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8


師曰샤 彼有何言句더뇨 汝ㅣ 試擧看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8ㄱ

曰호 智常이 到彼야 凡經三月호 未蒙示誨다니 爲法切故로 一夕에 獨入丈室야 請問호 如何是某甲의 本心本性이고 大通이 乃曰샤 汝見虛空否아 對曰호 見노다 彼曰호 汝見虛空이어시니 有相貌否아 對曰호 虛空은 無形커니 有何相貌ㅣ리고 彼曰호 汝之本性이 猶如虛空야 了無一物可見이 是名正見이오 無一物可知ㅣ 是名眞知라 無有靑黃長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8ㄴ

短니 但見本源淸淨야 覺體圓明면 卽名見性成佛이며 亦名如來知見이라 더시다

師ㅣ 주001)
사(師)ㅣ:
사(師)가. 혜능 대사가. 사(師)+ㅣ.
니샤 주002)
니샤:
이르시되.
주003)
뎨:
저것이. 그가. 뎌[彼]+ㅣ.
엇던 주004)
엇던:
어떤.
言句ㅣ 주005)
언구(言句)ㅣ:
언구(言句)가.
잇더뇨 주006)
잇더뇨:
있더냐.
주007)
네:
네가.
아마커나 주008)
아마커나:
아무렇게나. 아무것이나.
드러 주009)
드러:
들어. 들+어.
뵈라 주010)
뵈라:
보이라. 보+이+라.
오 주011)
오:
말하되.
智常이 뎌 주012)
뎌:
저기에. 뎌+.
가 석  주013)
:
달을. +.
디내요 주014)
디내요:
지내되.
뵈야 주015)
뵈야:
보여. 보+이+아(야).
치샤 주016)
치샤:
가르치심을. 치+시+아+ㅁ+.
닙디 주017)
닙디:
입[蒙]지. 받지.
몯얫다니 주018)
몯얫다니:
못하고 있더니. 몯+야+잇+더+니.
爲호미 주019)
위(爲)호미:
위함이. 위(爲)+오+ㅁ+이.
 주020)
:
간절한. [切]+ㄴ.
젼로 주021)
젼로:
까닭으로.
 주022)
:
하루의. +ㅅ.
나조 주023)
나조:
저녁에. 나조ㅎ[夕]+.
丈室에 주024)
장실(丈室)에:
주지(住持)의 거실에.
오 주025)
오:
혼자[獨].
드러 주026)
드러:
들어. 들+어.
請야 묻오 주027)
묻오:
묻되.
어늬 주028)
어늬:
어느 것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9ㄱ

某甲 주029)
모갑(某甲):
저. 본인. 이 사람.
의 本心本性이고 주030)
본성(本性)이고:
본성(本性)입니까.
大通이 니샤 네 虛空을 보다 주031)
보다:
보느냐. 보[見]++ㄴ다(의문형어미).
몯다 주032)
몯다:
못하느냐. 몯++ㄴ다.
對答호 주033)
대답(對答)호:
대답하되.
보노다 주034)
보노다:
봅니다. 보++오++다.
주035)
뎨:
저 사람이. 그가. 뎌[彼]+ㅣ.
닐오 네 虛空을 보거시니 주036)
보거시니:
보고 있으니. 보+거+시+니.
相貌ㅣ 주037)
상모(相貌)ㅣ:
상모(相貌)가. 모양이. 형태가.
잇녀 주038)
잇녀:
있느냐.
업스녀 주039)
업스녀:
없느냐.
對答호 虛空은 얼구리 주040)
얼구리:
모습이. 얼굴+이.
업거니 엇던 相貌ㅣ 이시리고 주041)
이시리고:
있겠습니까.
뎨 닐오 네 本性이 虛空 야 주042)
야:
같아서.
간도 주043)
간도:
잠깐도.
주044)
:
한[一].
것도 어루 주045)
어루:
가(可)히. 넉넉히.
주046)
봄:
봄이. 보는 것이. 보[見]+∅+ㅁ+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9ㄴ

업소미 주047)
업소미:
없음이.
이 일후미 正 보미오 주048)
보미오:
봄[見]이고.
 것도 어루 아롬 주049)
아롬:
앎. 알+오+ㅁ.
업소미 이 일후미 眞實ㅅ 주050)
진실(眞實)ㅅ:
진실(眞實)의. 진실(眞實)+ㅅ.
아로미라 주051)
아로미라:
앎이다. 알+오+ㅁ+이+라.
靑黃長短이 업스니 오직 本源이 淸淨야 覺體 주052)
각체(覺體):
깨달음의 본체(本體).
두려이 주053)
두려이:
둥글게. 두[圓]+이.
 주054)
:
밝은. +.
주055)
:
것을. +ㄹ.
보면 곧 일후미 見性成佛 주056)
견성성불(見性成佛):
자기의 본성을 투철히 보아 깨닫는 것.
이며  일후미 如來ㅅ 주057)
여래(如來)ㅅ:
여래(如來)의. 여래(如來)+ㅅ.
知見이라 더시다 주058)
더시다:
하시었습니다. +더+시++다.

