[問](‘묻[問]’의 이형태)+ㄴ대.
주031)
아디:알지.
주032)
몯거니와:못하거니와.
주033)
드란:뜻은.
주034)
청(請)야:청하여. 청(請)+야.
주035)
무르라:물으라. 물(‘묻-’의 이형태)+으라.
주036)
닐오:이르되. 말하되. 닐[曰]+오+.
주037)
엇뎨:어찌.
주038)
제불(諸佛):여러 부처의.
주039)
묘리(妙理):현묘(玄妙)한 진리.
주040)
븓디:상관하지. 븓[關]+디.
주041)
아니니라:아니한다.
주042)
달이:달리[異].
주043)
너겨:여겨. 너기+어.
주044)
이중(里中)엣:마을 중의. 마을 중에 있는. 이중(里中)+에+ㅅ.
주045)
기덕(耆德):노성(老成)하여 덕이 높은 사람.
주046)
려:-에게.
주047)
너비:널리. 넙[遍]+이.
주048)
사(士):선비. 사람.
주049)
공양(供養)호미:공양함이. 공양(供養)+오+ㅁ+이.
주050)
맛니라:마땅하다. 마땅한 것이다. 맛+ㄴ#이+∅+라.
주051)
참청(參請):스승을 찾아 뵙고 질문하고 그의 가르침을 청하는 것.
주052)
기연(機緣):시기인연(時機因緣)의 줄임. 동기(動機)든지 기회(機會)의 뜻.
주053)
황매(黃梅):산 이름. 호북성(湖北省) 황매현(黃梅縣)의 서북에 있다. 〈육조법보단경언해〉 서(序)에 ‘黃梅 五祖ㅅ 道場이라’(序 4ㄴ)라는 주석이 있다.
주054)
소주(韶州):주(州) 이름. 당나라 때 설치함. 광동성(廣東省) 곡강현(曲江縣)의 서쪽에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