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3


一僧法海 韶州曲江人也ㅣ러니 初參祖師야 問曰호 卽心卽佛을 願垂指諭쇼셔 師ㅣ 曰샤 前念不生이 卽心이오 後念不滅이 卽佛이오 成一切相면 卽心이오 離一切相면 卽佛이니라 吾若具說인댄 窮劫不盡리라 聽吾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2ㄴ

曰샤 卽心이 名慧오 卽佛이 乃定이니 定慧等等면 意中이 淸淨리라 悟此法門은 由汝習性이니 用本無生면 雙修是正이니라 法海言下애 大悟야 以偈로 讚曰호 卽心이 元是佛이어 不悟야 而自屈니 我知定慧因야 雙修離諸物야지다

주001)
:
한[一].
法海 주002)
법해(法海):
법해(法海)는.
韶州 曲江ㅅ 사미러니 주003)
사미러니:
사람이더니. 사+이+러+니.
祖師 처 주004)
처:
처음[初].
뵈와 주005)
뵈와:
뵈어. 뵈[參]++아.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3ㄱ

오
주006)
묻오:
묻되.
미 주007)
미:
마음이.
부톄라 주008)
부톄라:
부처이다. 부텨+ㅣ+라.
호 주009)
호:
함을. +오+ㅁ+.
願 주010)
원(願):
원하건대.
드리워 쳐 주011)
쳐:
가리켜. 치[指]+어.
알외쇼셔 주012)
알외쇼셔:
알리소서. 알외[諭]+쇼셔.
師ㅣ 니샤 주013)
니샤:
이르시되.
前念 나디 주014)
나디:
나지. 생(生)하지.
아니호미 주015)
아니호미:
아니함이. 아니+오+ㅁ+이.
미오 주016)
미오:
마음이고.
後念 滅티 주017)
멸(滅)티:
없어지지. 멸(滅)+디.
아니호미 곧 부톄오 주018)
부톄오:
부처이고. 부텨+ㅣ+오.
一切相 일우면 주019)
일우면:
이루면. 일+우+면. ‘성(成)’.
곧 미오 一切相 여희면 곧 부톄니라 주020)
부톄니라:
부처이다. 부텨+ㅣ+니+라.
다가 주021)
다가:
만일[若].
초 주022)
초:
갖추어[具].
닐올딘댄 주023)
닐올딘댄:
말할진대.
劫이 다아도 주024)
다아도:
다하여도. 다[窮]+아+도.
몯리라 주025)
몯리라:
몯할 것이다.
주026)
내:
나의.
주027)
게(偈):
󰇄󰇁 gatha의 음역. 송(頌)이라고 한역한다. 경(經), 논(論) 중 부처의 가르침을 시구(詩句)로 말한 것이다. 부처, 보살의 덕(德)을 비유한 시구(詩句)이다.
드르라 주028)
드르라:
들으라. 들[聽](‘듣-’의 이형태)+(으)라.
니샤 주029)
니샤:
이르시되.
 卽호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3ㄴ

