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16


迷人은 修福고 不修道야 只言修福이 便是道ㅣ라 니 布施供養야 福無邊이나 心中三惡은 元來造ㅣ니라 擬將修福야 欲滅罪ㄴ댄 後世예 得福야도 罪還在리라 但向心中야 除罪緣이면 各自性中에 眞懺悔니라 忽悟大乘眞懺悔면 除邪行正야 卽無罪리라 學道 常於自性觀이니 卽與諸佛와 同一類ㅣ리라 吾祖ㅣ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6ㄱ

惟傳此頓法샤 普願見性同一體시니 若欲當來覓法身인댄 離諸法相고 心中洗니라 努力야 自見고 莫悠悠라 後念이 忽絶면 一世休리라 若悟大乘야 得見性인댄 處恭合掌야 至心求ㅣ니라

迷人 福을 닷고 주001)
닷고:
닦[修]고.
道 닷디 주002)
닷디:
닦[修]지.
아니야 오직 福 닷고미 주003)
닷고미:
닦음[修]이. +오+ㅁ+이.
곧 이 道도ㅣ라 니니 布施며 供養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6ㄴ

福이  업스나 心中엣 주004)
심중(心中)엣:
마음 속에 있는. 심중(心中)+에+ㅅ.
三惡 주005)
삼악(三惡):
삼악도(三惡道)의 줄임.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본 주006)
본:
원래(元來). 본디.
짓니라 福 닷고 가져 罪 滅코져 홀딘댄 後世예 福을 得야도 罪 도혀 주007)
도혀:
도리어. 오히려.
이시리라 주008)
이시리라:
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오직 心中을 向야 罪緣을 덜면 各各 自性 中에 眞實 懺悔니라 믄득 大乘 眞懺悔 알면 邪 덜오 正을 行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7ㄱ

야 곧 罪 업스리라 道 호리 주009)
호리:
배우는 것은. 호+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제’).
녜 自性에 볼디니 곧 諸佛와  類ㅣ 리라 우리 祖師ㅣ 오직 이 頓法 주010)
돈법(頓法):
돈오(頓悟)를 설명하는 가르침.
을 傳샤 너비 願호 見性야  주011)
체(體):
체(體)가. 체(體)+∅.
고져 주012)
고져:
같고자. +고져(연결어미).
시니 다가 當來예 주013)
당래(當來)예:
장차. 앞으로.
法身을 얻고져 홀딘댄 모 주014)
모:
여러. 모든.
法相을 여희오 心中을 시술디니라 주015)
시술디니라:
씻어야 할 것이다. 싯+우(선어말어미)+ㄹ디니라(종결어미).
※ ‘-ㄹ디니라’는 ‘싯+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ㅣ(계사)+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힘 주016)
힘:
힘써.
제 보고 悠悠티 주017)
유유(悠悠)티:
어지럽지.

육조법보단경언해 중:47ㄴ

【悠悠 어즐 주018)
어즐:
어지러울.
시라 주019)
시라:
것이다. +ㅣ+라.
後念이 믄득 그츠면 주020)
그츠면:
끊어지면. 긏+으면.
一世ㅣ 말리라 다가 大乘을 아라 見性을 得홀딘댄 精誠으로 合掌야 至心 주021)
지심(至心):
진심. 지정(至情).
으로 求홀디니라 주022)
구(求)홀디니라:
구해야 할 것이다. 구(求)+오+ㄹ#+ㅣ+니+라.

미혹한 사람은 복을 닦고 도(道)를 닦지 아니하여 오직 복 닦음이 곧 이 도라고 말하니 보시하며 공양하여 복이 가 없으나 심중(心中)에 있는 삼악(三惡)은 원래 짓는 것이다. 복 닦음을 가져 죄를 없애고자 할 것 같으면 후세(後世)에 복을 얻어도 죄는 도리어 있을 것이다. 오직 심중을 향하여 죄연(罪緣)을 덜면 각각 자성(自性) 중에 진실한 참회이다. 문득 대승(大乘)의 진참회(眞懺悔)를 알면 사(邪)를 덜고 정(正)을 행하여 곧 죄가 없을 것이다. 도(道) 배우는 것은 늘 자성에 볼 것이니 곧 제불(諸佛)과 한 유(類)가 같을 것이다(동일한 유(類)이다). 우리 조사(祖師)가 오직 이 돈법(頓法)을 전(傳)하시어 널리 원하되 견성(見性)하여 한 체(體)가 같고자(동일한 체이고자) 하시니 만일 장차 법신(法身)을 얻고자 할 것 같으면 여러 법상(法相)을 떠나고 심중을 씻어야 할 것이다. 힘써 스스로 보고 유유(悠悠)하지 말라.【유유는 어지러운(어지럽다는) 것이다.】 후념(後念)이 문득 끊어지면 일세(一世)가 말리라. 만일 대승(大乘)을 알아 견성을 득할 것 같으면 정성으로 합장하여 지심(至心)으로 구해야 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닷고:닦[修]고.
주002)
닷디:닦[修]지.
주003)
닷고미:닦음[修]이. +오+ㅁ+이.
주004)
심중(心中)엣:마음 속에 있는. 심중(心中)+에+ㅅ.
주005)
삼악(三惡):삼악도(三惡道)의 줄임.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주006)
본:원래(元來). 본디.
주007)
도혀:도리어. 오히려.
주008)
이시리라:있을 것이다. 이시[有]+리+라.
주009)
호리:배우는 것은. 호+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제’).
주010)
돈법(頓法):돈오(頓悟)를 설명하는 가르침.
주011)
체(體):체(體)가. 체(體)+∅.
주012)
고져:같고자. +고져(연결어미).
주013)
당래(當來)예:장차. 앞으로.
주014)
모:여러. 모든.
주015)
시술디니라:씻어야 할 것이다. 싯+우(선어말어미)+ㄹ디니라(종결어미).
※ ‘-ㄹ디니라’는 ‘싯+우(선어말어미)+ㄹ(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ㅣ(계사)+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주016)
힘:힘써.
주017)
유유(悠悠)티:어지럽지.
주018)
어즐:어지러울.
주019)
시라:것이다. +ㅣ+라.
주020)
그츠면:끊어지면. 긏+으면.
주021)
지심(至心):진심. 지정(至情).
주022)
구(求)홀디니라:구해야 할 것이다. 구(求)+오+ㄹ#+ㅣ+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