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34


方辯이 遠來호다 願見我師ㅅ 傳來衣鉢노다 師ㅣ 乃出示시고 次問샤 上人은 攻何事業다 方辯이 曰호 善塑노다 師ㅣ 正色曰샤 汝試塑看라 方辯이 罔措야 數日에 塑就眞相호 可高七寸야 曲盡其妙야 呈似師대 師ㅣ 笑曰샤 汝 只解塑性고 不解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10ㄱ

佛性놋다 師ㅣ 舒手샤 摩方辯頂시고 曰샤 永爲人天福田라 시다

方辯이 머리셔 주001)
머리셔:
멀리서.
오다 주002)
오다:
옵니다. 오+∅(선어말어미)++다. ※ 선어말어미 ‘-오-’의 비실현으로 인해 보상적 장음화가 일어나 어간 ‘오-’의 성조가 상성이 된다.
願 우리 주003)
우리:
우리.
師ㅅ 주004)
사(師)ㅅ:
달마 대사의. 사(師)+ㅅ.
傳야 오시 주005)
오시:
오시는.
衣鉢 주006)
의발(衣鉢):
가사와 바리떼.
보고져 주007)
보고져:
보고자. 보++고져.
노다 주008)
노다:
합니다. ++오++다.
師ㅣ 주009)
사(師)ㅣ:
혜능 대사가.
내야 주010)
내야:
내어.
뵈시고 주011)
뵈시고:
보이시고.
버거 주012)
버거:
다음에.
무르샤 주013)
무르샤:
물으시되.
上人 주014)
상인(上人):
1. 지덕(智德)을 갖춘 고승(高僧). 2. 승려에 대한 경칭.
므슷 주015)
므슷:
무슨.
이 주016)
이:
일을. 일[事業]+.
다 주017)
다:
하느냐.
方辯이 닐오 주018)
소(塑):
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신불(神佛)의 형체.
셰기 주019)
셰기:
세우기를. 셔+ㅣ(사동 접미사)+기(명사형어미)+.
이대 주020)
이대:
잘.
노다 塑# 주021)
소상(塑像):
흙으로 만든 부처나 보살 등의 상(像).
 부텻 塑 셰기라 주022)
셰기라:
세우기다.
師ㅣ 正色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10ㄴ

시고 니샤 주023)
네:
네가.
아마커나 주024)
아마커나:
아무렇거나.
셰여 주025)
셰여:
세워.
뵈라 주026)
뵈라:
보이라.
方辯이 罔措 주027)
망조(罔措):
창망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허둥지둥함. 망지소조(罔知所措)의 줄임.
야 【罔措 둘 주028)
:
데. 곳.
모 주029)
모:
모를, 모르는.
시니 주030)
시니:
것이니.
손발 둘  모 시라】
두 주031)
두:
두어.
나래 주032)
나래:
날에. 날[日]+애.
眞相 주033)
진상(眞相):
사물의 참된 모습. 실상(實相). 본체(本體).
을 塑 로 주034)
로:
만들되.
어루 주035)
어루:
가(可)히.
노 주036)
노:
높이가. 높[高]+(명사화접미사)+∅(zero 주격 조사).
七寸만 야 그 주037)
묘(妙):
묘함.
曲盡 주038)
곡진(曲盡):
1. 마음과 힘을 다함. 2. 자세히 다함.
야 師 주039)
사(師):
혜능 대사께.
呈대 주040)
정(呈)대:
바치니까. 바친즉.
師ㅣ 우시고 주041)
우시고:
웃으시고. +으시+고.
니샤 너 주042)
너:
너는.
오직 塑性 주043)
소성(塑性):
소의 성질.
알오 주044)
알오:
알고. 알[解]+오(‘-고’의 ‘ㄱ’이 약화되어 유성 후두 마찰음[ɦ]이 된다.)
佛性을 아디 주045)
아디:
알지. 아(‘알-’의 이형태)+디.
몯놋다 주046)
몯놋다:
못하는구나. 못하도다.
師ㅣ 소 주047)
소:
손을.
펴샤 주048)
펴샤:
펴시어. 펴[舒]+시+아.
方辯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11ㄱ

바길 주049)
바길:
정수리를. 뎡바기[頂]+ㄹ(대격 조사).
니시고 주050)
니시고:
만지시고. 니[摩]+시+고.
니샤 永히 주051)
영(永)히:
길이.
人天福田 주052)
복전(福田):
복덕(福德)을 낳는 밭. 사람들이 공덕을 심는 장소.
외라 주053)
외라:
되라.
시다 【人天福田 羅漢이라 授記 시라】