주030)
즉(卽)호미:
즉(卽)함이. 즉(卽)+오+ㅁ+이.
일후미 주031)
일후미:
이름이.
慧오 주032)
혜(慧)오:
혜(慧)이고. 혜(慧)+∅+오.
부텨 卽호미 定이니 주033)
정(定):
1. 명상(瞑想). 마음의 안정. (1) 삼매(三昧)와 같음. 󰇄 samādhi. 󰇁 samādhi (2) 선정(禪定). 정려(靜慮). 󰇄 dhyāna (3) 정신 통일. 집중. 󰇄 samādhi. 2. 반드시. 3. 갚음이 반드시 일어나다. 4. 정(定)해져 있는 것. 5. 숙명(宿命). 6. 실주(實住)한다는 뜻.
慧왜 주034)
혜(慧)왜:
혜(慧)가. 혜(慧)+와+이.
오면 주035)
오면:
같으면. 오+면. 등등(等等).
意中이 淸淨리라 이 法門 아로 주036)
아로:
앎은. 알[悟]+오+ㅁ+.
주037)
네:
너의. 너+ㅣ.
혼 주038)
혼:
배운. 호[習]+ㄴ.
性을 브트니 주039)
브트니:
말미암으니. 븥[由]+으니.
주040)
용(用):
1. 수용(受用)과 같음. 특히 시자(施者)가 승중(僧衆)에게 종종(種種)의 것을 시(施)하고 승중이 그것을 받아 써 없애는 것. 󰇄 paribhoga. 2. 즐기다. 향수(享受)하는 것. 3. 작용. 활동. 󰇄 vṛtti. 4. 열중하는 것. 󰇁 paṭisevana. 5. 필요로 하다. 6. 학인(學人)의 소질(素質). 역량(力量)에 응하여 보여주는 사가(師家)의 기용(機用) 7. -을. 대격을 표시한다. 8. 이(以)와 같음. 구격(具格)을 표시한다. 9. (창조의) 동기(動機). 󰇄 prayojana.
이 本來 주041)
남:
생겨남.
업스면 주042)
업스면:
없으면.
와 주043)
와:
짝이 되어. 오[雙]+아.
닷고미 주044)
닷고미:
닦음이. [修]+오+ㅁ+이.
주045)
이:
이것이. 이[是]+∅.
正이니라 주046)
정(正)이니라:
정(正)이다. 정(正)+이+니+라.
法海 주047)
법해(法海):
법해 승이. 법해(法海)+∅(zero 주격 조사).
言下애 주048)
키:
크게. 크[大]+ㅣ.
아라 주049)
아라:
알아[悟].
偈로 讚야 주050)
찬(讚)야:
기려. 찬양하여.
닐오 곧 미 본 주051)
본:
원래. 본디.
부톄어늘 주052)
부톄어늘:
부처이거늘. 부텨+ㅣ+어늘.
아디 주053)
아디:
알지.
몯야 주054)
제:
자기가. 스스로가. 제+∅(zero 주격 조사).
屈니 주055)
굴(屈)니:
굴(屈)하니. 굴(屈)++니.
주056)
내:
내가. 나+ㅣ.
定慧因 주057)
정혜인(定慧因):
정(定)과 혜(慧)의 원인.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4ㄱ

아라 둘흘 주058)
둘흘:
둘을. 둘ㅎ+을.
닷가 주059)
닷가:
닦아. +아.
여러 物믈을 여희여지다 주060)
여희여지다:
떠나고 싶습니다. 여희[離]+여#지다.

