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21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21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4ㄱ

一僧志道 廣州南海人也ㅣ러니 請益曰호 學人은 自出家야 覽涅槃經十載有餘호 未眀大意야다 願和尙이 垂誨쇼셔 師曰샤 汝ㅣ 何處 未眀가 曰호 諸行無常이 是生滅法이니 生滅滅已면 寂滅爲樂이라 니 於此애 疑惑야다 師曰샤 汝作麽生疑아 曰一切衆生이 皆有二身니 謂色身과 法身也ㅣ니 色身은 無常야 有生有滅이어니와 法身은 有常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4ㄴ

無知無覺니

주001)
:
한[一].
주002)
:
중[僧].
志道 廣州ㅣ 주003)
광주(廣州)ㅣ:
광주(廣州)의. 광주(廣州)+ㅣ.
南海ㅅ 주004)
남해(南海)ㅅ:
남해(南海)의. 남해(南海)+ㅅ.
사미러니 주005)
사미러니:
사람이더니.
請益야 주006)
청익(請益)야:
더욱 유익한 가르침을 청하여.
닐오 學人은 出家호로 주007)
출가(出家)호로:
출가(出家)함으로. 출가(出家)+오+ㅁ+로.
브터 주008)
브터:
부터[自].
涅槃經 주009)
열반경(涅槃經):
석존이 입멸(入滅)할 때 가섭(迦葉), 고귀덕왕(高貴德王), 사자후(獅子吼), 교진여(憍陳如)의 사고뇌(四苦惱)의 청문(請問)에 대하여 일승불성(一乘佛性)의 묘위(妙義)를 개현(開顯)한 것이다.
보안 주010)
보안:
본. 보[覽]+아+ㄴ.
주011)
디:
지가. 디+∅(zero 주격 조사).
주012)
:
해가. +∅(zero 주격 조사).
나모 주013)
나모:
넘되. 남+오+.
주014)
큰:
큰. 크[大]+ㄴ.
들 주015)
들:
뜻을. [意]+을.
기디 주016)
기디:
밝히지. [眀]+이+디.
몯야다 주017)
몯야다:
못하였습니다. 몯+야(선어말어미 ‘-아-’의 이형태)++다.
願 和尙이 치샤 주018)
치샤:
가르치심[誨]을.
드리오쇼셔 주019)
드리오쇼셔:
드리우[垂]소서.
師ㅣ 니샤 네 어느 고 주020)
고:
곳을. 곧[處]+.
기디 몯다 주021)
몯다:
못하느냐. 몯++ㄴ다(의문형어미).
닐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5ㄱ

行無常
주022)
제행무상(諸行無常):
만물은 늘 변전(變轉)하여 그침이 없다고 하는 것.
이 이 生滅法 주023)
생멸법(生滅法):
옮아 변하는 것.
이니 生滅 주024)
생멸(生滅):
생기(生起)와 소멸(消滅).
滅면 주025)
멸(滅)면:
없어지면.
寂滅 주026)
적멸(寂滅):
정적(靜寂). 번뇌의 불이 꺼진 마음의 궁극적 고요함.
이 樂이 외다 주027)
외다:
된다. 외[爲]+다.
니 주028)
니:
하니.
이 주029)
이:
여기에[於此].
疑惑야다 주030)
의혹(疑惑)야다:
의혹(疑惑)하였습니다.
師ㅣ 니샤 네 엇뎨 疑心다 주031)
의심(疑心)다:
의심하느냐.
닐오 一切衆生이 다 주032)
두:
둘[二].
모미 주033)
모미:
몸이. 몸[身]+이.
잇니 주034)
잇니:
있으니.
닐온 주035)
닐온:
이른바[謂].
色身과 法身괘니 주036)
법신(法身)괘니:
법신(法身)이니. 법신(法身)+과+ㅣ+니.
色身은 無常야 生 이시며 주037)
이시며:
있으며.
잇거니와 주038)
잇거니와:
잇거니와.
法身은 有常 주039)
유상(有常):
영구히 존재하는 것. 󰇁 sassata.