방변(方辯)이 멀리서 옵니다. 원하건대 우리 달마 대사의 전(傳)하여 오시는 의발(衣鉢)을 보고자 합니다. 혜능 대사가 내어 보이시고 다음에 물으시되 “상인(上人)은 무슨 일을 하느냐?” 방변이 이르되 “소(塑) 세우기를 잘 합니다.” 【소(塑)는 부처의 소 세움이다.】 대사가 정색(正色)하시고 이르시되 “네가 아무렇거나 소 세워 보이라.” 방변이 망조(罔措)하여 【망조는 둘 데 모르는 것이니 손발 둘 데를 모르는 것이다.】 두어 날에 진상(眞相)을 소(塑) 만들되 가(可)히 높이가 칠촌(七寸)만 하여 그 묘(妙)를 곡진(曲盡)히 하여 혜능 대사께 바치니까 대사가 웃으시고 이르시되 “너는 오직 소성(塑性)을 알고 불성(佛性)을 알지 못하는구나.” 대사가 손을 펴시어 방변의 정수리를 만지시고 이르시되 “길이 인간과 천상(天上)의 복전(福田)이 되라.” 하시다. 【인천복전은 나한(羅漢)이라고 수기(授記)하는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리셔:멀리서.
주002)
오다:옵니다. 오+∅(선어말어미)++다. ※ 선어말어미 ‘-오-’의 비실현으로 인해 보상적 장음화가 일어나 어간 ‘오-’의 성조가 상성이 된다.
주003)
우리:우리.
주004)
사(師)ㅅ:달마 대사의. 사(師)+ㅅ.
주005)
오시:오시는.
주006)
의발(衣鉢):가사와 바리떼.
주007)
보고져:보고자. 보++고져.
주008)
노다:합니다. ++오++다.
주009)
사(師)ㅣ:혜능 대사가.
주010)
내야:내어.
주011)
뵈시고:보이시고.
주012)
버거:다음에.
주013)
무르샤:물으시되.
주014)
상인(上人):1. 지덕(智德)을 갖춘 고승(高僧). 2. 승려에 대한 경칭.
주015)
므슷:무슨.
주016)
이:일을. 일[事業]+.
주017)
다:하느냐.
주018)
소(塑):토우(土偶). 흙으로 만든 사람이나 신불(神佛)의 형체.
주019)
셰기:세우기를. 셔+ㅣ(사동 접미사)+기(명사형어미)+.
주020)
이대:잘.
주021)
소상(塑像):흙으로 만든 부처나 보살 등의 상(像).
주022)
셰기라:세우기다.
주023)
네:네가.
주024)
아마커나:아무렇거나.
주025)
셰여:세워.
주026)
뵈라:보이라.
주027)
망조(罔措):창망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허둥지둥함. 망지소조(罔知所措)의 줄임.
주028)
:데. 곳.
주029)
모:모를, 모르는.
주030)
시니:것이니.
주031)
두:두어.
주032)
나래:날에. 날[日]+애.
주033)
진상(眞相):사물의 참된 모습. 실상(實相). 본체(本體).
주034)
로:만들되.
주035)
어루:가(可)히.
주036)
노:높이가. 높[高]+(명사화접미사)+∅(zero 주격 조사).
주037)
묘(妙):묘함.
주038)
곡진(曲盡):1. 마음과 힘을 다함. 2. 자세히 다함.
주039)
사(師):혜능 대사께.
주040)
정(呈)대:바치니까. 바친즉.
주041)
우시고:웃으시고. +으시+고.
주042)
너:너는.
주043)
소성(塑性):소의 성질.
주044)
알오:알고. 알[解]+오(‘-고’의 ‘ㄱ’이 약화되어 유성 후두 마찰음[ɦ]이 된다.)
주045)
아디:알지. 아(‘알-’의 이형태)+디.
주046)
몯놋다:못하는구나. 못하도다.
주047)
소:손을.
주048)
펴샤:펴시어. 펴[舒]+시+아.
주049)
바길:정수리를. 뎡바기[頂]+ㄹ(대격 조사).
주050)
니시고:만지시고. 니[摩]+시+고.
주051)
영(永)히:길이.
주052)
복전(福田):복덕(福德)을 낳는 밭. 사람들이 공덕을 심는 장소.
주053)
외라:되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