법해(法海)라는 중은 소주(韶州) 곡강(曲江) 사람이더니, 조사(祖師)를 처음 뵈어 묻되 “곧 마음이 곧 부처라고 함을 원하건대 드리워 가리켜 알리소서(가르쳐 주소서).” 조사가 이르시되 “전념(前念)이 나지 아니함이 곧 마음이고 후념(後念)이 없어지지 아니함이 곧 부처이고 일체상(一切相)을 이루면 곧 마음이고 일체상을 떠나면 곧 부처이다. 내가 만일 갖추어 말할진대 겁(劫)이 다하여도 다 못할 것이다. 나의 게(偈)를 들으라.” 이르시되 “마음 즉(卽)함이 이름이 혜(慧) 주061)
혜(慧):
1. 분별판단(分別判斷). 분별(分別)하고 판단(判斷)하는 마음의 작용(作用). 사물(事物)이나 진리(眞理)를 인지 판단 추리하는 정신작용(精神作用). 󰇄 prajñā 2. 검토해야 할 사물(事物)에 대한 음미(吟味) 판단(辨別). 3. 인식 작용. 일상 생활에 나타나는 인식장용(認識作用)으로 후천적(後天的) 세욕지(世俗智)를 말한다. 4. 지혜(智慧). 예지(叡智) 󰇄 prajñā. 5.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
이고 부처 즉(卽)함이 정(定)이니 정과 혜가 같으면 의중(意中)이 청정할 것이다. 이 법문(法門) 앎은 너의 배운 성(性)에 말미암으니 용(用)이 본래 남(생겨남)이 없으면 짝이 되어 닦음이 이 정(正)이다.” 법해(法海)가 언하(言下)에 크게 알아 게(偈)로 기려 이르되 “곧 마음이 원래 부처이거늘 알지 못하여 자기가 굴(屈)하니 내가 정(定)과 혜(慧)의 원인을 알아 둘을 닦아 여러 물(物)을 떠나고 싶습니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한[一].
주002)
법해(法海):법해(法海)는.
주003)
사미러니:사람이더니. 사+이+러+니.
주004)
처:처음[初].
주005)
뵈와:뵈어. 뵈[參]++아.
주006)
묻오:묻되.
주007)
미:마음이.
주008)
부톄라:부처이다. 부텨+ㅣ+라.
주009)
호:함을. +오+ㅁ+.
주010)
원(願):원하건대.
주011)
쳐:가리켜. 치[指]+어.
주012)
알외쇼셔:알리소서. 알외[諭]+쇼셔.
주013)
니샤:이르시되.
주014)
나디:나지. 생(生)하지.
주015)
아니호미:아니함이. 아니+오+ㅁ+이.
주016)
미오:마음이고.
주017)
멸(滅)티:없어지지. 멸(滅)+디.
주018)
부톄오:부처이고. 부텨+ㅣ+오.
주019)
일우면:이루면. 일+우+면. ‘성(成)’.
주020)
부톄니라:부처이다. 부텨+ㅣ+니+라.
주021)
다가:만일[若].
주022)
초:갖추어[具].
주023)
닐올딘댄:말할진대.
주024)
다아도:다하여도. 다[窮]+아+도.
주025)
몯리라:몯할 것이다.
주026)
내:나의.
주027)
게(偈):󰇄󰇁 gatha의 음역. 송(頌)이라고 한역한다. 경(經), 논(論) 중 부처의 가르침을 시구(詩句)로 말한 것이다. 부처, 보살의 덕(德)을 비유한 시구(詩句)이다.
주028)
드르라:들으라. 들[聽](‘듣-’의 이형태)+(으)라.
주029)
니샤:이르시되.
주030)
즉(卽)호미:즉(卽)함이. 즉(卽)+오+ㅁ+이.
주031)
일후미:이름이.
주032)
혜(慧)오:혜(慧)이고. 혜(慧)+∅+오.
주033)
정(定):1. 명상(瞑想). 마음의 안정. (1) 삼매(三昧)와 같음. 󰇄 samādhi. 󰇁 samādhi (2) 선정(禪定). 정려(靜慮). 󰇄 dhyāna (3) 정신 통일. 집중. 󰇄 samādhi. 2. 반드시. 3. 갚음이 반드시 일어나다. 4. 정(定)해져 있는 것. 5. 숙명(宿命). 6. 실주(實住)한다는 뜻.
주034)
혜(慧)왜:혜(慧)가. 혜(慧)+와+이.
주035)
오면:같으면. 오+면. 등등(等等).
주036)
아로:앎은. 알[悟]+오+ㅁ+.
주037)
네:너의. 너+ㅣ.
주038)
혼:배운. 호[習]+ㄴ.
주039)
브트니:말미암으니. 븥[由]+으니.
주040)
용(用):1. 수용(受用)과 같음. 특히 시자(施者)가 승중(僧衆)에게 종종(種種)의 것을 시(施)하고 승중이 그것을 받아 써 없애는 것. 󰇄 paribhoga. 2. 즐기다. 향수(享受)하는 것. 3. 작용. 활동. 󰇄 vṛtti. 4. 열중하는 것. 󰇁 paṭisevana. 5. 필요로 하다. 6. 학인(學人)의 소질(素質). 역량(力量)에 응하여 보여주는 사가(師家)의 기용(機用) 7. -을. 대격을 표시한다. 8. 이(以)와 같음. 구격(具格)을 표시한다. 9. (창조의) 동기(動機). 󰇄 prayojana.
주041)
남:생겨남.
주042)
업스면:없으면.
주043)
와:짝이 되어. 오[雙]+아.
주044)
닷고미:닦음이. [修]+오+ㅁ+이.
주045)
이:이것이. 이[是]+∅.
주046)
정(正)이니라:정(正)이다. 정(正)+이+니+라.
주047)
법해(法海):법해 승이. 법해(法海)+∅(zero 주격 조사).
주048)
키:크게. 크[大]+ㅣ.
주049)
아라:알아[悟].
주050)
찬(讚)야:기려. 찬양하여.
주051)
본:원래. 본디.
주052)
부톄어늘:부처이거늘. 부텨+ㅣ+어늘.
주053)
아디:알지.
주054)
제:자기가. 스스로가. 제+∅(zero 주격 조사).
주055)
굴(屈)니:굴(屈)하니. 굴(屈)++니.
주056)
내:내가. 나+ㅣ.
주057)
정혜인(定慧因):정(定)과 혜(慧)의 원인.
주058)
둘흘:둘을. 둘ㅎ+을.
주059)
닷가:닦아. +아.
주060)
여희여지다:떠나고 싶습니다. 여희[離]+여#지다.
주061)
혜(慧):1. 분별판단(分別判斷). 분별(分別)하고 판단(判斷)하는 마음의 작용(作用). 사물(事物)이나 진리(眞理)를 인지 판단 추리하는 정신작용(精神作用). 󰇄 prajñā 2. 검토해야 할 사물(事物)에 대한 음미(吟味) 판단(辨別). 3. 인식 작용. 일상 생활에 나타나는 인식장용(認識作用)으로 후천적(後天的) 세욕지(世俗智)를 말한다. 4. 지혜(智慧). 예지(叡智) 󰇄 prajñā. 5. 육바라밀(六波羅蜜)의 하나.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