육조법보단경언해 중:85ㄴ

야 知도 업스며 주040)
업스며:
없으며.
주041)
각(覺):
깨달음의 지혜.
업스니 주042)
업스니:
없으니.

한 중 지도(志道)는 광주(廣州) 남해(南海) 사람이더니, 청익(請益)하여(더욱 유익한 가르침을 청하여) 이르되 “학인(學人)은 출가함으로부터 열반경 본 지 열 해가 넘되 큰 뜻을 밝히지 못하였습니다. 원하건대 화상께서 가르침을 드리우소서.” 대사가 이르시되 “네가 어느 곳을 밝히지 못하느냐?” 이르되 “제행무상(諸行無常)이 이 생멸법(生滅法)이니 생멸(生滅)이 멸(滅)하면(없어지면) 적멸(寂滅)이 낙(樂)이 된다 하니 여기에 의혹(疑惑)하였습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네가 어째서 의심하느냐?” 이르되 “일체의 중생이 다 두 몸이 있으니 이른바 색신(色身)과 법신(法身)이니, 색신은 무상(無常)하여 생(生) 있으며 멸(滅) 있거니와 법신은 유상(有常)하여 지(知)도 없으며 각(覺)도 없으니.”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一].
주002)
:중[僧].
주003)
광주(廣州)ㅣ:광주(廣州)의. 광주(廣州)+ㅣ.
주004)
남해(南海)ㅅ:남해(南海)의. 남해(南海)+ㅅ.
주005)
사미러니:사람이더니.
주006)
청익(請益)야:더욱 유익한 가르침을 청하여.
주007)
출가(出家)호로:출가(出家)함으로. 출가(出家)+오+ㅁ+로.
주008)
브터:부터[自].
주009)
열반경(涅槃經):석존이 입멸(入滅)할 때 가섭(迦葉), 고귀덕왕(高貴德王), 사자후(獅子吼), 교진여(憍陳如)의 사고뇌(四苦惱)의 청문(請問)에 대하여 일승불성(一乘佛性)의 묘위(妙義)를 개현(開顯)한 것이다.
주010)
보안:본. 보[覽]+아+ㄴ.
주011)
디:지가. 디+∅(zero 주격 조사).
주012)
:해가. +∅(zero 주격 조사).
주013)
나모:넘되. 남+오+.
주014)
큰:큰. 크[大]+ㄴ.
주015)
들:뜻을. [意]+을.
주016)
기디:밝히지. [眀]+이+디.
주017)
몯야다:못하였습니다. 몯+야(선어말어미 ‘-아-’의 이형태)++다.
주018)
치샤:가르치심[誨]을.
주019)
드리오쇼셔:드리우[垂]소서.
주020)
고:곳을. 곧[處]+.
주021)
몯다:못하느냐. 몯++ㄴ다(의문형어미).
주022)
제행무상(諸行無常):만물은 늘 변전(變轉)하여 그침이 없다고 하는 것.
주023)
생멸법(生滅法):옮아 변하는 것.
주024)
생멸(生滅):생기(生起)와 소멸(消滅).
주025)
멸(滅)면:없어지면.
주026)
적멸(寂滅):정적(靜寂). 번뇌의 불이 꺼진 마음의 궁극적 고요함.
주027)
외다:된다. 외[爲]+다.
주028)
니:하니.
주029)
이:여기에[於此].
주030)
의혹(疑惑)야다:의혹(疑惑)하였습니다.
주031)
의심(疑心)다:의심하느냐.
주032)
두:둘[二].
주033)
모미:몸이. 몸[身]+이.
주034)
잇니:있으니.
주035)
닐온:이른바[謂].
주036)
법신(法身)괘니:법신(法身)이니. 법신(法身)+과+ㅣ+니.
주037)
이시며:있으며.
주038)
잇거니와:잇거니와.
주039)
유상(有常):영구히 존재하는 것. 󰇁 sassata.
주040)
업스며:없으며.
주041)
각(覺):깨달음의 지혜.
주042)
업스니:없으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