대사가 이르시되 “그가 어떤 언구(言句)가 있더냐? 네가 아무렇거나 들어 보이라.” 아뢰되 “지상(智常)이 저 사람(대통화상)에게 가 석 달을 지내되 보여 가르치심을 입지 못하고 있었는데, 법(法) 위함이 간절한 까닭에 하루 저녁에 주지(住持) 스님의 거실에 혼자 들어가 청(請)하여 묻되 ‘어느 것이 저의 본심(本心) 본성(本性)입니까?’ (하니) 저 사람(대통 화상)이 이르시되 ‘네가 허공(虛空)을 보느냐 못하느냐?’ 대답하되 ‘봅니다.’ 저 사람이 말하되 ‘네가 허공을 보고 있으니 상모(相貌)가 있느냐 없느냐?’ 대답하되 ‘허공은 모습이 없으니 어떤 상모가 있겠습니까?’ (하니) 저 사람(대통)이 이르되 ‘너의 본성이 허공과 같아(서) 잠깐도 한 것도 가히(넉넉히) 봄 없음이 이 이름이 정(正)한 봄이고, 한 것도 가히 앎 없음이 이 이름이 진실(眞實)의 앎이다. 청황 장단(靑黃長短)이 없으니 오직 본원(本源)이 청정하여 각체(覺體)가 둥글게 밝은 것을 보면 곧 이름이 견성성불(見性成佛)이며, 또 이름이 여래(如來)의 지견(知見)이니라.’라고 하시었습니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師)ㅣ:사(師)가. 혜능 대사가. 사(師)+ㅣ.
주002)
니샤:이르시되.
주003)
뎨:저것이. 그가. 뎌[彼]+ㅣ.
주004)
엇던:어떤.
주005)
언구(言句)ㅣ:언구(言句)가.
주006)
잇더뇨:있더냐.
주007)
네:네가.
주008)
아마커나:아무렇게나. 아무것이나.
주009)
드러:들어. 들+어.
주010)
뵈라:보이라. 보+이+라.
주011)
오:말하되.
주012)
뎌:저기에. 뎌+.
주013)
:달을. +.
주014)
디내요:지내되.
주015)
뵈야:보여. 보+이+아(야).
주016)
치샤:가르치심을. 치+시+아+ㅁ+.
주017)
닙디:입[蒙]지. 받지.
주018)
몯얫다니:못하고 있더니. 몯+야+잇+더+니.
주019)
위(爲)호미:위함이. 위(爲)+오+ㅁ+이.
주020)
:간절한. [切]+ㄴ.
주021)
젼로:까닭으로.
주022)
:하루의. +ㅅ.
주023)
나조:저녁에. 나조ㅎ[夕]+.
주024)
장실(丈室)에:주지(住持)의 거실에.
주025)
오:혼자[獨].
주026)
드러:들어. 들+어.
주027)
묻오:묻되.
주028)
어늬:어느 것이.
주029)
모갑(某甲):저. 본인. 이 사람.
주030)
본성(本性)이고:본성(本性)입니까.
주031)
보다:보느냐. 보[見]++ㄴ다(의문형어미).
주032)
몯다:못하느냐. 몯++ㄴ다.
주033)
대답(對答)호:대답하되.
주034)
보노다:봅니다. 보++오++다.
주035)
뎨:저 사람이. 그가. 뎌[彼]+ㅣ.
주036)
보거시니:보고 있으니. 보+거+시+니.
주037)
상모(相貌)ㅣ:상모(相貌)가. 모양이. 형태가.
주038)
잇녀:있느냐.
주039)
업스녀:없느냐.
주040)
얼구리:모습이. 얼굴+이.
주041)
이시리고:있겠습니까.
주042)
야:같아서.
주043)
간도:잠깐도.
주044)
:한[一].
주045)
어루:가(可)히. 넉넉히.
주046)
봄:봄이. 보는 것이. 보[見]+∅+ㅁ+이.
주047)
업소미:없음이.
주048)
보미오:봄[見]이고.
주049)
아롬:앎. 알+오+ㅁ.
주050)
진실(眞實)ㅅ:진실(眞實)의. 진실(眞實)+ㅅ.
주051)
아로미라:앎이다. 알+오+ㅁ+이+라.
주052)
각체(覺體):깨달음의 본체(本體).
주053)
두려이:둥글게. 두[圓]+이.
주054)
:밝은. +.
주055)
:것을. +ㄹ.
주056)
견성성불(見性成佛):자기의 본성을 투철히 보아 깨닫는 것.
주057)
여래(如來)ㅅ:여래(如來)의. 여래(如來)+ㅅ.
주058)
더시다:하시었습니다. +더+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