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2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0ㄴ

有晉武侯ㅣ 玄孫曺叔良과 及居民이 競來야 瞻禮더니 時예 寶林古寺ㅣ 自隋末兵火已廢어 遂於故基예 重建梵宇야 延師居之호리라 니 俄成寶坊이어 師ㅣ 住九月餘日샤 又爲惡黨의 尋逐야 師乃遁于前山커시 被其縱火의 焚燒草木야 師ㅣ 隱身挨入石中야 得免시니 石에 於是有師趺坐膝痕과 及衣布之紋더니 因名避難石이라 니라 師憶五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1ㄱ

祖의 懷會止藏之囑시고 遂行隱于二邑焉시니라

晉武侯의 玄孫 曺叔良과 居民 주001)
거민(居民):
그 토지에 사는 인민(人民). 주민(住民).
난겻 주002)
난겻:
다투어[競].
저더니 주003)
저더니:
절하더니. 첨례(瞻禮).
주004)
:
때에. [時]+의.
寶林 주005)
녯:
옛[古].
뎌리 주006)
뎌리:
절이. 뎔[寺]+이.
隋末브터 주007)
브터:
부터[自].
兵火 주008)
병화(兵火):
전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화재.
마 주009)
마:
이미[已].
廢얏거 주010)
폐(廢)얏거:
폐(廢)하여(부서져) 있거늘. 폐(廢)+야#잇+거.
터헤 주011)
터헤:
터에. 터ㅎ[基]+에.
梵宇 주012)
범우(梵宇):
불사(佛寺). 절.
다시 주013)
다시:
다시[重].
셰여 주014)
셰여:
세워[建].
師 마자 주015)
마자:
맞아[延].
사시게 주016)
사시게:
사시게. 살[居]+시+게.
호리라 주017)
호리라:
하리라. 할 것이다. +오+리+라.
니 이고 주018)
이고:
이윽고. 갑자기. 별안간.
寶坊 주019)
보방(寶坊):
사원(寺院).
일워 주020)
일워:
이루거늘. 일[成]+우(사동접미사)+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1ㄴ

ㅣ 아홉 주021)
:
달[月].
나마 주022)
나마:
넘어. 남[餘]+아.
住샤 주023)
주(住)샤:
계시어. 사시어. 주(住)+시+아.
주024)
:
또[又].
모딘 주025)
모딘:
나쁜. 모디[惡](‘모딜-’의 이형태)+ㄴ(관형사형어미).
무릐 주026)
무릐:
무리의. 물[黨]+의.
자 주027)
자:
찾아[尋].
초미 주028)
초미:
쫓음이. [逐]+오+ㅁ+이.
외야 주029)
외야:
되어. 외[爲]+야.
師ㅣ 주030)
앏:
앞[前].
뫼해 주031)
뫼해:
산에. 뫼ㅎ+애.
숨거시 주032)
숨거시:
숨으시거늘. 숨[遁]+거+시+.
주033)
블:
불[火].
브텨 주034)
브텨:
붙여. 븥+이+어.
草木 로 주035)
로:
사름을. [燒]+오+ㅁ+.
니버 주036)
니버:
입어.
師ㅣ 모 주037)
모:
몸[身]을.
수머 주038)
수머:
숨겨[隱].
石中에 비븨여 주039)
비븨여:
비비어. 비븨[挨]+여.
드러 주040)
드러:
들어. 들[入]+어.
免호 得시니 돌해 주041)
돌해:
돌에. 돌ㅎ[石]+애.
師ㅅ 주042)
사(師)ㅅ:
혜능 대사의. 사(師)+ㅅ.
趺坐신 주043)
부좌(趺坐)신:
가부좌하신.
무룹 주044)
무룹:
무릎[膝].
과 주045)
과:
흔적과.
뵈옷 주046)
뵈옷:
베옷. 의포(衣布).
그미 주047)
그미:
무늬[紋]가.
잇더니 주048)
잇더니:
있더니.
因야 일후믈 難避 돌히라 주049)
돌히라:
돌이다. 돌ㅎ+이+라.
니라 주050)
니라:
한다.
師ㅣ 五祖의 懷와 會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2ㄱ

止며 주051)
지(止)며:
머물며[止].
藏라 주052)
장(藏)라:
숨으라.
샨 주053)
샨:
하신. +시+아+ㄴ.
付囑 주054)
부촉(付囑):
부탁하여 맡김. 부탁(付託).
각시고 주055)
각시고:
생각하시고.
곧 行야 두 올 주056)
올:
고을에. 올ㅎ[邑]+.
수므시니라 주057)
수므시니라:
숨으셨다. 숨으신 것이다. 숨[隱]+으시+ㄴ#이(의존명사)+∅(계사의 zero 형태)+라.

