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7


僧智常은 信州貴谿人이러니 髫年에 出家야 志求見性더니 一日에 參禮대 師ㅣ 問曰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7ㄱ

 汝從何來야 欲求何事아 曰호 學人은 近往洪州白峯山야 禮大通和尙야 蒙示見性成佛之義호 未決狐疑야 遠來投禮노니 伏望和尙이 慈悲로 指示쇼셔

 智常은 信州ㅣ 주001)
신주(信州)ㅣ:
신주(信州)의. 신주(信州)+ㅣ.
貴谿ㅅ 주002)
귀계(貴谿)ㅅ:
귀계(貴谿)의. 귀계(貴谿)+ㅅ.
사미러니 져머셔 주003)
져머셔:
어려서. 졈[髫年]+어셔.
出家야 데 주004)
데:
뜻에. [志]+에.
見性을 求더니  주005)
:
하루는. [一日](‘’의 이형태)+(은).
叅禮온대 주006)
참례(叅禮)온대:
참례한대. 알현하는 예를 갖추니. 참례(叅禮)++대.
師ㅣ 무르샤 주007)
무르샤:
물으시되. 묻[問]+으시++.
어듸 브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7ㄴ

주008)
어듸 브터:
어디로부터[從何]. 어듸++브터.
※ 이 때의 ‘- 브터’는 ‘원인’이 아니라 ‘출발, 시발’의 의미를 가진다.
주009)
와:
와서. 오+아.
므슷 주010)
므슷:
무슨.
이 주011)
이:
일을. 일+.
求호려 주012)
구(求)호려:
구하려. 구(求)+오+려.
다 주013)
다:
하느냐. ++ㄴ다(의문형 어미).
닐오 學人 주014)
학인(學人):
수행(修行)하는 사람. 선(禪)을 수행하는 사람. 스승 앞에서 나를 낮추는 말. ‘학인은 ~’은 ‘저는 ~’이다.
요예 주015)
요예:
요새. 요[近]+예.
洪州ㅣ 주016)
홍주(洪州)ㅣ:
홍주(洪州)의.
白峯山애 가 大通和尙을 주017)
대통화상(大通和尙)을:
대통 화상께.
저와 주018)
저와:
절하여. 저+아.
見性야 부텨 외욜 주019)
외욜:
될. 외+요+ㄹ.
뵈샤 주020)
뵈샤:
보이심을. 보+이+시+아+ㅁ+.
니보 주021)
니보:
입되. 닙+오+.
疑心을 決티 몯야 주022)
몯야:
못하여.
머리셔 주023)
머리셔:
멀리서. 멀+이+셔.
저노니 주024)
저노니:
절하오니. 저++오+니.
굿브러 주025)
굿브러:
엎드려. 굿블[伏]+어.
라온댄 주026)
라온댄:
바라건대. 라[望]++댄.
和尙이 慈悲로 쳐 주027)
쳐:
가리켜. 치[指]+어.
뵈쇼셔

중 지상(智常)은 신주(信州) 귀계(貴谿) 사람이더니, 어려서 출가하여 견성(見性)을 구(求)하려는 뜻을 두더니, 하루는 참례(參禮)한대 대사가 물으시되 “네가 어디로부터 와 무슨 일을 구하려 하느냐?” 하시니, 이르되 “학인(學人)은 요사이에 홍주(洪州) 백봉산(白峯山)에 가 대통 화상(大通和尙)께 절하고 견성하여 부처될 뜻 보이심을 입되, 의심(疑心)을 해결하지 못하여, 멀리서 와 절하오니 엎드려 바라건대 화상이 자비로 가리켜 보이소서.”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주(信州)ㅣ:신주(信州)의. 신주(信州)+ㅣ.
주002)
귀계(貴谿)ㅅ:귀계(貴谿)의. 귀계(貴谿)+ㅅ.
주003)
져머셔:어려서. 졈[髫年]+어셔.
주004)
데:뜻에. [志]+에.
주005)
:하루는. [一日](‘’의 이형태)+(은).
주006)
참례(叅禮)온대:참례한대. 알현하는 예를 갖추니. 참례(叅禮)++대.
주007)
무르샤:물으시되. 묻[問]+으시++.
주008)
어듸 브터:어디로부터[從何]. 어듸++브터.
※ 이 때의 ‘- 브터’는 ‘원인’이 아니라 ‘출발, 시발’의 의미를 가진다.
주009)
와:와서. 오+아.
주010)
므슷:무슨.
주011)
이:일을. 일+.
주012)
구(求)호려:구하려. 구(求)+오+려.
주013)
다:하느냐. ++ㄴ다(의문형 어미).
주014)
학인(學人):수행(修行)하는 사람. 선(禪)을 수행하는 사람. 스승 앞에서 나를 낮추는 말. ‘학인은 ~’은 ‘저는 ~’이다.
주015)
요예:요새. 요[近]+예.
주016)
홍주(洪州)ㅣ:홍주(洪州)의.
주017)
대통화상(大通和尙)을:대통 화상께.
주018)
저와:절하여. 저+아.
주019)
외욜:될. 외+요+ㄹ.
주020)
뵈샤:보이심을. 보+이+시+아+ㅁ+.
주021)
니보:입되. 닙+오+.
주022)
몯야:못하여.
주023)
머리셔:멀리서. 멀+이+셔.
주024)
저노니:절하오니. 저++오+니.
주025)
굿브러:엎드려. 굿블[伏]+어.
주026)
라온댄:바라건대. 라[望]++댄.
주027)
쳐:가리켜. 치[指]+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