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1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6ㄱ

達이 聞偈고 不覺애 悲泣고 言下애 大悟야 而告師曰호 法達은 從昔已來로 實未曾轉法華고 乃被法華轉다다 再啓曰호 經云샤 諸大聲聞과 乃至菩薩이 皆盡思共度量야도 不能測佛智라 시니 今令凡夫로 但悟自心면 便名佛之知見이라 시니 自非上根이면 未免疑謗이로소다

達이 偈 듣고 주001)
듣고:
듣고. 들으시고. 듣++고.
不覺 주002)
불각(不覺):
깨닫지 못하는 것.
슬허 주003)
슬허:
슬퍼하여. 슳[悲]+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6ㄴ

주004)
울오:
울고. 울[泣]+오.
言下애 주005)
키:
크게. 크+ㅣ.
아라 주006)
아라:
알아.
師 주007)
사(師):
혜능 대사께.
告야 오 주008)
오:
아뢰되. [告]++.
法達은 녜브터 주009)
녜브터:
옛날부터.
오로 주010)
오로:
옮으로. 오+ㅁ+로.
實로 간도 法華 옮기디 몯고 法華의 옮교 주011)
옮교:
옮김을. 옮+기+오+.
닙다다 주012)
닙다다:
입었습니다. 닙+다+다.
※ ‘-다’는 ‘++다’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다시 오 주013)
오:
아뢰되.
經에 니샤 諸大聲聞과 菩薩애 니르리 주014)
니르리:
이르도록.
야 주015)
야:
생각하여. [思]+야.
모다 주016)
모다:
모두.
혜아려도 주017)
혜아려도:
헤아려도. 혜아리[度量]+어도.
能히 佛智 주018)
불지(佛智):
부처의 지혜.
測量티 주019)
측량(測量)티:
측량(測量)하지. 측량(測量)+디.
몯리라 시니 이제 凡夫로 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7ㄱ

직 自心을 알면 곧 일후미 주020)
일후미:
이름이.
부텻 知見이라 시니 제 上根 주021)
상근(上根):
기근(機根)이 뛰어난 자.
아니면 疑心야 誹謗을 免티 몯리로소다 주022)
몯리로소다:
못할 것입니다.

법달이 게(偈)를 듣고 불각
(不覺 깨닫지 못하는 것)
에 슬퍼하여 울고 언하(言下)에 크게 알아 혜능 대사께 고하여 아뢰되 “법달은 옛날부터 이제까지 실로 잠깐도 법화(法華)를 옮기지 못하고 법화의 옮김을 입었습니다.” 다시 아뢰되 “경(經)에 이르시되 대성문(大聲聞)들과 보살(菩薩)에 이르도록 다 생각하여 모두 헤아려도 능히 불지(佛智)를 측량하지 못하리라 하시니 이제 범부로 하여금 오직 자심(自心)을 알면 곧 이름이 부처의 지견이라 하시니, 스스로 상근(上根) 아니면 의심하여 비방을 면치 못할 것입니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듣고:듣고. 들으시고. 듣++고.
주002)
불각(不覺):깨닫지 못하는 것.
주003)
슬허:슬퍼하여. 슳[悲]+어.
주004)
울오:울고. 울[泣]+오.
주005)
키:크게. 크+ㅣ.
주006)
아라:알아.
주007)
사(師):혜능 대사께.
주008)
오:아뢰되. [告]++.
주009)
녜브터:옛날부터.
주010)
오로:옮으로. 오+ㅁ+로.
주011)
옮교:옮김을. 옮+기+오+.
주012)
닙다다:입었습니다. 닙+다+다.
※ ‘-다’는 ‘++다’가 문법화된 형태이다.
주013)
오:아뢰되.
주014)
니르리:이르도록.
주015)
야:생각하여. [思]+야.
주016)
모다:모두.
주017)
혜아려도:헤아려도. 혜아리[度量]+어도.
주018)
불지(佛智):부처의 지혜.
주019)
측량(測量)티:측량(測量)하지. 측량(測量)+디.
주020)
일후미:이름이.
주021)
상근(上根):기근(機根)이 뛰어난 자.
주022)
몯리로소다:못할 것입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