진무후(晉武侯)의 현손(玄孫) 조숙량(曺叔良)과 주민(住民)이 다투어 와 절하더니, 그 때에 보림(寶林) 옛 절이 수(隋)나라 말(末)부터 병화(兵火)에 이미 부서져 있거늘 옛 터에 불사(佛寺)를 다시 세워 혜능 대사를 맞아 사시게 하리라 하니, 이윽고 보방(寶坊)을 이루거늘 대사가 아홉 달 넘게 머무르시어, 또 나쁜 무리의 찾아 쫓음이 되어 대사가 앞산에 숨으시거늘 불 붙여 초목(草木) 사름을 입어, 대사가 몸을 숨겨 석중(石中)에 비비어 들어 면(免)함을 득(得)하시니, 돌에 대사의 부좌(趺坐)하신 무릎 흔적과 또 베옷 무늬가 있더니, 인(因)하여 이름이 ‘난(難)을 피(避)한 돌’이라고 한다. 혜능 대사가 오조(五祖)가 회집현[懷]과 사회현[會]에 머물며 숨으라고 하신 부탁[付囑]을 생각하시고, 곧 행하여 두 고을(회집현과 사회현)에 숨으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민(居民):그 토지에 사는 인민(人民). 주민(住民).
주002)
난겻:다투어[競].
주003)
저더니:절하더니. 첨례(瞻禮).
주004)
:때에. [時]+의.
주005)
녯:옛[古].
주006)
뎌리:절이. 뎔[寺]+이.
주007)
브터:부터[自].
주008)
병화(兵火):전쟁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화재.
주009)
마:이미[已].
주010)
폐(廢)얏거:폐(廢)하여(부서져) 있거늘. 폐(廢)+야#잇+거.
주011)
터헤:터에. 터ㅎ[基]+에.
주012)
범우(梵宇):불사(佛寺). 절.
주013)
다시:다시[重].
주014)
셰여:세워[建].
주015)
마자:맞아[延].
주016)
사시게:사시게. 살[居]+시+게.
주017)
호리라:하리라. 할 것이다. +오+리+라.
주018)
이고:이윽고. 갑자기. 별안간.
주019)
보방(寶坊):사원(寺院).
주020)
일워:이루거늘. 일[成]+우(사동접미사)+어.
주021)
:달[月].
주022)
나마:넘어. 남[餘]+아.
주023)
주(住)샤:계시어. 사시어. 주(住)+시+아.
주024)
:또[又].
주025)
모딘:나쁜. 모디[惡](‘모딜-’의 이형태)+ㄴ(관형사형어미).
주026)
무릐:무리의. 물[黨]+의.
주027)
자:찾아[尋].
주028)
초미:쫓음이. [逐]+오+ㅁ+이.
주029)
외야:되어. 외[爲]+야.
주030)
앏:앞[前].
주031)
뫼해:산에. 뫼ㅎ+애.
주032)
숨거시:숨으시거늘. 숨[遁]+거+시+.
주033)
블:불[火].
주034)
브텨:붙여. 븥+이+어.
주035)
로:사름을. [燒]+오+ㅁ+.
주036)
니버:입어.
주037)
모:몸[身]을.
주038)
수머:숨겨[隱].
주039)
비븨여:비비어. 비븨[挨]+여.
주040)
드러:들어. 들[入]+어.
주041)
돌해:돌에. 돌ㅎ[石]+애.
주042)
사(師)ㅅ:혜능 대사의. 사(師)+ㅅ.
주043)
부좌(趺坐)신:가부좌하신.
주044)
무룹:무릎[膝].
주045)
과:흔적과.
주046)
뵈옷:베옷. 의포(衣布).
주047)
그미:무늬[紋]가.
주048)
잇더니:있더니.
주049)
돌히라:돌이다. 돌ㅎ+이+라.
주050)
니라:한다.
주051)
지(止)며:머물며[止].
주052)
장(藏)라:숨으라.
주053)
샨:하신. +시+아+ㄴ.
주054)
부촉(付囑):부탁하여 맡김. 부탁(付託).
주055)
각시고:생각하시고.
주056)
올:고을에. 올ㅎ[邑]+.
주057)
수므시니라:숨으셨다. 숨으신 것이다. 숨[隱]+으시+ㄴ#이(의존명사)+∅(계사의 zero 형태)+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