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5 전향참회(傳香懺悔)
  • 전향참회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전향참회 9


勸善知識야 歸依自性三寶호리니 佛者 覺也ㅣ오 法者 正也ㅣ오 僧者 淨也ㅣ니 自心에 歸依覺면 邪迷ㅣ 不生고 少欲知足야 能離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2ㄴ

財色면 名二足尊이오 自心에 歸依正면 念念에 無邪見리니 以無邪見故로 卽無人我貢高와 貪愛執着리니 名離欲尊이오 自心에 歸依淨면 一切塵勞와 愛欲境界예 自性이 皆不染着리니 名衆中尊이니라 若修此行면 是自歸依어 凡夫ㅣ 不會야 從日至夜히 受三歸戒니 若言호 歸依佛은 佛在何處오 若不見佛면 憑何所歸리오 야 言却成妄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3ㄱ

善知識을 勸야 自性三寶 歸依케 호리니 佛은 覺이오 法은 正이오 僧은 淨이니 自心에 歸依覺면 邪迷ㅣ 나디 아니고 欲이 져거 주001)
져거:
적어[少].
足 아라 能히 財色 주002)
재색(財色):
재물과 여색(女色).
을 여희면 일후미 二足尊이오 自心에 歸依正면 念念에 邪見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3ㄴ

업스리니 邪見 업슨 젼로 주003)
젼로:
까닭으로.
人我 주004)
인아(人我):
개인 존재로서의 나.
와 貢高와 【貢高 노 주005)
노:
높은. 높+.
야 게 주006)
게:
남에게. +게(여격 조사).
바틸 주007)
바틸:
바칠. 바티+ㄹ(관형사형어미).
시라 주008)
시라:
것이다. +ㅣ+라.
貪愛와 執着괘 주009)
집착(執着)괘:
집착이. 집착+과(공동격 조사)+ㅣ(주격 조사).
업스리니 일후미 離欲尊이오 自心에 歸依淨면 一切 塵勞와 愛欲境界예 自性이 다 染着 주010)
염착(染着):
속세에 물들어 집착함.
디 아니리니 일후미 衆中尊이니라 다가 이 行을 닷면 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34ㄱ

歸依호미어 주011)
귀의(歸依)호미어:
귀의함이거늘. 귀의(歸依)+오+ㅁ+이+어.
※‘-어’은 ‘어(선어말어미, ‘-거-’의 이형태) ‘확신’)+(연결어미)’이 문법화된 형태이다.
凡夫ㅣ 주012)
범부(凡夫)ㅣ:
범부(凡夫)가.
아디 주013)
아디:
알지.
몯야 주014)
몯야:
못하여.
낫브터 주015)
낫브터:
낮부터, 낫(‘낮’의 팔종성 표기법)+브터.
바 주016)
바:
밤에. 밤+(처격 조사).
니르리 주017)
니르리:
이르도록.
三歸 주018)
삼귀(三歸):
삼귀의(三歸依).
戒 受니 주019)
수(受)니:
수(受)하니. 받으니.
다가 주020)
다가:
만일.
닐오 주021)
닐오:
이르되.
부텨 歸依호 주022)
귀의(歸依)호:
귀의(歸依)함은.
부톄 주023)
부톄:
부처가. 부처께서. 부텨+ㅣ(주격 조사).
어느 고대 주024)
고대:
곳에. 곧+애(처격 조사).
잇뇨 주025)
잇뇨:
있는가.
다가 부텨 보디 몯면 어듸브터 주026)
어듸브터:
어디에 의거하여.
가료 주027)
가료:
가리오. 가겠는가. 가+리+오(의문형어미).
야 마리 주028)
마리:
말이. 말[言]+이(주격 조사).
도혀 주029)
도혀:
도리어.
妄이 이니 주030)
이니:
되니. 이루어지니. 이(‘일-’의 이형태)++니.

선지식에게 권(勸)하여 자성(自性) 삼보(三寶)에 귀의(歸依)하게 하리니, 불(佛)은 각(覺)이고, 법(法)은 정(正)이고, 승(僧)은 청정이니, 자심(自心)에 귀의각(歸依覺)하면 사미(邪迷)가 나지(생기지) 아니하고, 욕심이 적어 족함을 알아 능히 재색(財色)을 멀리 하면 이름이 이족존(二足尊)이고, 자심에 귀의정(歸依正)하면 염념(念念)에 사견(邪見)이 없으리니, 사견 없는 까닭에 곧 인아(人我)와 공고(貢高)와 【공고는 높은 양하여 남에게 바치는 것이다】 탐애(貪愛)와 집착이 없으리니 이름이 이욕존(離欲尊)이고, 자심에 귀의정(歸依淨)하면 일체의 진로(塵勞)와 애욕(愛欲) 경계에 자성이 다 염착하지(속세에 물들어 집착하지) 아니하리니, 이름이 중중존(衆中尊)이다. 만일 이 행(行)을 닦으면 이것이 스스로 귀의함이거늘 범부가 알지 못하여 낮부터 밤에 이르도록 삼귀계(三歸戒)를 받으니, 만일 이르되 부처께 귀의함은 부처가 어느 곳에 있는가? 만일 부처를 보지 못하면 어디에 의거하여 가리오 하여 말이 도리어 망녕됨이 이루어지니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져거:적어[少].
주002)
재색(財色):재물과 여색(女色).
주003)
젼로:까닭으로.
주004)
인아(人我):개인 존재로서의 나.
주005)
노:높은. 높+.
주006)
게:남에게. +게(여격 조사).
주007)
바틸:바칠. 바티+ㄹ(관형사형어미).
주008)
시라:것이다. +ㅣ+라.
주009)
집착(執着)괘:집착이. 집착+과(공동격 조사)+ㅣ(주격 조사).
주010)
염착(染着):속세에 물들어 집착함.
주011)
귀의(歸依)호미어:귀의함이거늘. 귀의(歸依)+오+ㅁ+이+어.
※‘-어’은 ‘어(선어말어미, ‘-거-’의 이형태) ‘확신’)+(연결어미)’이 문법화된 형태이다.
주012)
범부(凡夫)ㅣ:범부(凡夫)가.
주013)
아디:알지.
주014)
몯야:못하여.
주015)
낫브터:낮부터, 낫(‘낮’의 팔종성 표기법)+브터.
주016)
바:밤에. 밤+(처격 조사).
주017)
니르리:이르도록.
주018)
삼귀(三歸):삼귀의(三歸依).
주019)
수(受)니:수(受)하니. 받으니.
주020)
다가:만일.
주021)
닐오:이르되.
주022)
귀의(歸依)호:귀의(歸依)함은.
주023)
부톄:부처가. 부처께서. 부텨+ㅣ(주격 조사).
주024)
고대:곳에. 곧+애(처격 조사).
주025)
잇뇨:있는가.
주026)
어듸브터:어디에 의거하여.
주027)
가료:가리오. 가겠는가. 가+리+오(의문형어미).
주028)
마리:말이. 말[言]+이(주격 조사).
주029)
도혀:도리어.
주030)
이니:되니. 이루어지니. 이(‘일-’의 이형태)++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